• 제목/요약/키워드: Diffusion & transfer coefficient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4초

방향 정위된 음원에 시간지연을 이용한 확산감 제어에 관한 연구 (Sound Diffusion Control for the Localized Sound Image Using Time Delay)

  • 김익형;정의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135-138
    • /
    • 2001
  •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techniques of an efficient 3-D sound system based on the psycho-acoustics of spatial hearing with multimedia or virtual re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dea for the improved 3-D sound system using conventional stereo headphones to obtain a better sound diffusion from the mono-sound recorded at an anechoic chamber. We use the 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for the sound localization and the wavelet filter bank with time delay for the sound diffusion.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3-B soun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ime delay at lowest frequency band.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signals between the left channel and the right channel is measured to identify the sound diffusion.

  • PDF

Zn-Co 합금도금의 조성에 미치는 전해조건의 영향 (Effect of Electrolytic Condition on Composition of Zn-Co Alloy Plating)

  • 강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87-292
    • /
    • 2017
  • 자동차 부품에 Zn의 전기도금이 적용되고 있다. Zn 도금은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고 있다. 도금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도금 층이 파괴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Zn계 합금의 전기도금은 내부식성 향상 및 도금 두께 감소를 위해 연구되어 있다. 여러 합금 도금 중에 Zn-Co 합금 도금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전류 밀도 및 전해용액 속 Co 함량과 같은 다양한 제조 조건에서 Zn-Co 전착의 조성을 조사하여 시료의 Co 함량에 대한 전기도금 조건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음극 과전압 및 확산 계수에 의해 설명하였다. 전류 밀도가 증가하고, 전해액 온도가 감소하고, 전해액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음극의 과전압이 증가한다. 음극의 과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화분극보다 농도분극이 중요하게 된다. 농도분극은 확산 층 내에서 물질 전달은 확산에 의해 결정된다. 일정한 농도분극에서는 확산계수가 큰 원소가 다량 확산하게 된다. 즉 음극의 과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확산계수가 큰 Zn 함량이 증가한다.

Observation of Moisture Content in Wood at Non-Steady State

  • Hwang, Sung-Wook;Lee, Won-Hee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9-604
    • /
    • 2009
  • For the search of unified law of moisture movement in wood, moisture distribution of Korean red pine at non-steady state was investigated. We assume that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in wood depends on only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t can be control in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If temperature is constant and humidity or vapor pressure is changed with sin curve shape at adequate cycles, EMC in chamber can be changed as well with sin-curve shape. The setup condition of a non-steady state in humidity control chambers is a constant temperature at $20^{\circ}C$ and 15+10 sin ${\omega}t$ percent EMC. It can b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moisture in the specimen with varying relative humidity are illustrated various types. Moisture in wood is complicated and vibrates with the moisture sorption process. Considering a unified law of moisture movement in wood,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 is to search the method of precise diffusion & transfer coefficients.

  • PDF

물성치 모델개발을 통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시간의존 해석 (Time-dependent Analysi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Material Characteristics Model)

  • 이태규;김혜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6-1101
    • /
    • 2008
  • Concrete is shown the time dependent behavior after placing. The time dependent behavior of normal strength concrete that is used usually in present, were already examined closely lots of parameters by several investigators. however, high strength concrete is tha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not definite and the experimental data are lacking.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models, and to develop the routine of the time dependent behavior above 60 MPa. The thermal conductivity, the specific heat, the moisture diffusion coefficient, and the surface coefficient are proposed the suitable models through the parametric study. The structural element is used the 8-node solid element. The matrix equation is developed considering the transient heat transfer and moisture diffusion theory. The application of the time dependent behavior is used the finite differential method.

  • PDF

$^{14}C$-radiolabeled MIB와 HSDM을 이용한 최적 PAC 투입량 예측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Optimum PAC Dose Prediction Program using $^{14}C$-radiolabled MIB and HSDM)

  • 김영일;배병욱;김규형;홍현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23-1128
    • /
    • 2005
  • 흙냄새 혹은 곰팡이 냄새 등을 야기시키는 MIB는 남조류나 방선균등에 의해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MIB는 일반적인 정수공정(응집, 침전, 여과)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돗물에 수 ng/L정도만 존재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심미적인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MIB는 정확한 양의 PAC가 투입될 때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대부분 정수장 운전자들은 PAC를 적당히 투입한 다음 처리 후 직접적인 관찰(냄새감지)에 근거하여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과잉투입 혹은 과소투입과 같은 결과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14}C$-radiolabled MIB을 이용한 등온흡착 및 흡착동역학 실험을 수행하여 HSDM에 필요한 물질전달계수와 표면확산계수를 결정하였다. HSDM은 실제 실험을 잘 모의하였으며, 실험 결과 또한 정확히 예측하였다. HSDM 결과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Excel spreadsheet을 이용하여 최적 PAC 투입량 예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2개의 정수장에 적용한 결과 정수장 운전자의 경험에 의해 구해진 실제 PAC 투입량과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해진 PAC 투입량 사이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만약 정수장 운전자가 최적 PAC 투입량 예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C 투입량을 결정한다면, 이 문제는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탄(活性炭)을 이용(利用)한 Trihalomethane의 제거(除去)에 관한 연구(研究) (Removal of Trihalomethane Using Activated Carbon)

  • 정태학;정재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73-7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정수처리과정(淨水處理過程)의 하나인 염소처리(鹽素處理) 결과(結果) 생성(生成)되는 trihalomethane을 활성탄(活性炭)을 사용(使用)하여 흡착제거(吸着除去)할 때의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한 실험(實驗)으로 증류수에 chloroform을 첨가하여 만든 인공시료(人工試料)를 가지고 5가지의 서로 다른 pH-온도(溫度)에 대한 등온흡착실험(等溫吸着實驗)과 회분실험(回分實驗) 실시하였다. 등온흡착실험(等溫吸着實驗) 결과(結果) 평형온도(平衡溫度)와 흡착량(吸着量) 사이의 관계(關係)는 Freundlich 식(式)을 적용(適用)할 수 있었고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pH가 흡착(吸着)에 미치는 효과(效果)는 무시(無視)할만 하였다. 회분흡착실험결과(回分吸着實驗結果)와 이론적(理輪的)인 모형(模型)의 simulation 결과(結果)로부터 계수(係數)를 산정(算定)하였으며 세공확산(細孔擴散)은 표면확산(表面擴散)에 비해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컴팩트형 열교환기의 핀 표면에서 발생하는 경계층이 열교환기의 전열 및 압력강하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Effect of Boundary Layer Generated on the fin surfaces of a Compact Heat Exchanger on th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 김철호;정지용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2-88
    • /
    • 1998
  • As a par of a projec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algorithm of a compact heat exchanger for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home appliances, the effect of the discreteness of the airflow boundary generated on the cooling fin surface on th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the heat exchanger was studied numerically. In general, there are two critical design parameters seriously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rate(Q) and pressure drop coefficient(C/sub p/). Even though the higher heat transfer rate with lower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is required in a design of the heat exchanger, it is not an easy job to satisfy both conditions at the same time because these two parameters are phenomenally inversely proportional. To control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and its length along the streamline, the surface of the flat fin was modified to accelerate the heat transfer rate on the fin surfac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discreted fin size(S/sub w/) and its location(S/sub h/) on the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in the airflow field, the flat fin was modified as shown in Fig. 1.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and more number of slits on the fin surface showed the higher energy diffusion rate. It means that the discreteness of the boundary layer is quite important o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heat exchanger. On the other hand, if the fin surface configuration is very complex than needed, higher static pressure drop occurs than required in a system and it may be a reason of the induced aerodynamic noise in the heat exchanger.

  • PDF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축중합 반응에서 물질 전달 현상 (Mass Transfer Phenomena in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Poly(ethylene naphthalate))

  • 이성진;정성일
    • 폴리머
    • /
    • 제28권2호
    • /
    • pp.121-127
    • /
    • 2004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축중합 반응은 가역반응이므로 부반응 물질인 에틸렌 글라이콜의 신속한 제거가 높은 분자량의 제품을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올리고머로 박막을 제조하여 실제 반응기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28$0^{\circ}C$, <0.1mmHg) 반응시켜 이 때 일어나는 물질 전달 현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여러 가치 두께의 박막을 제조하여 반응 실험한 결과 두께가 0.025cm 이하의 영역에서는 박막에서의 물질 전달 저항이 크지 않아 총괄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물질 전달 모델 및 확산 모델을 사용하여 반응 결과를 예측한 결과 두 모델 모두 실험 결과를 잘 예측하였으나 확산 모델의 경우 중합도가 낮은 영역에서 물질 전달 모델에 비해 반응이 더 빨리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모델을 이용하여 물질 전달 관련 계수를 예측한 결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서의 확산 계수는 4.7${\times}$$10^{-6}$$\textrm{cm}^2$/sec, 물질 전달 계수는 1.4${\times}$$10^{-4}$cm/sce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경우보다 작은 값을 보였다.

Parameter Estimation of Perillyl Alcohol in RP-HPLC by Moment Analysis

  • Row Kyung Ho;Lee Chong Ho;Kang Ji Ho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1호
    • /
    • pp.16-20
    • /
    • 2002
  • Parameter estimations were made for the reversed-phase adsorption of perillyl alcohol (POH), a potent anti-cancer agent, on octadecylsilyl-silica gel (OD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ODS was about $15\;{\mu}m$, and the particles were packed in the column $(3.9\;\times\;300mm)$. The mobile phase used was a mixture of acetonitrile and water, in which the acetonitrile ranged between 50 and $70\;(v/v\;\%)$. The first absolute moment and the second central moment were determined from the chromatographic elution curves by moment analys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POH solutions within the linear adsorption range. The fluid-to-particle mass transfer coefficient was estimated using the Wilson-Geankoplis equation. The axi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the intra particle diffusivity were determined from the slope and intercept of a plot of H vs $1/u_0$,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s of each mass-transfer step were axial dispersion, fluid-to-particle mass transfer, and intraparticle diffusion.

대칭형 다공성 매질의 확산주도 영역에 관한 1차 물질이동 방정식 (First-Order Mass Transfer in a Diffusion-Dominated (Immobile) Zone of an Axisymmetric Pore: Semi-Analytic Solution and Its Limitations)

  • 김영우;강기준;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64-46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 MIM Zone model과 새로이 유도한 모델과 비교를 통해 몇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MIM model 이 적용되면 immobile 영역에서의 초기농도는 기공의 형태에 의해 달라지는 보정계수에 의해 실제농도보다 저평가되었으며 이는 오직 확산이 기공의 가장 깊은 부분까지 시행된 이후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물질이동계수, $\alpha$는 기공의 깊이에 따라 반비례하며, 유동 구역의 유속에는 종속되어지지 않는다. 기존의 MIM model 은 확산주도영역의 농도가 급속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주는데 새로이 유도된 모델의 경우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후 비슷한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의 여러 실험에서 관찰된 power-law BTC 의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