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듀이 십진분류법의 발전요인 (Chief cau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3권
    • /
    • pp.85-111
    • /
    • 1986
  •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DDC) was first published in 1876. Since its first edition it has been revised, on an average, 6 years, and now it has become the widely used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which the scheme was translated in various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ief cau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D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allows materials to be shelved in a relative location as the collection expands. before the DDC was introduced, libraries used a fixed location for materials in which each item was assigned to a certain location set aside for a subject. 2. It is a practical system. The fact that it has survived many storms in the past hundred years and is still the most widely used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world today attests to its practical value. 3. The pure notation of arabic numerals is universally recognizable. People from any cultural or language background can adapt to the system easily. 4. The use of the decimal system enable infinite expansion and sub-division. And it has adaptability for use in libraries of various size and kinds because of its hierarchically expressive notation which permits varying degrees of inclusiveness and exclusiveness within its decimal structure. 5. The notation is simple and easily understood. The self-evident numerical sequence facilitates filing and shelving. And the mnemonic nature of the notation helps the readers to memorize and recognize the class numbers. 6. The relative index brings together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subject scattered in different disciplines. 7. We can avail of DDC numbers for specific titles easily because of its use by many central bibliographic services. 8. It is being continuously revised by a permanent office establish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in 1933. This office has been responsible for editing all editions of the DDC since the 16th (1958). And the periodic revision at regular intervals ensures the currentness of the scheme. 9. It has adaptability both for conventional (manual) shelf or classed catalogue analysis and also, through its meaningful nation, for retrieval through mechanization and computerized systems.

  • PDF

인터넷 학술정보자원의 디렉토리 서비스 설계에 있어서 DDC 분류체계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DC scheme in directory search engine for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s on internet)

  • 최재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7-68
    • /
    • 1998
  • 인터넷이 제공하는 학술정보자원은 풍부하지만 그 중에서 이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좋은 정보를 찾기는 쉽지 않다.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오랫동안 이용해온 분류체계인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을 이용하여 학술분야 인터넷정보자원을 검색할 주제별 디렉토리 검색엔진을 설계하였다. 이 검색엔진을 설계함에 있어서 대개념에서 소개념으로 특정주제를 세분해가는 DDC의 '체계적 배열'에 따라 분류코드를 설계하였고, DDC의 '상관색인'을 이용하여 자동 문서분류사전을 작성하였다.

  • PDF

KDC 제6판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187)의 용어 변경 및 주기사항 보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Terms and Supplementing notes of the Parapsychology and Occultism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김영주;권선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1-181
    • /
    • 2020
  • 이 연구는 KDC 제6판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의 용어와 주기사항의 보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DC와 DDC 등 주요 분류의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 분류체계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의 KDC 변천과정과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기의 미흡, 용어의 부적절함 등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분류의 혼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187의 각 하위 항목에 주기의 추가, 187.2, 187.3, 187.4, 187.5에 있어서 용어 변경 등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