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iber intake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9초

영양소 섭취 수준과 유방암 위험 - 대구.경북지역 환자-대조군 연구 -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and Risk of Breast Cancer - Case-Control Study in Daegu.Gyeongbuk Area, Korea -)

  • 이은주;이원기;서수원;서보현;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54-766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유방암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열량 및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의 상대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처음 받고 입원한 103명의 유방암 환자와 유방암과 관련된 질환 및 전신 질환이 없으면서 연령(5세 내의 차이) 및 폐경 상태가 동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빈도 짝짓기를 통하여 선정한 159명의 지역사회 대조군이었다. 이들의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영양 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일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환자군과 대조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들을 혼란변수로 통제한 후 열량 및 영양섭취 수준에 따른 상대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높은 BMI와 열량과 당질의 높은 섭취 수준은 유방암 발생의 상대적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지방, 식이섬유,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n-6 지방산, 비타민 E, 칼슘은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당질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 위험이 유의하게 높고, 총지방, 식이섬유,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 n-6 지방산, 비타민 E, 엽산, 칼슘, 인, 칼륨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총지방, 콜레스테롤, 다불포화지방산, n-6 지방산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경우 식물성 급원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의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구 경북지역에서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는 영양섭취상태는 열량과 당질의 높은 섭취이며, 한편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는 영양섭취 상태는 높은 지방의 섭취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경우 식물성 급원의 섭취가 높을 때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 섭취량과 유방암 위험도 사이에 정의 상관성을 보고한 일부 국외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그 원인으로는 한국인의 경우 식물성 지방 섭취의 비율이 서구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는 미량 영양소로는 비타민 중에는 E와 엽산, 무기질로서는 칼슘, 인 그리고 칼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으로서 조사 사례수가 적다는점을 들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인 지방섭취와 유방암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보다 많은 사례를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를 통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민의 유방암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의 일부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섬유질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on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Early Pregnant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이성훈;김상우;김영근;상병돈;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100
    • /
    • 2007
  • 본 연구는 섬유질배합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임신흑염소의 적정 조단백질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임신초기흑염소 12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조단백질 10, 12 및 15%)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유질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89.0{\sim}91.0%$를 나타내었고, ADF와 NDF 함량은 $18.87{\sim}19.85$$53.41{\sim}54.80%$로 나타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섬유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TMR10, TMR12 및 TMR14구가 각각 10.61, 12.15 및 14.97% 이었다. 하지만, NFC 함량은 섬유질배합사료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물섭취량, 영양소 섭취량 및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은 TMR15와 대조구가 TMR10과 TMR12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비율에서도 대조구와 TMR15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소화율은 $69.01{\sim}70.33%$ 범위로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 소화율은 세 수준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섬유질배합사료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섬유질배합사료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 및 축적율에서는 TMR15구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사료 내 증가하는 수준의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섭취량 및 질소 축적을 증가시켰고, 특히 TMR 사양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의 조단백질수준은 적어도 15%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함량으로 낮아졌다. 비보존성 반응(즉 침전, 흡착, 산화, 용해 등)과 보존성 반응(예: 수리학적 혼합)은 미량원소가 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기작이었다.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상군에 비해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총수는 43.9%(1형: $23.7%\downarrow$, 2형: $17.8%\downarrow$, 3형 : $56.2%\downarrow$) 감소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saicin 투여에 의해 성숙흰쥐의 근육층 신경얼기에서 칼슘채널 ${\alpha}_{1B}$ subunit의 면역활성도는 투여 후 1주일가지 빠르게 저하되며 그 이후부터는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나 완전한 상태로의 회복에는 4주 이상의 시간경과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形態學的) 배양학적(培養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andida guilliermondii var. guilliermondii 로 동정(同定)되었다. 6. CHS-13 균주(菌株)를 당화액(糖化液)에 배양(培養)시켰을 때 Lowry-protein 함량은 $0.72\;mg/m{\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

고지방식이와 식이섬유가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Fat Diet and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한정순;한용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0-540
    • /
    • 1994
  • 이유기를 지난 웅성흰쥐를 대조식이 (C), 고지방식이 (HF) 및 고지방 고에너지식이 (HFHE) 로 4 주간 사양하고 일부를 희생시킨 후 , HF 군과 HFHE 군 일부에식이섬유 pectin 과 cellulose를 각각 첨가한 HF-P , HF-C, HFHE-P , HFHE-C 식이를 C, HF ,HFHE 식이와 함께 4 주간 더 사양한 후 희생시켜 체중증가량, 총 에너지섭취량, 총식이섭 취량, 식이효율, 간장과 비장의 무게, 혈중 지질의 성상 및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관 찰한 결과 체중증가는 C 군, HF 군, HFHE 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식이섬유 첨가 시 모두 체중이 감소되었다. 총에너지 섭취량은 C 군이 가장 많았고, 식이효율은 HF-HE군 이 가장 높았으며, 식이섬유 첨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간장의 무게는 C군 , HF 군, HFHE 군 모두 식이의 영향이 없었고, pectin 과 celulose 첨가에 의한 변화도 나타내지 않았다. 비장의 무게는 C군 보다 HF 군과 HFHE 군이 감소하였으나, pectin 과 cellulose 첨가에 의해서는 변화가 없었다. 혈중 총 지질,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 실험군모두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특히 HFHE 군의 유의성있게 증가 하였고 pectin 과 cellulose를 첨가하였을때는 감소하였으며 pectin이 cellulose 보다 감소효 과가있다.

알로에 잎 분말급여가 육성돈의 증체율과 생리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Aloe Leaf Meal on the Growth Rate and Physiological Parameter of Growing Pig)

  • 성재기;유문일;최민철;윤정희;김동준;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07-416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 value of dried aloe leaf meal and the changes of blood values in growing pigs A total of 48 three crossbred pig(Landrace${\times}$Yorkshire${\times}$Hampshire) weighing average 25kg initially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2 groups of 4 heads(2 females and 2 males) each There groups were alloted on one of the following 3 dietary treatment : non-supplumented diet (control group), diet supplemented with 3% of dried aloe leaf meal(Aloe 3% group), diet supplemented with 6% dried aloe leaf meal(Aloe 6% group). The results obstained in feeding trial for 6 weeks and analysis of bloo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ried aloe leaf meal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9.43% and 15.10%, respectively. Amino acid composition was also inferior to other grain and bran feeds. 2. Daily gain of control, Aloe 3% and 6% groups were 740.5, 658.1 and 197.1 g respectively. Thre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gain among groups( p<0.05) and tended to b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ried aloe leaf meal. 3. Daily feed intake of control, Aloe 3% and Aloe 6% groups were 1,960.5, 1,737.0 and 1,123.0 g,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feed intake among treatments(p<0.05) and tended to b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ried aloe leaf meal. 4. Feed efficiency of control, Aloe 3% and Aloe 6% groups were 2.72, 2.63 and 5.70 respectively. Feed efficiency for pig fed diet supplemented with 3% of dried aloe leaf meal was a little superior to control, al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tained between two treatments. 5.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itrogen free extract and extrac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control group than for Aloe 3% and Aloe 6%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gestibility of crude fat and crude fiber between control and Aloe 3% groups. 6.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aloe leaf meal administrated groups and control group in blood picture and serum chemistry.

  • PDF

Influence of Palm Kernel Meal Inclusion and Exogenous Enzym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Energy Utiliz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Young Broilers

  • Abdollahi, M.R.;Hosking, B.J.;Ning, D.;Ravindran, 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39-54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lm kernel meal (PKM) inclusion and exogenous enzym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n), coefficient of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CAID) and total tract retention of nutrients in young broilers fed corn-based diets. Four inclusion levels of PKM (no PKM [PKM0], 8% [PKM8], 16% [PKM16], and 24% [PKM24]) and two enzyme additions were evaluated in a $4{\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A total of 384, one-d-old male broilers (Ross 308) were individually weighed and allocated to 48 cages (eight broilers/cage), and cag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ght dietary treatmen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lusion of 8% and 16% PKM increased (p<0.05) the weight gain compared to the PKM0 diet. Birds fed the PKM8 diets had the highest (p<0.05)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severely reduced (p<0.05) by feeding the PKM24 diet. Enzyme supplementation increased weight gain (p<0.05), independent of PKM inclusion level. In PKM0 and PKM8 diets, enzyme addition significantly (p<0.05) lowered feed conversion ratio (FCR); whereas enzyme addition had no effect on FCR of birds fed PKM16 and PKM24 diets. In PKM0 and PKM16 diets, enzyme addi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AID of nitrogen and energy but had no effect in the PKM8 and PKM24 diets. Inclusion of PKM into the basal diet, irrespective of inclusion level, enhanced (p<0.05) starch and fat digestibility. Inclusion of PKM at 16% and 24% resulted in similar CAID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but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PKM0 and PKM8 diets. Enzyme addi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PKM inclus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AID of NDF.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AMEn with PKM inclusion of 24%.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inclusion of PKM in broiler diets could be optimized if PKM-containing diets are formulated based on digestible amino acid contents and supplemented with exogenous enzymes. If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AME of PKM considered in the formulation, it can be included in broiler diets up to 16% with no deleterious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청소년기 비만도 지수와 굴절력과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Obesity Index and the Refractive Power in Adolescent)

  • 이완석;예기훈;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9-339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영양소 섭취가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비만도와 굴절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만도는 브로카지수(80.0%미만이면 저체중, 80.0~89.9%이면 체중부족, 90.0~109.9%이면 정상, 110.0~119.9%이면 과체중, 120.0%이상 이면 비만)와 체질량지수(18.5이하이면 저체중, 18.6~22.9이면 정상, 23.0~24.9이면 과체중, 25.0이상이면 비만)로 분류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굴절력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브로카지수와 체질량지수분류에 따른 등가구면 굴절력의 분산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청소년기 15~18세 사이 집단에서 브로카지수와 체질량지수에 따라 등가구면 굴절력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브로카지수가 정상이면서 정시인 기준안을 기준으로 영양소 섭취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 집단은 식이섬유 43.84%, 비타민 C 56.55%, 철 35.20%, 인 31.84%, 그리고 칼륨 38.03%등의 영양 섭취를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력발달에 중요한 성장의 시기에 다양한 영양소의 균형 잡힌 고른 섭취 및 좋은 식습관에 의한 적정 비만도 유지는 건강과 더불어 건강한 시력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 Kil, D.Y.;Ryu, S.N.;Piao, L.G.;Kong, C.S.;Han, S.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90-1798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In Exp. I, a total of fifteen pigs (19.91${\pm}$1.80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ssay of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asurements. All pig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with 3 replicate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in an individual metabolic crate.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BRB-2: basal+brown rice bran 2%, 3) BRB-4: basal+brown rice bran 4%, 4) CRB-2: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2% and 5) CRB-4: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4%.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and crude fiber (CF)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Serum triglyceride (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C3G high black rice bran. However, at the end of experiment, pigs fed rice bran showed decreased tendency i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Especially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pigs fed brown rice bran (p<0.03). There was numerical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 rice bran in the diet. In terms of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ven though pigs fed CRB-4 showed the lowest GOT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pigs. In Exp. II, sixteen finishing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89.96${\pm}$0.35 kg)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numerical decrease in ADG and increase in FCR while not effecting feed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 weight, carcass weight, carcass rate,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However,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tended to show lower backfat thickness than pigs fed basal diet.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a tendency of decreased TBA value than pigs fed basal die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to pigs. However, C3G high black rice bran might have an effect on lowering serum total cholesterol and decrease the TBA value in pork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might be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C3G high black rice bran.

인공 및 천연제올라이트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박재홍;이덕배;김상호;신원집;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92-94
    • /
    • 2001
  • 본 실험은 석탄재를 이용하여 합성한 인공제올라이트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천연 제올라이트와 동일한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 ND항체가등에 미치는 영향을 5주간 고찰하였다. 전기 3주 동안 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 3,100kcal/kg으로 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처리구), 인공제올라이트와 천연제올라이트를 각각 1.5, 3.0%를 육계용 사료에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전체 320수를 공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장내 미생물, 혈중 콜레스테를 및 ND 항체가는 실험종료시에 측정하였고 영양소 이용율은 실험 종료후 대사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증체량은 NZ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AZ 3.0%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요구율은 AZ 3.0% 처리구에 비하여 NZ 3.0%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제올라이트가 육계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NZ 처리구가 감소하였다(P<0.05). 또한 NZ 처리구는 조섬유 소화율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실험의 결과 인공제올라이트는 1.5% 급여구에서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사료내 첨가수준은 1.5%로 사료된다.

  • PDF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및 만성질환에 대한 인식도 (Awareness of Processed Foods and Chronic Disease in 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Area)

  • 구희진;김성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6-84
    • /
    • 2015
  • 용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부 남녀 고등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전반적인 인식도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학생 83.0%, 여학생 91.8%가 가공식품의 과잉섭취가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유해한 가공식품의 종류는 34.1%가 라면이라고 대답하였다. 가장 두려운 만성질환으로 남학생은 암(25.5%)과 비만(25.5%)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여학생은 34.1%가 비만이라고 응답하여 고등학생들은 남녀 공통적으로 비만에 대한 두려움을 표시하였다. 유해한 식품첨가물의 종류에 대한 인식도는 합성방부제라는 응답이 58.1%로 가장 많았으며 합성조미료> 인공색소>인공감미료 순의 결과를 보였다. 안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식품첨가물 정보로는 유해성이 54.2%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영양지식에 대한 분석 결과 심혈관계 질환 유발과 관련된 주요 식품성분들(총 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등)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7.0%, 비만예방을 위한 식이섬유섭취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4.2%의 결과를 보인 반면, 나트륨 이온의 과잉섭취와 고혈압 유발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24.6%로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가공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더불어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만성질환의 발병 및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식품성분들에 대한 지식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에 대한 건전성 및 안전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영양성분의 교육을 통해 건강한 가공식품의 선택적 구매와 건전한 식습관 형성을 유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with fermented whole-crop barley and wheat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 and fecal microbiota in finishing pigs

  • Lee, Chang Hee;Kim, Hyeun Bum;Ahn, Jung Hyun;Jung, Hyun Jung;Yun, Won;Lee, Ji Hwan;Kwak, Woo Gi;Oh, Han Jin;Liu, Shu Dong;An, Ji Seon;Song, Tae Hwa;Park, Tae Il;Kim, Doo Wan;Yu, Dong Jo;Song, Min Ho;Cho, J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665-675
    • /
    • 2018
  • A total of 80 pig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72.9{\pm}2.6kg$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whole crop wheat and barley with or without supplementing inoculums throughout the restricted feeding in finishing pigs. There were 4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Pigs were fed ad libitum throughout the experiment as the control (CON), and the other four groups were restricted to 10% in the CON diet and fed ad libitum fermented whole crop cereals: fermented whole crop barley with inoculums; fermented whole crop barley without inoculums; fermented whole crop wheat with inoculums; and fermented whole crop wheat without inoculum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decreased in the fermented barley and fermented wheat groups compared to the CON,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verage daily gain (ADG), feed efficiency (gain : feed ratio, G : F) between the control and fermented whole crop barley, wheat diet group. Dry matter and nitrogen digesti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the blood constituents,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igs fed fermented whole crop barley without inoculum diet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restricted feeding with fermented whole crop barley and wheat regardless of the supplementing inoculum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ermented whole crop barley and wheat could replace part of the conventional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