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3초

콩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한 사상균(絲狀菌), 그 병원성(病原性) 및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Seed, their Pathogenicity and Seed Treatment)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84
  • 콩 종자(種子) 14개(個) 시료(試料)를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부생성(腐生性) 사상균(絲狀菌)은 Alternaria tenuis, Arthrobotrytis sp., Aspergillus spp., Cephalosporium sp., Cladosporium sp., Cylindrocarpon sp.,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solani, Pennicillium spp. 및 Rhizopus sp. 등이 검출(檢出)되었고, 병원성사상균(病原性絲狀菌)은 Cercospora kikuchii, Colltotrichum truncatum, Diaporthe phaseolorum sojae 및 Fusarium oxysporum 등이 검출(檢出)되었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로부터 유묘(幼苗)의 병징발현(病徵發現)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조사(調査) 논의(論議)하였다.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병든 종자(種子)는 발아율(發芽率)이 유묘생육(幼苗生育)에 영향을 미쳤다.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의 인공접종(入工接種) 결과(結果) 모두 병원성(病原性)이 나타났으나 F. oxysporum은 약하게 나타났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대한 효과적(效果約)인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는 Benlate-T, Homai, Tecto 및 Sisthane이었으며, Arasan, Captan, Busan-30 및 Mercron은 C. kikuchii에는 효과(效果)가 낮았으나 기타(其他) 병원균(病原菌)에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본(本) 실험(實驗)에 공시(供試)된 약제(藥劑)는 병든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증진(增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포장위생 관리가 콩 미이라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eld Sanitation on the Pod and Stem Blight Caused by Phomopsis spp. in Soybean)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26-530
    • /
    • 1998
  • The effect of field sanitation using ecological characters of the pathogen was investigated for controlling Phomopsis seed decay in soybean. Field sanitation which was eliminated the inoculum by removing host debris, abscised petioles and cotyledones out of field, reduced remarkably infection percentage of pods and seeds by Phomopsis spp. as compared to the inoculated field. Neverthless, seed infection was 28.7% in the sanitized field. The fields sanitized by benlate application around the soybean plants also decreased seed infection with Phomopsis spp. Total seed infection including that with miscellaneous pathogens occurred as much as 75∼79% to the no application and their control values were 34∼42% over the routine application schedule. Even though it was not satisfactory, field sanitation seeme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Phomopsis seed decay when infection pressure was low level. Diaporthe phseolorum va. sojae, D. phaseolorum var. caulivora and Phomopsis longicolla were mostly identified from soybean seeds and Colletotrichum truncatum, Cercospora kikuchiana were also isolated in sequence. Field sanit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in soybean yield over the no application, while routine application schedule did in field.

  • PDF

희나리 태양초 고추로부터 분리한 곰팡이의 Mycotoxin 안전성

  • 고희정;류현정;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4년도 제3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 학술 세미나
    • /
    • pp.224-228
    • /
    • 2004
  • 2002년 8월부터 11월까지 전국 27개 지역에서 희나리 고추를 포함하고 있는 태양초 시료 40군을 수집하여 총 197주의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이 곰팡이들을 고체배지상에서의 번식속도, 분생포자의 모양 및 배양특성의 특성에 따라 6개의 group오로 나누었고 각 group에서 대표가 되는 30 균주를 임의로 선택하여 18S rRNA gene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희나리 곰팡이 중 에서 Colletotrichum 속 곰팡이가 66.5% (131/197)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기타 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28주, 14.2%), Alternaria alternata (17주, 8.6%), Botryosphaeria ribis (9주, 4.6%)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3주 1.5%) 및 Fusarium incarnatum (9주, 4.6%)이 동정되었다. 각 group에서 임의적으로 한 균주씩을 선택하여 현미에 배양한 뒤 쥐(rat)에 투여시험한 결과 A. alternata를 접종한 사료를 먹인 실험동물이 2주내에 모두 죽었으며 다른 곰팡이를 배양한 사료에는 특이한 영향이 없었다. A. alternata 곰팡이를 현미와 고추즙에 배양하여 주요 독소들을 분석한 결과 17주의 곰팡이 중 8주가 현미와 고추즙에서 많은 양 (현미: $488{\sim}1572\;{\mu}g/g$, 고추즙: $115{\sim}1050\;{\mu}g/g$)의 tenuazonic acid (TeA)를 생성하였다. alternariol(AOH)독소와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AME)는 현미에 배양했을 때만 흔적량 내지 소량씩이 관찰되었다. Alternaria 독소 중 altenuene는 현미와 고추즙 배지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