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 Description Languag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필드버스 시스템에서의 기기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evice Integration in Fieldbus System)

  • 문용선;이명복;정철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24-330
    • /
    • 2004
  • 필드버스 시스템에서 필드기기를 제어전략에 맞게 제어시스템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기능 및 내부 파라미터가 기술되어 있는 DD(Device Description)를 구성 소프트웨어에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DD는 DDL (Device Description Language)로 작성되며, IEC 61804-PART 2로 제정되어, 필드버스인 Profibus, Foundation Fieldbus, HART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DD 기술은 필드버스에 종속적이며, 최근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는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 적합한 형식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필드버스에 종속적이지 않고,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 적합한 형식을 갖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이용하여 필드기기의 내부 기능 및 파라미터를 XDD(XML for Device Description)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산업현장에서 이더넷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분산제어시스템에서 XDD의 적용 관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모바일 웹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단말정보 처리 시스템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Mobile Web Service)

  • 김창수;최봉규;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85-1192
    • /
    • 2010
  • 최근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무선단말에서 다양한 콘텐츠의 요구 및 모바일 웹 서비스가 증대되고 있다. 모바일 웹 서비스경우 사용자들의 다양한 콘텐츠 요구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 모두에게 있어서 표준화된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정보와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기존의 서비스 사업자 기반의 단말정보 제공 방안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모바일 웹 서비스에서 다양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서 꼭 필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최적화된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각기 다른 모바일 단말에 적합한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호환성 확보형 단말정보 표현 언어(Devices Description Language)를 제안한다. 제안한 단말정보 표현언어를 검증하기 위한 단말정보 처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필드기기 통합구성을 위한 XML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XML Application for Integrating Field Device)

  • 문용선;이명복;정철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33-739
    • /
    • 2005
  • Device Description that is described as C-based DDL(Device Description Language) should be provided for the control system to use the progressive function of field device in the distributed control system. DD expresses field device function itself and parameter. DD is used to set a necessary function far a control strategy in the central control system. DD technology which was adopted as international standard IEC 61804-Part 2 is being used in PROFIBUS, Foundation Fieldbus and HART. However, the DD is dependent to the fieldbus and it doesn't have a suitable form in the industrial Ethernet.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change from EDD(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and GSD(General Slave Data) used for integrating field devices to XDD(XML for Device Description) and verifies it's effectiveness. Also,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assignment on the XML application in the distributional system from now on b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Ethernet`s development in the industrial area.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이승윤;이강찬;인민교;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19-822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 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의 기본 정보가 되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프로파일(DDL : Devic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하게 되는데, 이 모바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사항에 따라 검색 재조합 등의 과정을 거쳐 최적화된 형태의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독립된 형태의 단말정보 저장소(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20-323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화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91-2096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Based on DDR Simple API

  • Cho, Yong-Soon;Lee, Young-Il;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203-208
    • /
    • 2009
  • Recently, improved capabilities of the mobile device is represented in a demand for same level services with the desktop device services but the service that is developed for desktop device is not compatible with mobile devices. To fulfill these demands, it is needed to provide services with considering features of mobile devices. This means that CP(Contents Provider) must do contents transformation in order to make suitable contents on mobile device. For managing some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do contents transformation, we need the DDR(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which can store and search a variety of device information to grasp the constraints on the mobile device as compared with desktop devices. Also, defining standard API is required to offer a service regardless of platforms. Hereupon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introduced DDR Simple API. However that specifies the limited functions of DDR, which is inevitable to be added for more precise search services. In this paper, we expanded DDR Simple API and implemented DDR that supports DDL(Device Description Language) conversion and storing and searching device information.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 (A Mobile Device Description Language)

  • 김태현;이승윤;이강찬;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07
  •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 제조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 단말들은 단말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 받기위해 콘텐츠 제공자에게 HTTP 헤더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말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이 없어 서비스망 외부의 콘텐츠를 사용할 때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는 상호운용성의 문제가 있다. 국외에서는 국제 표준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UAProf(User Agent Profile)을 사용하여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UAProf을 사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지원 정보, 스마트카드 지원 정보, 외부 저장소 지원 정보 등에 대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단말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의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정보를 표현하는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를 UAProf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 PDF

UML과 HDL을 이용한 SoC 설계 개선 (Improving SoC Design Flow with Unified Modeling Language and HDL)

  • 김창훈;황상준;홍승우;성만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6
    • /
    • pp.135-138
    • /
    • 2005
  •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modem tools used to describe hardware, and becomes important as we move to higher levels of abstraction. The HDL has been made brisk use of in analog design, MEMS device[1-2], process related field as well as digital design.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HDL is Abstraction which is the strongest tool that extend greatly designer's design ability. In this paper by the Modelling Continuum with hierarchical structure of abstraction, we apply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to SoC Design with HDL UML makes an easy and visual description of the various levels of abstraction, and gives designers good flexible modeling capabilty for SoC Design.

  • PDF

네트워크 통합형 의료기기를 위한 안전한 상호작용 패턴과 구조적 안전성 검사 (Pattern-based Design and Safety Analysis for Networked Supervisory Medical Systems)

  • 강우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61-566
    • /
    • 2014
  • 통신기능과 상호연동가능성을 통해 의료기기들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효율과 환자의 안전성을 높이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와 제어컴퓨터를 통한 의료기기의 통합이 체계적이지 못할 경우 시스템의 복잡도를 크게 높이게 되며, 이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간의 안전한 상호작용 형태를 패턴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합형 의료기기의 제어 구조를 계층적으로 설계하고 안전성을 검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은 Architecture Analysis and Description Language (AADL)의 플러그인으로써 구현되었다. AADL환경에서 의료기기들을 가상으로 통합하고, 이들의 구조적인 안전성 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제 개발에 앞서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