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tomit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더덕 종자의 펠렛팅을 위한 소재 탐색 및 기술개발 (Selec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Seed Pelleting Material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최경구;이윤수;차광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3
    • /
    • 2006
  • 더덕 종자의 파종시 산파에 의한 종자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입모 후 잡초 발생에 의한 제초 관리가 어려워 재배 농가에서 어려움이 많아 발아 미세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화 점파 및 멀칭 재배가 가능하고 제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덕 종자 펠렛팅 연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피복물질을 이용한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PID처리가 가장 높았으며 Illite, PIT, Diatomite, B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착물질은 PVP 처리가 가장 발아율이 높았으며 PVA, XG, CMC, A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펠렛팅 종자의 피복소재별 성형율, 강도는 PID 가 가장 좋았으며, 발아율에 가장 좋은 물리적 특성은 수분 접촉시 split형의 1/2 균열이 생기고 수분 흡수력은 S자형의 흡수 양상을 보였다. 토양함수량에 따른 발아율은 50% 조건에서 PID처리가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수량이 높을수록 펠렛팅 종자의 발아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다공성 원료를 사용한 석고보드의 흡습 특성 (Hygroscopic Characteristic of Gypsum Boards Using Porous Materials)

  • 정의종;이종규;정덕수;추용식;송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538-543
    • /
    • 2009
  • Active clays, Diatomite, bentonite and zeolite were used as porous materials for fabricating hygroscopic gypsum boards. Pohang active clay and Cheolwon diatomite showed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moisture adsorption and desorption. These characteristics were caused by higher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porous materials. Moisture adsorption content of gypsum board with 10% active clay(P1) was 62.0 g/m$^2$, and moisture desorption content was 50.2 g/m$^2$. Moisture adsorption content of gypsum board with 10% diatomite(P) was 59.5 g/m$^2$, and moisture desorption content was 49.0 g/m$^2$. Moisture adsorption contents of gypsum boards with porous materials were higher than that moisture desorption contents of gypsum board without porous material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rface area and moisture adsorption content of gypsum boards was 0.98. Also,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rface area and moisture desorption content of gypsum boards was 0.97. Moisture adsorption and desorption contents were influenced by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the gypsum boards, and surface area had a larger effect on moisture adsorption and desorption.

The effects of replacement fly ash with diatomite in geopolymer mortar

  • Sinsiri, Theerawat;Phoo-ngernkham, Tanakorn;Sata, Vanchai;Chindaprasirt, Prinya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9권6호
    • /
    • pp.427-437
    • /
    • 2012
  • This article presents the effect of replacement fly ash (FA) with diatomite (DE) on the properties of geopolymer mortars. DE was used to partially replace FA at the levels of 0, 60, 80 and 100% by weight of binder. Sodium silicate ($Na_2SiO_3$) and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s were used as the liquid portion in the mixture in order to activate the geopolymerization. The NaOH concentrations of 15M, $Na_2SiO_3$/NaOH ratios of 1.5 by weight, and the alkaline liquid/binder (LB) ratios by weight of 0.40, 0.50, 0.60 and 0.70 were used. The curing at temperature of $75^{\circ}C$ for 24 h was used to accelerate the geopolymerization. The flows of all fresh geopolymer mortars were tested. The compressive strengths and the stress-strain characteristics of the mortar at the age of 7 days, and the unit weights were also tes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use of DE to replace part of FA as source material in making geopolymer mortars resulted in the increased in the workability, and strain capacity of mortar specimens and in the reductions in the unit weights and compressive strengths. The strain capacity of the mortar increased from 0.0028 to 0.0150 with the increase in the DE replacement levels from 0 to 100%. The mixes with 15M NaOH, $Na_2SiO_3$/NaOH of 1.5, LB ratio of 0.50, and using $75^{\circ}C$ curing temperature showed 7 days compressive strengths 22.0-81.0 MPa which are in the range of normal to high strength mortars.

다공성 원료와 수열합성으로 제조한 건축 내장용 패널의 흡방습 특성 (Hygroscopic Characteristic of Hydrothermal reacted Panels using Porous Materials)

  • 권춘우;추용식;송훈;이종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05-7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규조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건축내장용 조습패널을 제조하였으며,패널 제조에 사용된 원료의 특성에 따른 조습 성능 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철원 규조토는 형태와 구조가 와해 변질된 상태로 존재하였으며, 포항 벤토나이트는 입자 표면이만곡 현상(彎曲 現狀)과 많은 기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올라이트는 타원형 또는 구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판상 입자들이 한개의 거대 입자(15$\mu$m 전후)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원료들은 판상이거나 침상으로 다공질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원료를 사용해 제조한 조습패널은 다공성 원료의 첨가로 인해 다공성 원료를 혼합하지 않은 패널 보다 수분의 흡방습 특성은 크게 개선되어, 포항 제올라이트 10% 패널의 경우에는 흡습량 180g/m$^2$, 방습량 105g/m$^2$ 수준이었다. 또한 패널의 비표면적 및 기공 부피와 수분 흡방습량과의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공성 원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패널의 수분 흡방습량은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다공성 원료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이때 철원 규조토를 10% 첨가한 패널의 수분 흡습량은 170g/m$^2$ 정도 였으며, 포항 제올라이트를 10% 첨가한 패널의 수분 흡습량은 180g/m$^2$, 방습량은 105g/m$^2$ 로 다공성 원료를 혼합하지 않은 패널(흡/방습량:80/40g/m$^2$) 보다 매우 우수한 흡방습능을 나타내었다.

  • PDF

모 규조토 가공업체의 규조토 분진 폭로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Evalucation of Worker Exposure to Diatomaceous Earth Dust and Engineering Control in a Diatomite Factory)

  • 정희경;김지용;정해관;임현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1-95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diatomite factory where silicosis had been found at October, 1993. The major objectives were to evaluate worker exposure to diatomaceous earth and to present engineering control methods for workplace management. Total and respirable dust of diatomaceous earth were measured. Size distribution of dust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ultiple diffraction method. Also crystalline silica in respirable dust samples was analyzed qualitatively by X-ray diffraction. The suitable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s for that factory were recommen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irborne total and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by exposure groups showed approximate normal distribution. The means of total dust exposures at flour maufacturing, fire brick grinding and packaging, ceramic raws packaging processes exceeded Korean and ACGIH standards, $10mg/m^3$. The means of total and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to high exposure groups were 6.8 and 3.9 times higher than those of low expousre groups, respectively. The size distribution of diatomaceous earth dust was lognormal with a median diameter of $7.07{\mu}m$(range, $0.10-60.0{\mu}m$) and with a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1.43. The crystalline silica in respirable dust samples was identified to quartz and cristobalite and/or tridymite. Above results suggest that engineering controls and periodic environmental and medical surveillances will be important for preventing silicosis in the diatomite factory.

  • PDF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 박영신;김정호;김세환;김상헌;전현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Monacrosporium thaumasium을 이용한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용 미생물제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 Biocontrol Agent Using Monacrosporium thaumasium to Control a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최예훈;김근기;손홍주;신해수;박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05-1609
    • /
    • 2007
  • 미생물 제제의 실내 pot 실험을 통한 효능 실험에서 선발된 Monacrosporium thaumasium을 이용한 KBC3017 제제의 실외 포장 실험을 통해 최적의 구성과 효능 조건을 찾았다. 선발된 균주의 미생물제제 제조를 위해 첨가한 첨가제 중 무기증량제로 Diatomite와 유기증량제로 생옥분이 효과적이었으며, 처리량별 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처리량이 많을수록 효과가 높았으나, 적정 처리량은 2%의 diatomite와 옥가루가 포함된 KBC3017 제제를 이용하여 방제하였을 때 71%의 선충 방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 방제가는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뿌리와 줄기에서 보다 좋은 효과가 있었다.

Viability test hydrocarbon-degrading bacterium by carriers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 박진희;김영식;여인봉;박기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03-208
    • /
    • 2002
  • 미생물 생산은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는 핵심산업이다. 그러나 미생물을 장기간 보존하거나 생산 후 현장처리에 상황에 있어 미생물의 활성이 환경 및 각종조건에 따라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Pseudomonas putida SSEoX의 생산 후 시중에서 판매되는 perlite, diatomite, bentonite, zeolite, dolomite, vermicullite 등의 담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생리활성유지를 위한 실험을 자연현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온도에서 담체의 종류별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bentonite를 이용한 담체의 경우 5, 20, 3$0^{\circ}C$에서 40일간 미생물의 밀도가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고 zeolite의 경우 20일 이내의 저온에서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온도의 상승으로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또한 Dololite의 경우 초기 20일 내에서는 20t에서 생존율이 매우 높았으나 40일 후 생존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bentonite의 경우 전체적으로 생존율이 거의 감소되지 않았으며 그중 5$^{\circ}C$와 2$0^{\circ}C$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30일 후까지는 비교적 적은 감소를 보였으며 40일 이후 비교적 큰 감소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bentonite와 vermiculite를 혼합한 담체를 이용한 미생물보존이 가장 우수만 생존유지법이었다.

  • PDF

Enhanced Production of Epothilone by Immobilized Sorangium cellulosum in Porous Ceramics

  • Gong, Guo-Li;Huang, Yu-Ying;Liu, Li-Li;Chen, Xue-Feng;Liu, H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0호
    • /
    • pp.1653-1659
    • /
    • 2015
  • Epothilone, which is produced by the myxobacterium Sorangium cellulosum, contributes significant value in medicinal development. However, under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S. cellulosum will accumulate to form bacterial clumps, which hinder nutrient and metabolite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of epothilone by liquid fermentation is limited. In this study, diatomite-based porous ceramics were made from diatomite, paraffin, and poremaking agent (saw dust). Appropriate methods to modify the porous ceramics were also identified. After optimizing the preparation and modification conditions, we determined the optimal prescription to prepare high-performance porous ceramics. The structure of porous ceramics can provide a solid surface area where S. cellulosum can grow and metaboliz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bacterial clumps. S. cellulosum cells that do not form clumps will change their erratic metabolic behavior under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As a result, the unstable production of epothilone by this strain can be chang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purpose of increasing epothilone production can be achieved. After 8 days of fermentation under optimized conditions, the epothilone yield reached 90.2 mg/l, which was increased four times compared with the fermentation without porous cer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