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ial reaction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7초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β, TNF-α, iNOS 유전자 차등 발현 연구 (Investigation of the IL-1β, TNF-α and iNOS gene differential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by the water extract of Angelicae Radix from Korea, China and Japan)

  • 한효상;홍성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13-522
    • /
    • 2017
  •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대식세포에 참당귀(AG), 중국당귀(AS), 일당귀(AA)를 6시간과 24시간을 반응시킨 뒤 시간별로 나타나는 inflammation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PS-induced RAW 264.7 대식세포에 AG, AS, AA를 6시간 반응 시킨 경우 $IL-1{\beta}$, $TNF-{\alpha}$, iNOS의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AA에서 더 높은 Anti-inflammatory effect를 확인하였다. AG, AS, AA가 RAW 264.7 대식세포의 cell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TS Assay(24시간)를 수행한 결과 $1,600{\mu}g/ml$ 농도에서 모두 증가시켰다. AG, AS, AA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대식세포에 6시간동안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G와 AA를 $200{\mu}g/ml$ 농도로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beta}$, $TNF-{\alpha}$, iNO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AG, AS, AA는 RAW 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nflammation 반응을 촉진하며, 24시간 뒤 inflammation의 억제를 유도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다양한 염증 반응 메커니즘에 미치는 작용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제올라이트/DGEBA 복합재료의 경화 동력학과 기계적 계면특성 (Cure Kinetics and Mechanical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Zeolite/DGEBA Composites)

  • 박수진;김영미;신재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72-4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표면처리된 제올라이트에 따른 제올라이트/DGEBA의 경화 동력학과 기계적 계면특성을 고찰하였다. 경화제는 4, 4''-diamino diphenyl methane(DDM)을 사용하였으며, 제올라이트는(PZ) 15와 35 wt% KOH (15-BZ 그리고 35-BZ)로 표면처리하여 XPS와 XRD로 분석하였다. 경화 동력학은 DSC로 분석하였으며, 시편의 기계적 계면특성은 임계응력 세기인자(critical stress intensity factor, $K_{IC}$)와 임계변형에너지 방출속도(critical strain energy release rate, GIC)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XPS와 XRD의 결과로부터, KOH로 표면처리된 제올라이트는 나트륨 (Na)이 칼륨(K)으로 이온교환되었으며, 표면처리로 인한 Al-O의 결합세기의 약화로 $Si_{2p}/Al{2p}$의 값이 증가하였다. 동적 DSC와 기계적 계면특성 결과로부터, 제올라이트/DGEBA 중에서 15-BZ의 경화 활성화에너지($E_a$)는 감소하였으며, $K_{IC}$$G_{IC}$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제올라이트의 표면처리에 의해 산성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렇게 증가된 산성도가 제올라이트와 에폭시 사이의 경화반응에 영향을 준 것으로 관찰된다.

에폭시/나일론6 블랜드의 경화 동력학 및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ure Kinetics and Thermal Stability of Epoxy/Nylon 6 Blend)

  • 김동규;김관우;한웅;곽이구;김병주
    • 공업화학
    • /
    • 제26권5호
    • /
    • pp.538-54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epoxy (Diglycidylether of bisphenol-A, DGEBA)에 대한 nylon 6의 혼합비가 각각 0, 10, 20, 30, 40 wt%로 블랜딩한 혼합 수지를 시차 주사 열량계(DSC)와 열 중량 분석(TGA)을 사용하여 경화 동력학 및 열안정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nylon 6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발열 온도($T_{max}$)가 낮아지며, 경화 활성화 에너지($E_a$) 값은 감소하였다. 이는, nylon 6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GEBA와 결합이 빠르게 이루어져 최대 발열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DGEBA/nylon 6의 TGA 분석 결과 nylon 6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안정지수($A^*{\cdot}K^*$) 및 적분 열분해 진행 온도(IPDT)에 입각한 열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열성이 우수한 nylon 6가 DGEBA와 결합하여 DGEBA/nylon 6 내부에 유입되는 열을 흡수하고, 열전달 및 확산을 제어하여 열안정성 인자들의 값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굴참나무 촉매열분해에 바이오매스 반탄화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iomass Torrefaction on the Catalytic Pyrolysis of Korean Cork Oak)

  • 이지영;이형원;김영민;박영권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50-35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굴참나무의 열분해 및 촉매 열분해에 바이오매스 반탄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굴참나무와 반탄화된 굴참나무의 열분해 및 촉매 열분해 거동은 열중량분석 결과와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한 급속열분해 반응에서 얻어진 바이오오일의 생성물분포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굴참나무와 반탄화된 굴참나무의 열중량 곡선 및 미중열중량곡선은 굴참나무 내 헤미셀룰로오스의 제거량은 반탄화 온도 및 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굴참나무의 반탄화과정에서 헤미셀룰로오스의 제거로 굴참나무 내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함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열분해 과정에서 오일의 수율은 감소하고 고형 촤 수율은 증가하였다. 반탄화 굴참나무의 열분해 오일 중 레보글루코산과 페놀류의 선택도는 굴참나무 열분해 오일에 비해 높았다. 바이오오일 중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HZSM-5 ($SiO_2/Al_2O_3=30$) 상에서 굴참나무 및 반탄화된 굴참나무의 촉매열분해를 적용함으로써 증가되었다. 굴참나무에 비해, 반탄화 굴참나무는 HZSM-5를 이용한 촉매 열분해를 통한 방향족화합물 형성에 더 높은 효율을 보였고 더 높은 반탄화 온도($280^{\circ}C$) 및 반응온도($600^{\circ}C$)를 적용함으로써 극대화되었다.

RDA method(Subtraction PCR) 기법을 이용한 닭의 Salmonella pullorum과 S gallinarum의 specific DNA fragment 분리 연구 (Specific DNA fragment analysis of Salmonella pullorum and S gallinarum by subtraction PCR)

  • 박재명;이종진;최해연;조우영;이경현;송재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1
    • /
    • 2005
  • Pullorum disease and Fowl typhoid are kind of poultry specific disease for poultry. The peculiar character of these poultry specific diseases is that it can be infected by transmitt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so it is hard to be discovered by clinical sign, and pathology or immunology. So, to develop the PCR method which distinguishes these two genetically similar diseases of separated the specific DNA fragment from each strain and use it for differential diagnosis by subtraction PCR method. Standard strain of S gallinarum and S pullorum, and field isolation strain were verified by biochemistry, It confirmed existence of plasmid by using the PFGE. Then, Isolated DNA from it and used it as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After cutting genomic DNA of two strains by using Sau 3Al, It ligated primer to tester DNA for PCR amplification and separated specific DNA fragment bacteria with method of subtraction PCR. And, It confirmed that it is a piece of unique DNA in every bacteria using base sequence of separated DNA fragment. 1. The six specific DNA fragment were separated from the DNA of S gallinarum and S pullorum by the subtraction PCR method. 2. In the result of comparison after setting base sequence of each fragment, each separated base sequence of DNA fragment they did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3. As the result of each DNA fragment is derived from the each strain of DNA, and there was no homology of genomic DNA level in mutual. 4. The fragment originated in plasmid and includes S pullorum did not separate. 5. In the result of searching base sequence in Genebank, it partially shows homology in Salmonella enterica, S typhimurium, S dublin, Escherichia coli, Shigella flexneri, Yersinia pestis, Klebsiella pneumoniae. 6. Primer design by S gallinarum DNA 2, 3 fragment used PCR, They are positive reaction in only S gallinarum at 276, 367 bp position.

Characterizations of the bovine subtype Interferon-tau Genes : Sequences of Gen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s in JEG3 Cell

  • Kim, Min-Su;Min, Kwan-Sik;Seong, Hwan-Hoo;Kim, Chan-Lan;Kim, Dongkyo;Imakawa, Kazuhiko;Kim, Sung W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5-347
    • /
    • 2016
  • Multiple interferon tau (IFNT) genes exist in bovine. An antiluteolytic substance secreted by the bovine conceptus and primarily responsible for maternal recognition of pregnancy is bovine trophoblast protein 1 (bIFNT1), a new type I interferon tau (IFNT) gene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whether multiple, distinct gene encode bIFNT1 and other type I bIFNT gene in the bovine genome and to examine expression of bIFNT1 and other bIFNTc1 mRNAs during conceptus development. These transcrips could be regulated through caudal-related homeobox-2 (CDX2) and ETS2 and/or AP1 (JUN) expression, a transcription factor implicated in the control of cell differentiation in the trophectoderm. The presence of mRNAs encoded by bIFNT1 and type I bIFNTc1 genes were examined quantitatively vi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of total cellular RNA (tcRNA) extracted from on day 17, 20 and 22 bovine conceptuses. The expression level of bIFNT1 was higher on day 17 transcripts were gradually weakly detectable on day 20 and 22. However, the other bIFNTc1 gene examined transcripts was highly expressed on day 20 and transcripts were weakly detectable on day 17 and 22 bovine conceptuses. Furthermore, human choriocarcinoma JEG3 was co-transfected with an -1kb-bIFNT1/c1-Luc constructs and several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plasmids. Compared to each -1kb-bIFNT1/c1-Luc increased when this constructs were co-transfected with, ETS2, AP1(JUN), CREBBP and/or CDX2. Also, bIFNTc1 gene was had very effect on activity by alone ETS2, and AP1 (JUN) expression factors in choriocarcinoma JEG3 cell. However, bIFNT1 gene expression of the upstream region was not identified. We demonstrated that the activities of bIFN genes are regulated by differential, tissue-specific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during pregnancy.

흡착 벗김 전압전류법에 의한 에스트론의 정량 (Determination of Estrone by Adsorptive Stripping Voltammetry)

  • 홍태기;경진범;이현정;채명준
    • 분석과학
    • /
    • 제12권1호
    • /
    • pp.34-39
    • /
    • 1999
  • 에스트로겐의 일종인 에스트론은 수은 전극에서 전기 화학적 행동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폴라로그래피로 직접 정량하기는 어렵다. 에스트로겐의 nitro 유도체들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기 때문에 본 물질을 nitration시켜 전압-전류법으로 정량하였다. Nitration 반응은 sodium nitrite를 사용하여, $100^{\circ}C$ 항온조에서 30분동안 가열하였다. 순환 전압-전류법으로 에스트론의 전기 화학적 행동을 조사하였고, 시차 펄스 음극 벗김 전압-전류법으로는 미량의 에스트론을 정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borate buffer 용액내에서 nitrated estrone의 환원 전위는 -0.61 V에서 선명한 봉우리를 나타내었다. Nitrated estrone은 수은 전극에서 비가역과정이고, 수은 방울에 강하게 흡착되었다. 에스트론을 정량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0.05 M sodium nitrite, 0.01 M sodium borate, 흡착 수집 전위는 -0.1 V(vs. Ag/AgCl) 및 pH 11.0 이었다. 흡착 수집 시간은 2분 그리고 주사 속도는 10 mV/sec일 때 에스트론의 검출한계는 $1{\times}10^{-9}M$이었다.

  • PDF

Detec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Glioblastoma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 Yu, Na-Mi;Ahn, Jung-Yong;Choi, Eun-Jin;Hong, Yong-Kil;Kim, Tai-Gyu;Kim, Chang-Hyun;Lee, Kyu-Sung;Kim, Dong-Seok;Kim, Jin-Kye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6호
    • /
    • pp.443-448
    • /
    • 2005
  • Objective: A variety of genetic alterations in human glioblastoma comprises signal trans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control of cellular processes. Subtractive hybridization is potentially a faster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disease state. Using the technique of subtraction, we isolated novel genes that are overexpressed in glioblastoma tissue as compared to normal brain tissue. Methods: We evaluate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enes in each of hybridizing tester and driver cDNAs to digested 130 clones. After sequencing of 130 clones and homology search, this study performed to determine mRNA expression of the unknown gene, "clone 47", in brain tissue, glioblasoma, and several cancer cell line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o test the time course for Go-phase arrest, serum stimulation and expression at various times for RT-PCR performed. Results: We identified 23 novel genes by BLAST of the digested 130 clones. The expressions of "clone 47" mRNA of glioblastoma and several cancer lin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brain tissues and several normal cell lines. We confirmed the mRNA expression of "clone 47" was up-regulation for $0.5{\sim}1hr$ of WI-38 cell differentiation. Conclusion: The novel gene, "Clone 47" is upregulated in glioblastoma tissue and several cancer cell lines. This gene is time dependent activation during time course of serum stimul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lone 47" playa role in brain tumorigenesis and the activation of this "clone 47" may b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GRIM-19 Expression and Function in Human Gliomas

  • Jin, Yong-Hao;Jung, Shin;Jin, Shu-Guang;Jung, Tae-Young;Moon, Kyung-Sub;Kim, I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1호
    • /
    • pp.20-30
    • /
    • 2010
  • Objective : We determined whether the expression of GRIM-19 is correlated with pathologic types and malignant grades in gliomas, and determined the function of GRIM-19 in human gliomas. Methods : Tumor tissues were isolated and frozen at $-80^{\circ}C$ just after surgery. The tissues consisted of normal brain tissue (4), astrocytomas (2), anaplastic astrocytomas (2), oligodendrogliomas (13), anaplastic oligodendrogliomas (11), and glioblastomas (16). To profile tumor-related genes, we applied RNA differential display using a $Genefishing^{TM}$ DEG kit, and validated the tumor-related genes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 human glioblastoma cell line (U343MG-A) was used for the GRIM-19 functional studies. The morphologic and cytoskeletal changes were examined via light and confocal microscopy. The migratory and invasive abilities were investigated by the simple scratch technique and Matrigel assay.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by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FACS analysis. Results : Based on RT-PCR analysis, the expression of GRIM-19 was higher in astrocytic tumors than oligodendroglial tumors. The expression of GRIM-19 was higher in high-grade tumors than low-grade tumors or normal brain tissue; glioblastomas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After transfection of GRIM-19 into U343MG-A, the morphology of the sense-transfection cells became larger and more spindly. The antisensetransfection cells became smaller and rounder compared with wild type U343MG-A. The MTT assay showed that the sense-transfection cell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ombination of interferon-$\beta$ and retinoic acid than U343MG-A cells or antisense-transfection cell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was related to apoptosis. Conclusion : GRIM-19 may be one of the gene profiles which regulate cell death via apoptosis in human gliomas.

기름골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var sativus Boeck) Starch)

  • 한상하;이현유;금준석;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82-388
    • /
    • 2006
  • 기름골의 이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기름골의 일반성분 및 기름골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름골의 수분함량은 5.4%,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4.2, 7.2%로 비교적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었다. 전분특성과 관련하여 먼저 알카리 침지법에 의해서 전분을 분리하였다. 기름골 전분의 일반성분 결과 전분의 수분함량은 10.10%,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0.41, 0.31%였다. 기름골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41.6%였고 blue value는 0.49, 전분의 최대흡수파장은 628 nm로 조사되었다. 기름골 전분의 백도는 92.23이었으며 물 결합능력은 83%로 조사되었다. 팽윤력과 용해도의 측정결과 $60^{\circ}C$ 이하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60^{\circ}C$를 경계로 $65^{\circ}C$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70^{\circ}C$ 이후에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기름골 전분의 입자형태는 표면이 매끄러운 원형 또는 타원형이었고 입자크기는 약 $10{\mu}m$정도였으며 기름골 생전분의 물결합능력은 83%였다. DSC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호화개시온도는 $72.2^{\circ}C$, 호화최대온도는 $78.3^{\circ}C$, 호화종결온도는 $76.4^{\circ}C$로 나타나 DSC에 의해 측정된 호화온도가 RVA의 호화온도보다 낮았다. 기름골의 호화양상은 RVA와 DSC로 측정하였는데, RVA측정결과 최대 및 최종점도는 각각 385.08, 293.92 RVA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