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8초

사료의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생화학적 변화 III. 절식시 체조성의 변화 (Effects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on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II. Changes of Body Compositions with Starvation)

  • 이상민;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9-211
    • /
    • 1993
  • 조피볼락을 절식시켰을 때 사료의 n-3HUFA 함량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n-3HUFA 함량이 다를 6종의 사료 $(n-3HUFA\; 0\~1.5\%)$로 10주간 사육한 조피볼락을 9주간 절식시킨 결과, 9주 절식 후의 체중감소율은 $14.0\~l7.1\%$ 범위로서 n-3HUFA 함량이 높은 사료를 섭취한 실험구일수록 체중감소가 적었다. 절식기간 중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수분함량이 증가하고 지질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n-3HUFA 함량이 낮은 사료구$(n-3HUFA\;0\~0.3%)$에서 지질함량의 상대변화비율이 높았다 단백질함량은 n-3HUFA 첨가 사료구에서 모두 절식 5주째 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일정한 값을 유지한 반면, n-3HUFA 무첨가 사료구는 5주 이후에도 계속 감소하여 n-3HUFA 함량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어체의 극성지질은 절식기간 중 각실험구 모두 대체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나, 비극성지질이 감소한 결과, 절식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극성지질/비극성지질 비가 증가하여 비극성지질이 절식시의 주 에너지 원으로 사용되었다. 절식후 전어체 극성지질의 DHA 함량은 절식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비극성지질의 지방산조성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 PDF

한국형 NOVA 식품분류체계의 개발 및 한국 성인의 초가공식품 섭취량 추정: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Development of Korean NOVA Food Classification and Estimation of Ultra-Processed Food Intake Among Adults: Using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혜진;박소현;김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55-467
    • /
    • 2022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suggest a Korean NOVA food classifi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food consumption among Korean. Based on this suggestion, the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adults from ultra-processed foods (UPFs) was estimated. Methods: Korean commercial food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the Korea Food Code and expert meetings. Th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of 6,991 participants in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od processing level. Then, 4,152 adult participants (age 19-65) were divided into quartiles on the basis of their intake of UPFs, and the nutrient intakes from UPFs were compared. Results: Korean NOVA Food Classification defines with priority Group I (Unprocessed/ Minimally processed foods) and Group II (Processed culinary ingredients) foods based on the food cooking or consumption. Then, Group III (Processed foods) and Group IV (UPF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used are maintained or whether the food was consumed before the 1970s. Ou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calories in the diet were consumed by Group I (52.7%), followed by Group IV (29.3%). After categorization of the adult participant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energy consumption from UPFs, we found that the highest consumption group (Q4) was younger and had higher percentage of men than wome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by Korean ad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of a younger age and men consumed higher energy from UPFs than older participants and women, respectively (P < 0.01). Furthermore, the larger intake of UPF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ing trend for a higher intake of energy, sugar, saturated fat (P for trend < 0.001), total fat (P for trend = 0.021), and sodium (P for trend = 0.005), whereas the intake of carbohydrate, protein, and dietary fiber had a decreasing trend (P for trend < 0.001). Conclusions: With the current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rocessed and ultra-processed foods,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consider not only nutrient intake but also the level of food processing.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ubtilis TLRI 211-1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eghorn layers

  • Ming-Yang Tsai;Bor-Ling Shih;Ren-Bao Liaw;Wen-Tsen Chen;Tsung-Yu Lee;Hsi-Wen Hung;Kuo-Hsiang Hung;Yih-Fwu Li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4호
    • /
    • pp.609-618
    • /
    • 2023
  • Objective: TLRI 211-1 is a novel Bacillus subtilis strain.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dietary supplementation of TLRI 211-1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ayers.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65-wk-old Leghorn layers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for 8 weeks experiment. Each treatment had three replicates.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as control group with crude protein 17% and metabolizable energy 2,850 kcal/kg and supplemented with TLRI 211-1 0.1%, 0.3%, and commercial Bacillus amyloliquefaciens 0.1% as treatment 2, 3 and 4 groups, respectively. Both TLRI 211-1 and commercial Bacillus amyloliquefaciens were adjusted to contain 1×109 colony-forming unit (CFU)/mL (g), hence the 0.1% supplemental level was 1×109 CFU/k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LRI 211-1 0.3% and commercial B. amyloliquefaciens groups had higher weight gain than the other groups; TLRI 211-1 0.1% group had better feed to eggs conversion ratio than the control and commercial B. amyloliquefaciens groups (p<0.05).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increased yolk weight (p<0.05). In egg quality during storage, TLRI 211-1 0.1% had higher breaking strength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second week of storage (p<0.05). At the third week of storage, TLRI 211-1 0.3% had higher Haugh unit (p<0.05). Hen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TLRI 211-1 0.3%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triglyceride levels and increased blood calcium levels (p<0.05). TLRI 211-1 0.3% group had lower H2S (p<0.05) and hence had less unpleasant odor in excreta of hens. Conclusion: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with 0.1% TLRI 211-1 can significantly improve feed to eggs conversion ratio. TLRI 211-1 supplementation also can maintain eggs at their optimum quality level during storage. The study showed that B. subtilis TLRI 211-1 can be used as feed additives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영남 일부지역 65세 이상 노인의 섭취상태와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Status and Knowledge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in Young-Nam Area)

  • 김성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8-110
    • /
    • 2003
  • 65세 이상 노인 204명(남자 94명, 여자 110명))을 대상으로 영양소섭취상태와 영양지식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분포는 65~74세 99명(48.5%), 75세 이상 105명(51.5%)이었으며, 가정 총 수입은 99만원 이하 47명(23%), 100만원에서 199만원 115명(56.4%), 200만원이상 42명(20.6%)으로 나타났다. 가족 형태는 핵가족 97명(47.5%), 확대가족 107명(52.5%)이었다. 2)권장량에 비해서 높게 섭취하는 에너지 및 영양소는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_1$.나이아신 및 인 등이었으며 에너지 섭취량이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다. 비타민 $B_2$의 경우, 남녀 모두 가장 낮은 섭취상태를 보였고, 칼슘 역시 낮은 섭취상태를 나타내었다. 3) 영양소 적정섭취비(NAR)는 비타민 $B_2$,가 가장 낮아 0.66이었고, 칼슘 역시 0.68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가장 높dms 영양소 적정섭취비는 인으로서 남녀전체 0.99, 남자 1.0을 나타내었다. 평균적정섭취비(MAR)는 65~74세 집단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아 남자노인의 식사의 질이 여자노인의 식사의 질보다 높았다. 모든 대상자의 영양의 질적지수(INQ)는 비타민 $B_2$,(0.71)와 칼슘(0.76)을 제외하고 모든 영양소의 값이 1을 넘어섰다. 4) 영양지식점수를 상, 중, 하의 3 집단으로 분류하여 영양소 섭취량(%RDA)을 비교할 때 상 점수 집단이 하 점수집단보다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나이아신 및 철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지식점수 상 집단에서는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l 등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부족 되는 영양소인 비타민 B2와 칼슘은 권장량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 5) 영양지식점수는 연령과는 매우 유의 적인 음(r=-0.398)의 상관관계가, MAR(r=0.152), 단백질(r=0.151) 등은 유의 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장 부족하게 섭취하는 영양소는 비타민 $B_2$와 칼슘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의 섭취량은 권장량을 상회하는 높은 섭취량을 보였으며, 따라서 인과 칼슘의 비가 2를 넘어섰다. 이는 노인의 골격상태에 나쁜 요인으로 작용 할까 우려된다. 또한 영양지식점수가 높은 집단에서도 비타민 $B_2$와 칼슘이 권장량에 비해서 매우 낮은 섭취상태를 보였고, 또한 권장량에 비해서 지나치게 초과 섭취하는 영양소 등이 있음은 올바른 영양소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내었다. 이론적 지식이 실천적 지식으로 활동될 수 있는, 개개인 노인에게 적합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홀스타인 착유우에서 중성세제불용섬유소의 수준과 조사료유래 중성세제불용섬유소의 수준이 사료섭취량 및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vels of Total Neutral Detergent Fiber and Forage-derived Neutral Detergent Fiber on Feed Intake and Milk production in Holstein Dairy Cows)

  • 이도형;권찬호;김은중;김현진;김겸헌;김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4-312
    • /
    • 2013
  • 본 연구는 사료 내 총NDF 수준과 조사료에서 기인된 NDF 수준(fNDF)이 착유우에서의 영양소 섭취량과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만우 36두를 대상으로 6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2{\times}3$ 요인실험으로 설계를 하였고, 각 처리구별 사료는 건물기준 NDF 38%에 1) fNDF 18%, 2) fNDF 15%, 3) fNDF 12% 와 건물기준 NDF 34%에 4) fNDF 18%, 5) fNDF 15%, 6) fNDF 12%로 구분하여 분만 후 3주부터 20주까지 급여하였으며 결과의 처리는 분만 4주부터 영양소 섭취량 및 산유성적을 분석하였다. 사료 내 총 NDF 함량과 fNDF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건물섭취량, NEl 섭취량 그리고 비구조탄수화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증가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유생산량 또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유지방율은 감소하였다(p<0.01). 건물섭취량의 증가에 따른 NEl 섭취량의 증가가 유발되었고, NDF 섭취량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NDF 함량이 낮은 처리구와 높은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지방율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NDF와 조사료유래 NDF의 사료 내 함량변화는 유단백질율과 무지유고형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유단백질 함량과 무지유고형분 생산량에 있어서는 유량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료유래 NDF 섭취량과 유지방율 간의 상관관계는 저수준 NDF 함량에서 고수준 NDF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과 영양소 섭취량간의 상관관계 또한 저수준의 NDF 처리구에서 고수준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Effect of lipid source and emulsifier on productiv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broilers

  • Tenorio, Karine Isabela;Eyng, Cinthia;Duarte, Cristiane Regina do Amaral;Nunes, Ricardo Vianna;Broch, Jomara;Nilton, Rohloff Junior;Kohler, Tania Luiza;Cirilo, Edinan Hagdo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호
    • /
    • pp.54-6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placement of degummed soybean oil (DSO) by acid soybean oil (ASO) in diets with or without the inclusion of emulsifier on broiler performance, relative organ weight, lipase activity, intestinal morphometry, and nutrient digestibility. Methods: A total of 704 1-day-old male broiler chicks were allotted to a 2×2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with or without emulsifier × two lipid sources [ASO and DSO]), with eight replicates and 22 birds each. The metabolizable energy level in diets with emulsifier was reduced by 40 kcal/kg from 1 to 21 d and 50 kcal/kg from 22 to 49 d. Results: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ASO without emulsifier had higher (p = 0.005) weight gain than DSO-fed animals and with the inclusion of emulsifier had worse (p = 0.018) feed conversion ratio (FCR). Birds fed diets with emulsifier worsened FCR regardless of lipid source from 1 to 21 days (p = 0.006) and from 1 to 49 days (p = 0.0002). There was an increase (p = 0.026) in the relative pancreas weight, at 14 days, in birds fed diets containing ASO. Lipase activity and morphometry of the duodenum and jejunum, at 14 and 21 days, were not affected (p>0.05). The dietary inclusion of emulsifier improved the digestible energy (p = 0.053) in the presence of ASO. For the digestibility coefficients (gross energy, crude protein, and mineral matter), no interference was observed (p>0.05). Conclusion: The inclusion of emulsifier to energy-restricted diet with ASO maintained broiler performance in the first week, but worsened FCR in subsequent phases. The ASO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lipid source to DSO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rp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broilers. The combination of ASO and emulsifier increased the digestible energy content by 6.2%.

에너지 수준이 다른 사료에 복합효소제의 첨가가 육계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장내미생물 균총 및 소장 융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ultienzymes in Diets Containing Different Energy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tabolites, Microbiota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 심영호;김진수;;;최요한;김민주;오승민;함형빈;채병조
    • 동물자원연구
    • /
    • 제28권3호
    • /
    • pp.97-107
    • /
    • 2017
  • 본 연구는 대사에너지 수준을 달리한 사료에서 복합 효소제의 첨가가 육계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장 내 미생물 및 소장 융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을 위하여 육계(Ross 308, 1일령)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8반복, 반복당 15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전기 3주(0~21일)와 후기 2주(21~35일)로 나누어 5주간 실시하였다. 처리내용은 사료 내 대사에너지 2수준과 복합효소제(amylase + protease + mannanase + xylanase + phytase) 첨가유무에 따른 $2{\times}2$요인법에 따랐으며, 고에너지(전기 3,060kcal/kg; 후기 3,150kcal/kg) 사료에 복합효소제 무첨가와 첨가(0.05%), 저에너지(전기 3,010kcal/kg; 후기 3,100kcal/kg) 사료에 복합효소제 무첨가와 첨가(0.05%)로 구성하였다. 사양시험 전기간,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복합효소제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사료 내 대사에너지 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건물, 에너지, 조단백질, 칼슘 및 인에 대한 분 및 회장소화율은 복합효소제 첨가 시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맹장 및 회장 내 미생물에서는 복합효소제 첨가 시 Lactobacillus spp.는 증가하고 Clostridium spp.이나 Coliform bacteria는 감소하였다. 융모길이와 융모길이와 융와깊이의 비율이 효소제 첨가로 인해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육계사료 내 복합효소제의 첨가는 에너지 수준에 관계없이 육계의 생산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효소제 첨가로 인해 에너지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만 남자 초등학생의 마그네슘, 철, 구리, 아연 영양상태 연구 (A Study on Status of Magnesium, Iron, Copper, Zinc in Korean Obes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정숙;배윤정;이재철;승정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4호
    • /
    • pp.378-38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magnesium, iron, copper and zinc nutrition in 28 normal and 28 obes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over 30% obesity index.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s and serum levels of magnesium, iron, copper and zinc were determined by 24-hr recall method and blood analysis, respectively. The mean age, height, weight, and obesity index were 10.9years, 147.4cm, 61.1kg, and 50.5% in obese group and 10.8years, 145.4cm, 40.2kg, and 3.3% in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daily food intake between obese and normal group, but meats(p<0.05) intake of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 The intakes of energy, magnesium, iron, copp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obese and normal group, but heme iron(p<0.05) intake of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 Zinc(p<0.05) intake of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Serum magnesium(p<0.001) level of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iron, copper, zinc levels between obese and norm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magnesium and weight(p<0.05), and obesity index(p<0.05).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magnesium and energy intake(p<0.05), protein intake(p<0.05), animal protein intake(p<0.05), phosphorus intake(p<0.05) and animal iron intake(p<0.05).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magnesium and seaweeds intake(p<0.05), milks intake(p<0.001). Also,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opper and oils and fat intake(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careful considerations for micronutrients nutrition status among male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학령 전 아동의 식습관, 신체 발달 및 영양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23-37
    • /
    • 2009
  •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어린이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 관리 및 영양교육을 위한 영양관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울산시 보육 시설에 다니는 $3{\sim}6$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영양섭취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어린이가 식사를 잘하지 않는 이유로는 '많은 간식으로 인하여'라는 답이 가장 높은 비율 (50.4%)을 차지하였으며, 규칙적 아침 식사에 있어서는 1주에 $3{\sim}4$번 하는 어린이가 17.9%, $1{\sim}2$번 하는 어린이가 6.2%로 아침 결식률이 높았다. 2) 간식의 빈도로 세 번 이상 주는 경우가 22.8%로 나타났으며 생우유 섭취량이 하루 3컵 이상 마시는 어린이도 11.7%였다. 3) 어린이의 식습관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항을 5점 척도로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식사 시간이 규칙적'이라는 문항에 대해서 평균 $3.5\;{\pm}\;0.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적당양을 섭취한다'의 문항으로 평균 $3.4\;{\pm}\;1.0$, '음식 투정을 하지 않는다' $3.1\;{\pm}1.0$, '음식을 골고루 섭취한다' $3.0\;{\pm}\;1.0$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식사를 빨리 끝낸다'의 문항에 대해서는 $2.7\;{\pm}\;0.9$의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또한 5문항 전체 평가에 있어서는 식습관이 우수하다고 판정되는 어린이가 9.0%에 불과했으며 대부분 식습관이 보통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식습관이 불량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도 6.2%로 유치원에서부터 어린이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4) 어린이의 식품군별 섭취빈도 점수를 점수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섭취를 나타낸 식품군은 녹황색 채소류로 평가 점수가 $1.8\;{\pm}\;0.9$였으며, 다음이 미역, 김 등의 해조류의 식품이 $2.1\;{\pm}\;1.1$, 과일류가 $2.5\;{\pm}\;1.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어육류, 계란, 콩 등 단백질 식품은 $2.6\;{\pm}\;1.1$, 우유 및 유제품의 경우는 $3.3\;{\pm}\;1.1$로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품군으로 나타났으며, 튀김 음식의 경우 어린이의 32.4%가 주에 $1{\sim}2$번 정도로 거의 섭취하지 않는다고 답하여 평점 $3.0\;{\pm}\;0.9$로 식습관의 진단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4) 어린이의 건강 상태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감기 증상이 $3.1\;{\pm}\;1.0$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알레르기 증상이 $3.7\;{\pm}\;1.3$로 낮은 결과를 보여 영양소 섭취 부족에 의한 임상 증상들에 비해 면역에 대한 질환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의 건강 점수는 50.3%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7.6%가 보통, 2.1%가 건강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 어린이의 신장은 평균 $103.6\;{\pm}\;6.4\;cm$였으며 남아의 경우 $104.5\;{\pm}\;6.3\;cm$, 여아의 경우 $102.6\;{\pm}\;6.4\;cm$로 연령 간에는 유의한 차이 (p < 0.05)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은 평균 $17.8\;{\pm}\;3.0\;kg$였고, 남아 평균 $18.4\;{\pm}\;3.2\;kg$, 여아 평균 $17.1\;{\pm}\;2.7\;kg$였다. 연령 간에는 4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세, 6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녀 어린이 간에는 4세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WLI를 기준으로 비만율을 판정한 결과 저체중율은 11.1%, 과체중 이상의 어린이 비율이 17.4%로 나타났다. Rohrer지수의 경우 비만도의 평가는 저체중율은 전혀 없었으며, 과체중 이상의 어린이가 86.8%로 높게 나타났다. Kaup 지수에 의한 비만율은 저체중율이 2.8%, 과체중 이상의 경우는 29.2%로 나타나 WLI에 의한 빈도보다는 조금 높았으며, 비만 지수 (Obesity Index)를 이용한 경우 저체중율이 2.1%, 과체중 이상 어린이가 20.8%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 어린이의 성장의 특징은 모든 지표에서 3세에 유의하게 비만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비만 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다른 연구 결과에 비해 저체중 비율이 낮았다. 7) 조사 대상 어린이의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한 결과에너지 섭취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보다 낮은 수준으로 에너지필요추정량 (EER)의 85.7% 수준이었다. 에너지적정섭취비율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AMDR)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비율이 62.6:21.5:15.7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하는 $55{\sim}70:7{\sim}20:15{\sim}30$과 비교 시 지방의 섭취 비율은 낮은 편이며 단백질의 섭취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의 섭취는 권장섭취량의 3배가 넘는 수준으로 높은 섭취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A의 경우 권장섭취량의 133%를 섭취하였으며, 어린이에서 가장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칼슘의 경우 권장섭취량의 98.9%를 섭취하였고 무기질과 비타민 중 엽산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권장섭취량을 초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열량섭취 부족의 어린이는 33.3%, 지방의 섭취가 부족한 어린이의 비율은 42.7%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엽산은 어린이의 85.5%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 나이아신, 비타민 C의 경우 각각 어린이의 29.1%, 35.0%, 47.0%가 섭취 부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대로 영양소 과잉 섭취 어린이의 비율은 나이아신의 경우는 24.8%, 비타민 A의 경우 4.3%, 철분은 1.7%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식사를 잘하지 못하는 이유로 간식섭취가 높기 때문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고 실제로 어린이의 간식 섭취 빈도나 우유 및 유제품 섭취량 또한 다른 연구와 비교 시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균형잡힌 식습관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또한 다른 지역 연구에 비해 저체중으로 판단되는 어린이의 비율이 낮고 과체중 이상 비만으로 판단되는 어린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점, 영양소섭취에 대한 조사결과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을 초과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 어린이에 대해 과잉 영양소 섭취에 대한 좀 더 세밀한 관심과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소 및 대학, 유아기관 등에서 어린이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부모와 어린이의 식생활지도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Effects of Replacing Dry-rolled Corn with Increasing Levels of Corn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on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Digestible Energy of Diet in Hair Lambs Fed High-concentrate Diets

  • Castro-Perez, B.I.;Garzon-Proano, J.S.;Lopez-Soto, M.A.;Barreras, A.;Gonzalez, V.M.;Plascencia, Alejandro;Estrada-Angulo, A.;Davila-Ramos, H.;Rios-Rincon, F.G.;Zinn,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52-1159
    • /
    • 2013
  • Four male lambs (Katahdin; average live weight $25.9{\pm}2.9$ kg) with "T" type cannulas in the rumen and proximal duodenum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experimen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upplemental dry distillers grain with solubles (DDGS) levels (0, 10, 20 and 30%, dry matter basis) in substitution for dry-rolled (DR) corn on characteristics of digestive function and digestible energy (DE) of diet.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ruminal pH. Substitution of DR corn with DDGS increased ruminal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igestion (quadratic effect, p<0.01), but decreased ruminal organic matter (OM) digestion (linear effect, p<0.01). Replacing corn with DDGS increased (linear, $p{\leq}0.02$) duodenal flow of lipids, NDF and feed N. But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flow to the small intestine of microbial nitrogen (MN) or microbial N efficiency. The estimated UIP value of DDGS was 44%. Postruminal digestion of OM, starch, lipids and nitrogen (N)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Total tract digestion of N increased (linear, p = 0.04) as the DDGS level increased, but DDGS substitution tended to decrease total tract digestion of OM (p = 0.06) and digestion of gross energy (p = 0.08).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dietary digestible energy (DE, MJ/kg), reflecting the greater gross energy content of DDGS versus DR corn in the replacements. The comparative DE value of DDGS may be considered similar to the DE value of the DR corn it replaced up to 30% in the finishing diets fed to lam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