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ogue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어 대화체 문장 분석을 이용한 메타 정보검색 (Meta Information Retrieval using Sentence Analysis of Korean Dialogue Style)

  • 박인철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0호
    • /
    • pp.703-712
    • /
    • 2003
  • 오늘날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정보 검색 시스템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대부분의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키워드나 키워드를 이용한 불리언 질의어를 바탕으로 필요한 문서를 검색해 내고 있다. 그러나, 키워드를 이용한 정보 검색은 사용자의 편의성 및 주어진 질의어에 대한 이해의 정확성 측면에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화체 문장을 이용한 질의어에 비해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대화체 문장의 정보 검색을 위한 메타질의어처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한국어 대화체 문장 분석을 이용한 정보 검색은 주어진 질의어에 대해 형태소 분석과 구문 분석 및 시소러스를 이용한 질의어의 확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질의어를 포함하는 새로운 질의어를 형성해 내며, 질의어에 포함된 중의성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 PDF

역사적 선례의 창조적 이용 -르 꼬르뷔제의 경우- (A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 In Case of Le Corbusier -)

  • 강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2호
    • /
    • pp.73-84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new paradigm of a period can be constructed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precedents or the dialectical mediation between the old and new. We can tell this process the creative dialogue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e continuity and rupture, the renov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 can be understand by this interpretive insight that opens the new horizon in architecture. In oder to prove this preconception this paper analyses the ideas and design principles of Le Corbusier. By showing how his main ideas and principles are formulated we can understand his unique position as a modernist and characteristics of his architecture. It is also the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This paper first looks into various aspects of his architecture and his personal background, then Investigates his unique approach to historical precedents. By the imaginative eye and comparison with inspiration he connected contemporary situation to the tradition and was able to deduce a new paradigm in architecture. His way of making relationship with the past was a priori, dialectical, and fundamentalistic. He always searched for universal norm, eternal rules, and timeless principles which are also modern and new. This both side shows well his characteristics and his architecture. Eventually he could invent a Modern language of architecture by the several ways of dialogue between the modem and the classical, new technology and old convention. We can say that his way of dialogue is a kind of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precedents which enables open the future of architecture.

  • PDF

강건한 음성 대화 시스템을 위한 담화분석 기술 (Discourse Analysis for Robust Spoken Dialogue System)

  • 이충희;오효정;장명길;서영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0호
    • /
    • pp.1005-1009
    • /
    • 2010
  • 지시대명사와 같은 조응어(anaphora)의 본래 단어나 구를 선행사라고 지칭하며, 음성 대화 중에는 선행사에 대한 생략과 대용어 사용이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언어 현상들은 문맥을 보지 않으면 이해될 수 없는 것들이 많다는 것이 담화분석의 기본 가정이므로, 생략 및 대용어 복원은 담화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어와 생략어 복원에 기반해서 대화 레벨에서의 강건성을 향상시킨 음성 기반 대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항법의 적절성과 효과는 TV 도메인에서 평가되었다.

대화 공간의 크기와 대화 주제가 메타버스 경험에 주는 영향 (The Effect of Space Size and Dialogue Topic on Metaverse UX)

  • 송원철;정한나;정동훈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5-76
    • /
    • 2022
  • 메타버스 경험은 실제 세계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본 연구는 특히 공간과 대화 주제와 관련해서, 메타버스를 사용하는 공간과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이 메타버스 경험에 주는 영향을 밝혔다. 7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3(대화 공간: 대면 vs. 넓은 공간에서의 메타버스 vs. 좁은 공간에서의 메타버스) x 2(대화 주제: 긍정적 vs. 부정적) 혼합 요인 설계 실험 연구 결과, 공간에 따라 반응 정도에, 대화 주제에 따라 친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는 메타버스 경험이 현실 공간과 연관되어 있고, 특히 비몰입형 기기를 활용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작할 때, 현실 공간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화형 유전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적응적 문장생성 열차예약 에이전트 (Train Booking Agent with Adaptive Sentence Generation Using Interactive Genetic Programming)

  • 임성수;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2권2호
    • /
    • pp.119-128
    • /
    • 2006
  • 대화형 에이전트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됨에 따라서 현실성 있는 대화 생성을 위한 자연언어 생성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대화형 에이전트에서는 보통 미리 준비된 답변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하지만, 최근에는 문장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학습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현실성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에이전트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형 유전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문장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문장의 구조를 나타내는 문장계획 트리로 인코딩된 개체를 평가자의 평가를 통해 적응적인 문장을 얻는다. 이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하는 방법으로 열차예약 에이전트를 구현한 후,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도메인에 적합한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동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정형 제스처 기반 대화 관리 시스템 (An Emotional Gesture-based Dialogue Management System using Behavior Network)

  • 윤종원;임성수;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0호
    • /
    • pp.779-787
    • /
    • 2010
  • 최근 로봇의 다양한 활용과 더불어 로봇-사람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자연어 처리나 대화중 제스처 생성 등의 방법이 로봇과 사람간의 의사소통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로봇-사람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을 통해서는 정적인 의사소통만을 수행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하며, 보다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수준 높은 의사소통을 위해 감정형 제스처 기반 대화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패턴 매칭을 이용하여 로봇과 사람간의 대화를 수행함과 동시에 로봇-사람간의 대화 도중 실시간으로 상황에 어울리는 로봇의 감정형 제스처를 생성한다 감정형 제스처 생성을 통해 로봇은 사람에게 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사실적인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스처 생성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대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행동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이후 제안하는 감정형 제스처 기반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감정이니 제스처를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대화 관리 시스템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MMORPG에서 게임 NPC의 성격과 반응대화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ity And Reaction Dialogue Generation For Game NPC In MMORPG)

  • 원일석;이대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74-85
    • /
    • 2003
  • 게임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공간에서 실제 인간사회에서 사용되는 말이 사용된다면 가상현실 게임의 재미와 현실감이 커지며, 그로 인해 사용자들은 더욱 게임에 몰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대부분의 MMORPG의 상점에서 행해지는 대화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매우 단순한 수준의 대화만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논문은 MMORPG 환경에서 NPC의 설정에 성격심리학 이론을 도입하여 '외향성-내향성차원'과 '신경증적 경향성 차원‘에 따라 NPC가 대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NPC의 성격과 대화를 자동 생성해 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이 프로그램은 성격생성과 대화생성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성격 생성 프로그램은 NPC의 성격을 설정할 수 있으며, 대화생성 프로그램은 NPC의 대화 유형과 양, 그리고 특징을 조절하여 게임 디자이너와 게임 시나리오 작가가 게임 캐릭터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NPC를 위한 성격, 대화 생성방법은 다양한 게임 캐릭터 에 응용할 수 있으며, 에이전트와 실시간 애니메이션에서 개성을 지닌 아바타의 표현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목적지향 대화 시스템을 위한 챗봇 연구 (A Chatter Bot for a Task-Oriented Dialogue System)

  • 황금하;권오욱;이경순;김영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11호
    • /
    • pp.499-506
    • /
    • 2017
  •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에서 자유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챗봇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적지향 대화시스템을 위한 챗봇과 독립 챗봇에 대한 사용자 기대와 평가가 같은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목적지향 대화시스템으로 구현한 영어 교육용 대화시스템에서, 대화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주제외 사용자 발화를 허용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챗봇을 개발하였다. 독립 챗봇과 보조 시스템으로서의 챗봇에 대하여 비교 평가함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서로 다른 기대를 살펴보았다. 또한 검색 기반 챗봇과 신경망 기술을 이용한 생성 기반 챗봇에 대한 비교 평가를 통해 이들의 장단점과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소프트웨어 재사용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기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Builder to support Software Reuse System)

  • 김상근;홍찬기;이경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24-334
    • /
    • 1995
  • 대부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 모델을 채 택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현은 채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 모델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 모델-뷰-콘트롤러(Model-View-Controller : MVC) 프레임웨이 Smalltalk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의 여러 측면에서 기여한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강하게 결합된 모델, 뷰, 콘트롤러 클래스를 가진 MVC를 이 용하여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합은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을 방해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VC모델이 갖는 강한 결합력으로 인한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저하를 해 결하기 위해, 상호 작용의 구문적 관리를 하는 다이알로그 객체를 추가하여 사용자로 부터 생성된 메세지가 콘트롤러에 의해 바로 값이 변경되지 않고 다이알로그에 전달 되도록 MVCD모델을 제안하였다. 메세지를 전달받은 다이알로그 객체는 모델 객체의 값 을 변경하기 위해 모델 객체를 호출한다. 모델 객체는 active 값들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값의 변경은 연결된 콘크롤러 객체에게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콘트롤러 객체는 새로운 값을 변경하고 뷰 객체를 수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대화 모델에 기반을 둔 사 용자 인터페이스 구축기를 X-윈도우상에서 OSF/Motif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 PDF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Du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 Gavrysh, Iryna;Khltobina, Oleksandra;Chernenko, Oleksandr;Roienko, Svitlana;Balanutsa, Oleksandr;Ivashchenko, Bohdan;Romankova, Kate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75-80
    • /
    • 2022
  • In modern society,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Traditionally, it is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at professional competence is acquired. As society develops, the demand in the global labor market changes and the requirements and criteria for specialists increase. Therefore, a new approach to managing the pedagogical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in the process of education in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allows a positive impact on the system of training specialists and opens up new prospects for the formation of competitive specialists. The issue of the quality of education is a key one and is covered in the documents regulating the pro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Also an important problem today is the transition to qualitatively new and innovative systems of training specialists and the departure from outdated models of managing pedagogical interac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process of managing the pedagogical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 studying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hus, the main task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du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urrent trends and prerequisites for communication and dialogue tools du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