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Protein and Lipid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8초

남성 근로자들의 알코올 섭취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the Alcohol Consumption Level in Male Workers)

  • 최선영;강영순;김경업;박미영;김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9-6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hropometry, nutrient intakes, dietary - related behaviors and health - related behaviors of male workers that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alcohol consumption. The mean height, weight and BMI of all subjects were 172.0$\pm$5.8 cm, 67.8$\pm$9.3 kg and 22.9$\pm$2.6 kg/$m^2$, respectively. The WHR was higher in the heavy drinking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p<0.01), while the other anthropometric indi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calorie intake was highest(p<0.001) in the heavy drinking group(3,270.4$\pm$686.5 kcal), followed by moderate(2,602.8$\pm$415.8 kcal) drinking group and light drinking group(2,341.5$\pm$449.4 kcal). As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carbohydrates and lipids, while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ercent of energy derived from proteins and alcohol(p<0.001). The heavy and moderate drinking groups had a highers intake of protein compared to the light drinking group, and the heavy drinking group had a higher intake of lipid compared to the light and moderate drinking groups(p<0.01). The intakes of vitamin $B_2$,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in the moderate group than the other groups(p<0.01). The average MAR(Mean adequacy ratio) was 1.44$\pm$0.35 and the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for folic acid, was much higher than the Korean RI(Recommended intake). The fruit intake frequency and sleeping hours were the lowest in the heavy drinking group(p<0.05) and the subjects preferred the following order of food products when they drink: meat(42.5%), fish & shellfish(30.0%), fruit & vegetable(22.5%) and others(5.0%) as a side dish. The average rates of smoking and exercise for all the subjects were 77.5% and 67.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vy alcohol drinkers were more prone to abdominal obesity and relate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dicating the need for ex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for heavy alcohol drinkers.

국내산 고아밀로오스 쌀가루의 특성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from Domestic High Amylose Rices)

  • 최신영;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0
    • /
    • 2009
  •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기능성 고아밀로오스 쌀로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쌀가루를 제조하여 가공에 사용하기 위하여 국내산 고아밀로오스 쌀인 고아미와 고아미 2호, 수입쌀인 태국산 쌀을 처리하여 120 mesh를 통과한 쌀가루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식이섬유 함량과 호화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단백질 함량과 총 전분함량은 고아미 2호가 가장 낮았고 회분과 지질함량은 가장 높았으며 고아미와 태국산의 차이는 없었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과 물 결합능력, 총 식이섬유 함량은 고아미2호 쌀가루가 높았다. 태국산 쌀가루는 팽윤력이 높았고 호화특성 중피크점도, 냉각점도, total setback점도가 높았다. 반면 고아미 2호는 호화개시온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피크, 냉각 및 setback 점도를 포함한 모든 점도가 가장 낮아 호화와 겔 형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아미와 태국산 쌀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쌀의 결정형인 A형 이었지만 고아미2호는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과 같은 B형을 나타냈다. 고아미 2호 쌀가루의 색은 어둡고 누런색을 띠었으며 명도는 낮고 황색도는 높았다.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일반성분 및 관능적 특성 (Proximate Compositions and Sensory Attributes of Soybean Sprouts with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 이경애;김용호;김희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33
    • /
    • 2016
  • 네 품종의 장려품종 나물콩(녹채콩, 다원콩, 서남콩, 풍산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일반성분 함량과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콩나물을 자엽(머리 부분)과 배축(줄기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일반성분 함량도 측정하였다.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의 탄수화물, 지방질, 단백질, 회분 함량은 자엽이 더 높았으며, 수분 함량은 배축이 더 많았다. 콩나물의 일반성분은 나물콩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데친 후 성분 함량이 변화하였다. 생콩나물은 콩비린 맛과 풀맛이 약하고 고소한 맛과 단맛이 강할수록, 데친 콩나물은 콩비린 맛과 풀맛이 약하고, 고소한 냄새, 고소한 맛, 단맛이 강할수록, 콩나물무침은 고소한 맛과 단맛이 강할수록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생콩나물에서 기호도가 가장 좋았던 서남콩 콩나물과 풍산나물콩 콩나물은 데친 콩나물과 콩나물무침에서도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서남콩과 풍산나물콩이 데친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용 콩나물 생산에 적합한 나물콩으로 생각되었다.

유색미가루와 현미가루를 첨가한 국수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 이원종;정진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7-278
    • /
    • 2002
  • 단백질 함유량은 유색미가루가 밀가루보다 적지만 현미가루보다는 함유량이 많았고, 지방함량과 회분함량에서는 현미와 비슷하였다. 현미가루는 유색미가루보다 peak viscosity, holding viscosity, breakdown viscosity, final viscosity에서 높았을 뿐만 아니라 setback viscosity에서도 높았지만 유색미가루는 호화점도에서 현미가루 뿐만 아니라 밀가루보다도 월등히 낮았다. 현미가루와 흑미가루는 5.3~6.4%의 총 식이섬유를 함유하였으나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낮은 반면 주로 불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건조면과 조리면의 cutting force는 현미가루와 유색미가루의 혼합비율을 높이면 감소하였고 조리면의 경우에는 찰흑미가루 10%와 화성현미가루 20%를 첨가했을 때 밀가루 100%로 만든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국수의 기능성을 높이고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미가루와 유색미가루를 10~30%를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험한 결과 현미가루 20%와 찰흑미가루 20%를 첨가한 국수가 가장 높은 관능적 평가를 받았다.

  • PDF

콩가루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ream Soup prepared with Soybean Flour)

  • 김현조;박진주;이주연;황은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27-4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콩가루의 함량을 달리하여 수프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 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콩가루 첨가 수프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고,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수프의 수분함량은 82.07~83.52%로 대조군과 콩가루를 30~50%까지 첨가하여 제조한 수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콩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콩가루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수프의 pH와 총산도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당도는 콩가루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콩가루 첨가 수프의 색도는 콩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높아지고,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콩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도 콩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인 특성은 콩가루 첨가량이 40%일 때, 향, 맛, 점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부드러움과 고소한 맛에 대한 강도를 높이며, 느끼한 맛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콩가루를 첨가한 수프의 제품화 가능성은 긍정적이라 사료되며 수프에 콩가루를 첨가할 경우에는 밀가루 대비 40%의 콩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품질, 항산화활성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배합사료내 오징어분, 먹이유인물질, 한약제 및 lecithin의 첨가가 참전복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Squid Meal, Attractant, Herb or Lecithin in the Formulated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임영수;이종관;박승렬;명정인;박윤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0-294
    • /
    • 1999
  • 참전복의 성장을 증진시키거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탐색하기 위해, 오징어분 $5\%$, 먹이유인물질 $0.5\%$, 한약제$1\%$ 및 lecithin $0.5\%$를 각각 첨가한 배합사료를 설계하여 외국에서 수입된 상품사료와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150mg의 참전복 치패를 대상으로 각 사료당 4반복으로 18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 최종 평균체중은 한약제를 첨가한 실험구가 720mg으로 가장 높았고, lecithin를 첨가한 실험구가 610mg으로 가장 낮았으며 (P<0.1), 상품사료는 660 mg이었다. 생존율과 가식부의 일반성분은 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0.1). 증체율은 한약제 첨가 사료가 $405\%$로 가장 높아 오징어분 첨가구, lecithin 첨가구 및 상품사료의 $320\~329\%$ 보다 높았다 (P<0.1). 이와 같이 한약제 첨가구가 오징어 분말, lecithin 및 상품사료보다 성장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어, 한약제의 첨가가 성장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금후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체질량지수 $23\;kg/m^2$ 이상 남녀에서 8 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에 의한 저열량 식이 섭취가 체격지수 및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8 Weeks of Low Calorie Diet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Parameters in the People with BMI Greater than $23\;kg/m^2$)

  • 김윤영;이인회;이인석;조여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25-731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low-calorie diets(LCD) for 8 week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individuals with BMI in excess of $23\;kg/m^2$. 41 over-weight or obese individuals (male=14, female=27, age $28.6{\pm}8.9\;yrs$), none of whom were diagnosed with a medical disease, were administered MNT 4 times over the study period. Approximately $1,100{\sim}1,300\;kcal/day$ were prescribed by a dietitian, via individualized counsel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daily nutrient intake, and blood levels of leptin, insulin,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prior to and after the 8 weeks of the intervention period. We no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fat mass (FM), visceral adipose tissue (VAT),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and waist circumference in both men and women. The mean body weight losses in men and women were $3.2{\pm}0.6\;kg$/8 weeks and $2.8{\pm}0.6\;kg$/8 weeks, respectively. However, the % of lean body mass (LBM) in men and women was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daily intake of calorie, fat, protein, vitamin E, folate, and ir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LCD period. Blood levels of lipids and glucose were in normal range, and evidenced no changes after LCD. However, the serum levels of leptin in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0l) from $8.9{\pm}4.8\;ng/mL$ to $6.9{\pm}4.8\;ng/mL$. In conclusion, 8 weeks of LCD with individualized counseling by a dietitian effectively reduced body fat and visceral fat in both men and women with BMI in excess of $23\;kg/m^2$.

  • PDF

제분방법에 따른 쌀보리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rinding Mill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78-1083
    • /
    • 1996
  • 쌀보리를 정맥기를 사용하여 도정한 정맥에 대해 제분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분한 결과 보리가루는 입도 분포에서 차이를 나타내 Jet mill로 제분한 보리가루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았으며 그 다음으로 Pin mill과 Cyclotec sample mill에 의한 입자 크기가 작았고 Ball mill과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가루는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색이 밝고 전분 손상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보리가루의 표면구조는 크고 작은 전분 입자, 주름진 세포벽 물질 등으로 관찰되었으며 가루 입자의 형태 및 크기가 제분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보리가루는 손상된 전분의 양이 많을수록 높은 수분흡수지수 및 보수력을 나타냈으며 수분용해도지수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가루의 호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보리가루의 점도는 입자가 크게 분쇄된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에서 가장 낮았으며 Pin mill과 Cyclotec mill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Jet mill은 호화가 빨리 진행된 반면 점도의 상승은 크지 않아 지나친 전분의 손상은 점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솔잎 열수추출물 소스를 첨가한 양념돈육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Meat Added with the Sauce of Pine Needle Extract during Storage)

  • 김하윤;황인국;신영지;김석영;황영;유선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3-60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the color,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nd total bacterial number of seasoned pork meat stored at $4^{\circ}C$ for 9 days. The pH levels of sauce samples were not affected by the mixing rate of the extracts. Acidity, soluble solids, and salinity gradu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the sauce ranged from $1.01{\pm}0.02$ mg GAE/mL to $1.41{\pm}0.04$ mg GAE/m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06{\pm}0.01$ AEAC to $0.12{\pm}0.01$ AEA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11{\pm}0.01$ AEAC to $0.19{\pm}0.01$ AEAC. The pH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tended to decrease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Hardness and chewiness also in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The TBARS valu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after 6 days (p<0.05). Total bacterial numbers of P5, P10, and P15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aste and pala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 P5, and P10 (p<0.05). Further, flavor, color, tenderness, and juici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easoned pork me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 needle extract can inhibit protein degradation, lipid oxidation, and bacterial growth when used as an additive to seasoned pork meat.

미립자사료에 효모, Kluyveromyces fragilis와 Candida utilis의 첨가가 은어 자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Larval Ayu (Plecoglossus altivelis) Fed the Micro-diets Containing Kluyveromyces fragilis and Candida utilis)

  • 이상민;김동주;김경덕;김중균;이종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24
    • /
    • 2000
  • 은어 자어 배합사료에 효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K. fragilis, protoplasted K. fragilis, C. utilis, protoplasted C. utilis 및 맥주효모를 각각 $5{\%}씩$ 첨가한 6종류의 실험사료를 미립자 크럼블 형태로 제조하여 평균체중 l00 mg 전후의 자어를 대상으로 사육 실험하였다. 사료별 3반복으로 7주간 사육 실험한 후의 생존율은 protoplasted K. fragilis, C. utilis 및 protoplasted C. utilis 첨가구가 $93{\~}94{\%}$로 효모 무첨가구인 대조구의 $87{\%}$보다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으며 (P<0.05), K. fragilis 및 맥주효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증체율은 protoplasted K. fragilis 첨가구가 $149{\%}$로 대조구의 $7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0.05), 그 외 실험구들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전어체의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P>0.05), 지질 함량은 K. fragilis와 맥주효모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전어체의 아미노산 조성중 Asp는 효모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P<0.05), 그 외 아미노산들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C. utilis보다는 K. fragilis를 외벽 처리하여 첨가하는 것이 은어 자어의 성장과 어체 지질 성분을 더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