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betic control

검색결과 1,134건 처리시간 0.031초

신생흰쥐의 Streptozotocin 당뇨 유발에서 Bulnesia sarmienti 열수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Water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Neonatally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박창호;이기동;김정옥;김길수;이원영;홍주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99-1004
    • /
    • 2008
  • 인슐린 저항성에 기인하여 발병되는 제 2형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로부터 8주간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음수량, 사료 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실험군에서 8주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따라서 제 2형 당뇨모델에서 B. sarmienti 열수추출물의 혈당개선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열수추출물 급여에 따른 혈중 총콜레스테롤 변화는 BW1 34.3%, BW2 43.8%로 평균 39.0%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W1 48.5%, BW2 47.2%로 평균 47.9%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B. sarmienti 열수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 2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당뇨병의 주요증세인 다갈(polydipsia), 다뇨(polyuria), 다식(polyphagia), 고형당의 혈당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고혈당을 중심으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환자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1형 당뇨모델 흰쥐에서 Bulnesia sarmienti 열수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Type-1 Diabetic Rats.)

  • 박창호;김정옥;이기동;김길수;홍주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52-857
    • /
    • 2008
  • STZ 투여로 제1형 당뇨를 유발시킨 다음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8주간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당뇨 대조군 및 당뇨 실험군의 체중 증가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가 당뇨 실험군에서의 체중감소 개선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분 섭취량, 사료 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 대조군 및 당뇨 실험군에서 8주 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혈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함량 번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 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급여에 따른 혈중 total cholesterol 변화는 BWO 30.0%, BW1 21.1%, BW2 27.7%로 평균 26.2%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W0 40.2%, BW1 53.7%, BW2 50.9%로 평균 48.3%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는 제1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혈당 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지질 성분인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B. sarmienti 열수 추출물 투여가 고혈당을 중심으로 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많은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병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Deoxynojirimycin Content and Blood Glucose-Lowering Effect of Silkworm (Bombyx mori) Extract Powder

  • Ryu, Kang-Sun;Lee, Heui-Sam;Kim, Kee-Young;Kim, Mi-Ja;Sung, Gyoo-Byung;Ji, Sang-Deok;Kang, Pil-D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237-242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1-deoxynojirimycin (1-DNJ) content of extracts from silkworm larvae at each developmental stage within three silkworm varieties. We also compared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polyhydroxylated alkaloids in the silkworm extracts: 1-DNJ, fagomine, and 1,4-dideoxy-1,4-imino-d-arabinitol (DAB).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glucose-lowering effects of silkworm extract powder in db/db mice. The 1-DNJ content was the highest in Yeonnokjam $5^{th}$ instar $3^{rd}$ d larvae and Hansaengjam $5^{th}$ instar $3^{rd}$ d larvae, which contained 18.4 mg/100 g dry weight and 18.3 mg/100 g dry weight, respectively. The $5^{th}$ instar $3^{rd}$ d larvae exhibited a higher content of 1-DNJ than that of $5^{th}$ instar $5^{th}$ d larvae among all varieties. The glucose-lowering effects of silkworm extracts and Yeonnokjam powder were tested on db/db mice, and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in the YR70 group. Silkworm extracts (180 mg/kg, 90 mg/kg, 45 mg/kg, and 22.5 mg/kg) and acarbose (50 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4 wk. Changes in water intak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control and silkworm extract-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lood glucose levels in the silkworm extract powder-treated group decreased in the 22.5 mg/kg/d group after being administered for 4 wk. This de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biochemical changes in th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TCHO(Total Cholesterol), TG(Triglyceride), LDL(Low density lipoprotein), and HDL(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 in blood were not observed.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blood GLU in the 22.5 mg/kg/d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occurred. In addition, the epididymal fat weight of the silkworm extract powder-treated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the 22.5 mg/kg/d group and 180 mg/kg/d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erirenal fat weigh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lkworm extracts inhibit changes in blood glucose levels in model diabetic mice.

In vivo와 in vitro에서 상지 및 상백피 에탄올추출물이 식후 혈당 상승 억제 조절에 미치는 영향 (Postprandial hypoglycemic effects of mulberry twig and root bark in vivo and in vitro)

  • 박수연;진보라;이유림;김유진;박정빈;전영희;최상원;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1호
    • /
    • pp.18-27
    • /
    • 2016
  • 상지 및 상백피 추출물의 식후혈당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aco-2세포와 Streptozotocin 당뇨유발 동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상지 상백피 추출물의 포도당 및 과당 흡수 저해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과당 흡수를 저해하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말토오스와 수크로오스를 이용한 ${\alpha}-glucosidase$ 분석을 통해 상지와 상백피 추출물 모두 수크로오스에 대한 ${\alpha}-glucosidase$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시험동물 모델에서는 당뇨 유도를 위해 앞서 2주간 고지방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streptozotocin 복강투여 후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당뇨 유도모델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지 및 상백피 추추물을 단회투여 하여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30분대에서 당뇨유도군과 비교했을 때 상지와 상백피 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28일간 경구투여하여 경구당부하를 측정하였을 때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지 및 상백피 추출물은 식후혈당 조절을 통해 항당뇨 효과를 갖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혈당강하를 목적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상지 및 상백피 추출물이 췌장 및 간에서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고추, 쇠비름, 표고버섯의 물 추출물 및 당침액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Inhibition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among Water Extracts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of Green Pepper, Purslane and Shiitake)

  • 이성미;강윤환;김대중;김경곤;임준구;김태우;최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1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하게 상용되고 있는 당침액의 오 남용을 막기 위해 과학적으로 물 추출물과 당침액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물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항산화 활성 또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물 추출물과 비교하여 당침액의 건조 분말에는 설탕 또는 그 분해물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혈당강하 효능의 target 효소로 연구되고 있는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청고추, 쇠비름, 표고버섯의 물 추출물과 당침액은 ${\alpha}$-amyl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alpha}$-glucosidase 억제 활성은 의약품인 acarbose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물 추출물에 비해 당침액이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독성을 HepG2 cell에서 확인한 결과, 물 추출물과 비교하여 당침액의 독성이 약 1/10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민간에서의 믿음처럼 당침액이 물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없으며, 활용할 용도에 따라 소재를 물 추출하거나 당침액을 제조하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치는 것이 목표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방법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민간에서 맹목적으로 믿는 당침액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접근법은 당침액의 적절한 사용 목적과 방법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 팽화가공 처리한 홍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Puffing Proc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신희;강주섭;이상준;정영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01-707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 홍삼과 팽화홍삼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홍삼을 7주간 경구투여 후 체중, 혈당, 혈청 인슐린 및 아밀라아제, 지질관련 지수, OGTT, DNA의 산화적 손상정도 분석 및 췌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체중증가는 실험 7주 후에 DM군과 비교 시 RG군에서 6.67배, PG군에서 5.25배 증가하였으나 DM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공복혈당은 DM군에 비해 RG군에서 11.54%, PG군에서 20.22%의 감소를 보였다. 구강내당능 검사결과 공복혈당, 포도당 투여 2시간 후 혈당은 DM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혈청 인슐린 농도는 PG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혈청 아밀라아제 농도의 경우 RG군에서 높았으나 NC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NC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청 중성지방의 경우 PG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p<0.05). HDL-C는 NC군에 비해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DNA 손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comet 분석에서는 PG군의 TL 및 TM은 NC군에서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췌장조직의 병리학적 관찰결과, 당뇨유발군 중 DM군의 췌장조직의 exocrine acinal cell 및 췌도세포에서는 focal 또는 multifocal cytoplasmic vacuolation과 췌장실질의 괴사 및 출혈성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팽화홍삼의 투여가 홍삼에 비해 항당뇨 효과가 더 큰 경향을 보였으나 보다 확실한 결과를 위해 8주 이상의 홍삼 장기투여에 의한 항당뇨 효과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솔잎증류액의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서 혈당, 구강내당능검사,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us densiflor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OGT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신희;황석연;박오성;김무강;정영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73-979
    • /
    • 2005
  • 한국에서 자생하는 흑송의 솔잎을 재료로 하여 항당뇨효능에 대한 생리 활성을 규명하고자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 에 솔잎증류액을 15일간 복강투여 후 체중, 혈당, OGTT,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및 간과 췌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솔잎 투여군의 체중은 솔잎투여 6일째에 잠시 체중의 상승이 나타났을 뿐 그 이후에는 DM군에서와 같이 체중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공복혈당은 DM군에 비해 솔잎투여군에서 용량효과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일째에 HP군에서 NC군의 수준으로 근접하였다. 구강내당능 검사결과 혈당곡선은 DM군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솔잎투여군에서 투여용량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였다. 간기능관련지수로서 혈장내 total protein, albumin, AST는 솔잎투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ALP와 ALT는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DM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장기능 관련지수에서는 creatinine, uric acid, calcium, IP는 개선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BUN에서는 DM과 비교시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용량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질대사관련지수로서 total cholesterol, TG, HDL-C, LDL-C 농도는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과 췌장조직 병리학적 관찰결과 간조직의 경우 DM군과 솔잎투여군의 일부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이 부분적으로 관찰되었고 췌도세포에서는 DM군은 췌장실질의 괴사, 출혈성 병변, 지방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DM군에 비해 억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솔잎추출물 투여 에 의 괘 공복혈당이 낮아지고 당내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간기능 지표 중 ALP와 ALT, 신장기능지표 중 BUN만이 솔잎 투여에 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치수 치근단 병소의 전구 위험요인으로서의 제 2 형 당뇨의 역할에 관한 소고 (THE ROLE OF TYPE 2 DIABETES AS A PREDISPOSING RISK FACTOR ON THE PULPO-PERIAPICAL PATHOGENESIS: REVIEW ARTICLE)

  • 김진희;배광식;서덕규;홍성태;이윤;홍삼표;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69-176
    • /
    • 2009
  • 당뇨(Diabetes Mellitus)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에 장애를 야기하는 질환으로 인슐린 의존성 여부에 따라 제 1 형과 제 2 형으로 분류된다. 본 종설은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제 2 형 당뇨가 치수 치근단 병소의 병인 과정에 전구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문헌고찰을 통해 당뇨의 병인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에 관해 알아보고, 부가적으로 제 2 형 당뇨 쥐 모델에서 인위적인 치수 감염 후 얻은 치근단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제 2 형 당뇨 쥐에서 대조군에 비해 치수 치근단 병소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치수 염증 반응도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당뇨 자체가 숙주를 감염에 취약한 상태로 만드는 전구 위험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첫째, 당뇨 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내 죽상 침착(atheromatous deposits)에 의해 혈관내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미세 순환의 장애는 물론 탐식 세포의 기능 저하, 면역 세포의 혈류 이동이 차단되어 치수 감염 시 쉽게 치근단 병소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고, 둘째 치수 혈관에서 특징인 측부 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의 부재에 따른 살균성 다형핵 백혈구의 활동 억제를 포함한 미세 혈관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치수 조직의 재생능이 저하되어 추가적인 감염원의 공격에 대한 방어 및 치유 저하를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 2 형 당뇨 환자의 수복치료 시 치과의사는 당뇨조절 하에서 치수 조직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심한 처치가 필요하다.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배양액을 이용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Using Submerged-Culture Broth of Fomitopsis pinicola Mycelium)

  • 이승배;오승희;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83-590
    • /
    • 2005
  • 소나무 잔나비버섯 균사체 배양액(CM)을 이용한 빵 제조를 위하여 첨가량($30\~50\%$)에 따른 반죽의 발효 및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M의 첨가량과 반죽의 품질지표(pH, 산도, 반죽부피, 되기, 강도 및 점도) 상호간의 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CM은 반죽의 pH를 높임으로서 반죽의 되기 및 강도를 높이는 반면 점도를 감소시켰다. 첨가에 따라 굽기 손실률은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oaf volume index는 첨가량에 따른 대조구와의 유의성은 없었다. 빵 껍질의 L*값은 $30\~40\%$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CM을 $30\~40\%$ 첨가한 빵은 대조구보다 낮은 경도(hardness)를 보였다. 그러나 $50\%$ 첨가구에서는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및 깨짐성(brittleness)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빵의 외관, 색상 및 조직감은 $30\~40\%$ 범위까지 첨가한 경우는 대조구와 대등한 값을 보였으나 $50\%$ 첨가구에서는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CM을 첨가한 빵은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낮은 노화도를 나타내었으며, 곰팡이 발생도가 낮았다. 이상에서와 전보의 결과를 종합할 때 CM을 $40\%$수준으로 첨가할 경우 빵의 전반적인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항당뇨 기능성의 빵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Hypoglycemic effects of Welsh onion in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 Kang, Min-Jung;Kim, Ji-Hye;Choi, Ha-Neul;Kim, Myoung-Jin;Han, Jung-Hee;Lee, Jai-Heo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86-491
    • /
    • 2010
  • Tight control of blood glucose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ere, we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Welsh onion on fasting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green stalk and white bulb, which are the edible portions of the Welsh onion, and the fibrous root extract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ere measured in vitro. To study the effects of Welsh onion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or acarbose (50 mg/kg) was administer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 were calculated. To study the hypoglycemic effects of chronic feeding of Welsh onion, five-week-old db/db mice were f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either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at 0.5% or acarbose at 0.05%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extract from the edible portions of Welsh onion, the fibrous root extract show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ith an $IC_{50}$ of 239 ${\mu}g/mL$. Oral administration of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and acarbose (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mental plasma glucose levels 30-120 min after oral ingestion of starch as well as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1). The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Welsh onio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1),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ed acarbose. Thus, we conclude that the fibrous root of Welsh onio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hyperglycemia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