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ie-Hellman key exchang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Diffie-Hallman 키 교환을 이용한 확장성을 가진 계층적 그룹키 설정 프로토콜 (Scalable Hierarchical Group Key Establishment using Diffie-Hallman Key Exchange)

  • 박영희;정병천;이윤호;김희열;이재원;윤현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5
    • /
    • 2003
  • 안전한 그룹 통신은 그룹에 속한 멤버들만이 안전하면서도 비밀스럽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며, 안전한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그룹키를 분배하고, 그룹 멤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그룹키를 생성, 분배 그리고 갱신하는데 있어 적은 통신량과 연산량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잘 알려진 두 멤버간의 Diffie-Hellman 키 교환과 완전 이진 트리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모듈러 멱승 연산의 일부를 곱셈 연산으로 대체하여 한 멤버에게 필요한 멱승 연산량을 최소화시킨다. 그리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은 그룹의 크기에 관계없이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멤버는 항상 일정한 모듈러 멱승 연산과 곱셈 연산을 수행하며, 기존 프로토콜보다 전체 모듈러 멱승 연산량도 적다.

상호 실체인증 기능을 갖는 안전한 키 교환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Secure key Exchange based on the Mutual Entity Authentication)

  • 강창구;최용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8호
    • /
    • pp.2083-209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Diffie-hellman(DH) 키 교환 원리를 응용하여 상호 실체 인증 기능을 갖는 2-페스와 3-패스의 2가지 키 교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의 키 교환 안전성은 본래의 DH 키 교환 메커니즘과 동일한 이산대수 문제와 관계되며, 상호 실체인증의 안전성은 사용된 디지털 서명구조 및 포함된 인수들에 의존한다. 제안된 방식은 Kerberos, X.509 인증 교환방식 및 ISO 3단계 인증 프로토콜 보다 단순하고 효과적이며, 다양한 형태의 신분위장, 재전송 및 가로채기 공격 등을 방어할 수 있다.

  • PDF

이기종 시스템에서 안전한 데이타 전송을 보장하는 웹 보안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Security Module for a Safe Data Transmission in Heterogeneous Systems)

  • 김기성;김광;허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2호
    • /
    • pp.1238-1246
    • /
    • 2005
  • 본 논문은 이종의 시스템에서 안전한 데이타 전송을 만족하는 웹 보안 모듈을 구현한 내용에 대해서 언급한다. 웹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과 많은 정보를 주었고 웹 서비스 사업이 활발해졌으나 웹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보안상의 취약점인 데이타 유출에 의한 손실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많은 대응들이 있지만 좀더 효과적이고 편리한 데이타 보안을 위해 서버 클라이언트 보안 모듈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보안 모듈은 크게 두 개의 모듈로 구현된다. 하나는 웹 서버에서 동작하는 서버 보안 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보안 모듈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보안 구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간단한 모듈의 설치로 안전한 데이타 전송을 보장한다. 속도에 민감한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빠른 암호화 통신을 위한 대칭 암호화 방식인 Triple-DES를 사용하였으며 키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Diffie-Hellman 키(key) 교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칭 암호화에서 발생하는 키 분배 및 관리문제와 속도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DH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안전한 데이타 보안을 위한 인증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세션 키 설정 방안 (A Session Key Establishment Scheme in Mobile Ad-Hoc Networks)

  • 왕기철;정병호;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4호
    • /
    • pp.353-362
    • /
    • 2004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무선채널을 통해 데이타가 전송되고 중앙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용자원이 빈약하고 여러 가지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임의의 두 노드간에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통신부하가 작은 세션 키 설정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기존의 키 설정 방법들은 모든 노드들에게 동일한 그룹 키를 분배하거나 효율적인 공개키 관리를 위한 방법들에 집중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간에 안전하게 그리고 작은 부하로 세션 키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밀 분산기법과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한다. 클러스터내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각 노드들은 클러스터내에서는 부분 비밀키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자신의 클러스터 헤드와 세션 키를 생성한다. 또한 다른 클러스터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각 노드들은 상대방 노드의 공개키와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하여 세션 키를 설정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험을 통하여 클러스터 헤드 인중기반의 방법(1)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Quorum based Peer to Peer Key Sharing Protocol over Wireless Sensor Networks

  • Yang, Soong-Yeal;Won, Nam-Sik;Kim, Hyun-Sung;Lee, Sung-Woon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445-448
    • /
    • 2008
  • The key establishment between nod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secure the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ome researcher used the probabilistic key sharing scheme with a pre-shared key pool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and the key disclosure possibility.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possibility that some nodes do not have a common share in the key p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ise a peer to peer key sharing protocol (PPKP) based on Quorum system and Diffie-Hellman key exchange scheme (DHS). The PPKP establishes a session key by creating a shared key using the DHS and then scrambles it based on Quorum system to secure that. The protocol reduces the number of necessary keys than the previous schemes and could solve the non-common key sharing possibility problem in the probabilistic schemes.

  • PDF

CDN에서 패스워드를 이용한 키 교환 프로토콜 (Key Exchange Protocol using Password on CDN)

  • 신승수;한군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33-141
    • /
    • 2005
  • 디지털 콘텐츠는 품질의 손상 없이 복제되어 인터넷을 통해 배포 가능하며, 이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에게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키 교환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의 편의성과 실행 속도, 보안성 문제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패스워드 기반의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의 안정성은 이산대수문제와 Diffie-Hellman 문제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패스워드 추측 공격 등 다양한 공격에 안전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 PDF

그룹 서명 기반의 차량 네트워크에서 상호 신분 확인 및 세션키 교환 기법 (Mutual Identification and Key Exchange Scheme in Secure Vehicular Communications based on Group Signature)

  • 김대훈;최재덕;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1-5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증 및 조건부 프라이버시, 부인방지 기능만 제공되는 그룹 서명 기반의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호 신분 화인 및 세션키 교환 기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인증, 조건부 프라이버시, 부인방지, 데이터 기밀성과 같은 보안 서비스들이 요구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그룹 서명 기반의 차량 네트워크 보안 기술들은 신분 확인 후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세션키 교환 과정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인증값으로 매번 다르게 생성되는 Diffie-Hellman 파라미터들의 인증 유효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신분 화인 및 세션키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 기법은 인증값 저장 공간 및 인증값 생성 요청에 대한 통신 오버헤드가 적고, 매번 새로운 Diffie-Hellman 파라미터 생성으로 보다 안전한 세션키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 기법은 다양한 차량 응용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보안 요구사항들을 만족한다.

A Novel Key Sharing Fuzzy Vault Scheme

  • You, Lin;Wang, Yuna;Chen, Yulei;Deng, Qi;Zhang, Huanhu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9호
    • /
    • pp.4585-4602
    • /
    • 2016
  • A novel key sharing fuzzy vault scheme is proposed based on the classic fuzzy vault and the Diffie-Hellman key exchange protocol. In this proposed scheme, two users cooperatively build their fuzzy vault for their shared key using their own biometrics. Either of the users can use their own biometrics to unlock the fuzzy vault with the help of the other to get their shared key without risk of disclosure of their biometrics. Thus, they can unlock the fuzzy vault cooperatively. The security of our scheme is based on the security of the classic fuzzy vault scheme, one-way hash function and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in a given finite group.

난수 재사용 기법을 이용한 다중 키 교환 프로토콜 (Pairwise Key Agreement Protocols Using Randomness Re-use Technique)

  • 정익래;이동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7호
    • /
    • pp.949-958
    • /
    • 2005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세션키를 교환하는 키 교환 스킴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런 상황은 사용자들을 그래프 노드들로 표현하고 두 사용자간에 키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을 에지로 표현하는 키 그래프에 의해서 묘사될 수 있다. 우리는 키 그래프에 있는 모든 에지들을 위한 세션키들을 하나의 세션에서 동시에 만드는 키 교환 스킴을 설계한다. 키 그래프를 위한 키 교환은 양자간 키 교환의 확장판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양자간 키 교환 안전성 모델을 확장해서 키 그래프를 위한 키 교환 안전성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란수 직 산용 테크닉을 사용해서 두개의 키 그래프를 위한 키 교환 스킴을 설계하며 안전성을 증명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스킴들의 안전성은 decisional Diffie-Hellman 가정에 의존한다. 첫 번째 스킴은 일 라운드 키 교환 프로토콜이며 키 독립성을 보장한다. 두 번째 스킴은 일 라운드이며 전방위 안전성을 보장한다. 제안하는 두 가지 스킴들의 안전성은 모두 표준 모델에서 증명된다. 제안되는 프로토콜들은 최초의 다중 키 교환 프로토콜이며, 단순히 양자간 키 교환 프로토콜들을 반복 사용해서 키들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예로서 한 사용자가 n명의 다른 사용자와 키를 만든다고 가정하자. 가장 단순한 프로토콜은 각각의 사용자들과의 키 교환을 위해서 양자간 키 교환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때는 계산량과 메시지 전송량이 n에 비례하게 된다. 제안되는 프로토콜들은 n개의 키를 만드는데 있어서 계산량은 n에 비례하나 전송되는 메시지의 양은 교환되는 키들의 수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대칭형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을 이용한 비대칭형 프로토콜의 설계 기법 (Method to Obtain Asymmetric Authenticated Key Exchange Protocols from Symmetric Ones)

  • 양대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179-187
    • /
    • 2004
  • 대칭형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및 키교환 프로토콜은 비대칭형 프로토콜보다 설계, 분석, 효율면에서 더 좋은 성질을 가진다. 하지만, 인증 서버가 공격당하는 경우 대칭형 인증 프로토콜은 쉽게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노출된다. 비대칭형의 안전성 증명을 가지는 PAK-X나 SNAPI-X같은 프로토콜이 제안되었지만, Diffie-Hellman 키교환에 비해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패스워드 기반의 대칭형 인중 및 키교환 프로토콜을 비대칭형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