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ailed investigation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하천 야생조류의 서식 기능 향상방안 연구 - 서울시 성내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Wild Bird Habitat in an Urban River - A Case Study on Seongnaecheon(Stream) in Seoul -)

  • 박군숙;박석철;한봉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eate ecological values for urban rivers. For this, the paper looks into river bed structures and how nearby lands are u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the specific sections for analysis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of the infrastructure conditions, surrounding land use, and the inter habitat structure of Seongnaecheon(Stream). A total of 780 individuals from 31 species of wild birds appeared in Seongnaecheon(Stream). According to foraging guild's habitat, there were 9 species of water, 8 types of water edges, 5 types of crowns, 5 types of shrubs, 2 types of tree trunks, 2 types of birds of raptors, and 355 individuals of water, 243 shrubs, 90 crowns, 84 water edges and 5 raptors. Many water birds were observed at the site where the Seongnaecheon(Stream) sandy plains and wetland herbaceous area were developed and the open water was secured. Most of the forest birds appeared on levee slope connected with forest around and riverside with fewer facilities for us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the entire section of Seongnaecheon(Stream), was 2.2697 and the downstream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of Seongnaecheon(Stream) was found to be useful as a habitat for wild birds in the city compared to other sections. Some sections of Seongnaecheon (Stream) had low species diversity index due to lack of green space and surrounding urbanization areas. In choosing target species, I researche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habitats and the habitation structure of wild birds in each zone. Regarding detailed plans, by classifying the breeding place & roosting site and the roosting site & shelter that took account of the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ecies in different sections, this paper suggested the major plant species and multilayer planting structures. Moreover,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habitats for water birds and forest birds along with the connection of the green network for improving the Eco-corridor linkage and inhabitation features in Seongnaecheon(Stream).

유전자변형 벼로부터 일어나는 화분비산의 시공간적 특성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ollen Flow of Living Modified Rice)

  • 안주희;조강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10-217
    • /
    • 2009
  • 본 연구에서 실행한 LM 벼의 화분비산 연구는 non-LM벼와 잡초성 벼의 의도치 않은 교잡은 경작지의 생태계에 문제를 야기할 기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벼의 이격거리 설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벼의 개화기간의 개화시간$(10:00{\sim}14:00)$의 주풍은 남풍이었으며, 시간대별 풍속은 $0.94{\sim}1.77$ m/s이었다. 2. 개화기는 LM벼와 Wild벼가 일치하는 기간은 8일이였으며, LM벼와 Wild벼의 최성기는 4일의 차이가 있다. 3. LM벼의 화분이 non-LM벼보다 유의하게 작게 조사되었다. 4. 화분채집량은 위가 노출된 슬라이드 글라스가 위가 덮인 슬라이드 글래스 보다 많았으며 LM벼가 Wild벼보다 비산량이 많았다. 5. 벼 화분의 비산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대부분 이루어졌다. 6. 거리에 따른 화분비산량은 1 m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 m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전형적인 지수함수를 나타냈으며, 3 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Large-scale, Miocene Mud Intrusion into the Overlying Pleistocene Coastal Sediment, Pohang City, SE Korea: Deformation Mechanism, Trigger, and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 for the 2017 Pohang Earthquakes

  • Gihm, Yong Sik;Ko, Kyoungtae;Choi, Jin-Hyuk;Choi, Sung-ja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85-596
    • /
    • 2020
  • 포항지진은 포항지열발전소의 수리자극에 의한 촉발지진으로 조사되었으며, 수리자극을 위해 주입된 유체가 임계상태에 도달한 지하단층을 재활성시킨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포항지열발전소의 건설 이전, 포항지진 진앙지 인근에서 단층운동에 의한 제4기층 변형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포항지진 이후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진앙지로부터 약 4km 떨어진 지점에서 대규모 물빠짐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이오세 이암에에서 발생한 이 물빠짐 구조는 MIS 5에 형성된 상부 해안퇴적층을 관입하고 있다. 이는 마이오세 퇴적층과 해안퇴적층의 부정합면을 따라 존재하는 지하수면과 마이오세 퇴적층이 속성작용 완료되기 전에 융기된 영향으로 인해, 마이오세 퇴적층이 충분히 고화되지 않아 연질퇴적변형구조를 형성할 수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 물빠짐구조는 미고화된 이암의 공극수압이 상부지층의 하중을 초과하여 발생한 구조로서 지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물빠짐구조로부터 약 400m 떨어진 지점에서 확인된 제4기 단층의 존재, 한반도 남동부의 빠른 융기율, 포항인근 양산단층을 따라 보고된 제4기 단층과 역사지진 기록과도 잘 부합한다. 따라서, 포항지진의 진앙지 일원은 제4기 동안 지구조운동과 이와 관련된 지표변형이 발생한 지점으로서 포항지진을 일으킨 단층 또한 지진발생 이전에 임계상태에 도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Sherlock을 활용한 차세대 중형위성용 CCB 솔더 접합부의 기계적 신뢰성 평가 (Mechanical Reliability Evaluation on Solder Joint of CCB for Compact Advanced Satellite)

  • 전영현;김현수;임인옥;김영선;오현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98-507
    • /
    • 2017
  • 최근 우주용 전장품에 다양한 실장형태의 고집적 소자가 적용됨에 따라, 기계적 환경에서의 고신뢰성 확보를 위해 인증모델 제작 전 잠재적 위험요소에 대한 조기진단으로 개발기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설계절차 구축이 요구된다. 고신뢰도 전장품 설계를 위해 기존에 적용되어온 Steinberg의 피로파괴이론은 최근 다양한 크기와 실장기법의 소자를 갖는 우주용 전장품에 적용하기에는 이론적 한계와 이들 각각에 대한 모델링 기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는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자의 상세 유한요소모델을 구축할 시, 다수의 실장구조를 갖는 고집적화 기판을 모델링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신뢰도 전장품 설계기법 구축을 위해 기존 사업에서 적용된 설계와 다른 접근방법의 일환으로 상용 신뢰성 수명예측 도구인 Sherlock을 이용하여 차세대중형위성용 탑재 전장품인 CCB(Camera Controller Box)에 대한 인증시험수준에서의 고장 메커니즘 별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로청소 수거퇴적물의 특성과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ediments from Road Sweeping and Reduction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s Loading)

  • 정권;강희만;고석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7-193
    • /
    • 2011
  • 도로에서의 강우유출수 내 포함된 오염물은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하여 많은 대책이 적용되고 있다. 도로청소에 의한 방법 또한 오염물의 강우유출에 의한 배출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 중의 하나로 인식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청소 시 수거된 토사입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퇴적토사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로 구간별로 도로청소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의 양을 평가하였다. 도로청소를 통하여 수거된 퇴적토사는 모래질로 분석되었으며 세립토 비중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퇴적토사 내 오염물의 양은 토양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청소작업시 물을 살수함으로써 토사에 포함된 오염물이 세척되어 침출수로 미리 배출되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두 도로구역에 대하여 오염물 농도, 발생 퇴적토사량, 오염물 원단위를 적용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 양을 평가한 결과, ${\bigcirc}{\bigcirc}$지역에 대하여 TSS 31.4% 및 ${\triangle}{\triangle}$지역에서는 TSS 7.7%의 TSS 저감량이 도출되었다. 중금속과 같은 타 오염물의 경우 훨씬 낮은 저감량이 평가되었으나 이는 물의 살수로 인하여 퇴적토사 내 오염물이 침출수로 배출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보다 정확하게 도로청소에 의하여 저감할 수 있는 오염물의 양을 산정하기 위하여 보다 자세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vestigation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Contamination around an Abandoned Metal Mine in Korea

  • Lee, Jong-Wha;Kwak, Soon-Sun;Hong, Sung-Chul;Park, Sang-Il;Jang, Bong-K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56-464
    • /
    • 2010
  • Recently, heavy metals contamination of the agricultural soil and crops surrounding mining areas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South Korea.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n Korea conducted a Preliminary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PNEHS) in abandoned metal mines in 2007. The priority for a subsequent detailed examination was ranked from the results of PNEHS. The studied mine which was ranked as being of the highest priority is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Korea and was operated from 1911 to 1985.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he heavy metals in the abandoned metal mine were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the average daily dose (ADD), target hazard quotient (THQ) and target cancer risk of the heavy metals were evaluated. The concentration of arsenic (As) in all of the tailings from the mine was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of Korea. In particula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s, 330 mg/kg, was up to 15 times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agricultural soils was higher than the warning standard of Korea, and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at six site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he analyzed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soil were below the warning standard, but concentrations of cadmium (Cd) and lead (Pb) at 4 sites were higher than its warning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surface water exceeded the warning standard of Korea. The value of the THQ of As for the tailings was higher than the health protection standard 1. The value of THQ of As for the farmlands was lower than the standard, while the hazard index (HI) of As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value of target cancer risk (TCR) of As, $6.44{\times}10^{-4}$, were higher than the health protection standard of a lifetime risk for TCR at $1{\times}10^{-6}$. This suggests that the residents around the metal mines are exposed to As pollution with a carcinogenic risk.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잔존수명 산출 논리 개선 연구 (Development of a Procedure for Remaining Life Estimation in Airfield Concrete Pavement)

  • 권수안;서영찬;조용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31-138
    • /
    • 2006
  • 공항 콘크리트 포장은 설계기준을 역순으로 하거나, FWD 장비로부터 얻어진 탄성 계수를 근거로 포장체의 잔존수명을 추정하여 왔었다. 그러나 FWD로부터 얻어진 탄성계수 값은 역산 방법에 따라 변동성이 심하므로 잔존수명의 일관성이 결여된 한계가 있다. 또한 구조적 측면만 고려하여 포장의 상태를 평가하므로. 기능적 측면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잔존수명 산출에 있어서 구조적 측면 및 기능적 측면 모두를 고려하는 논리를 제시하였으며, 각 논리별 세부 절차별에 있어서의 기준 및 모델 적용을 제안하였다 구조적 잔존수명 추정 논리를 개선하기 위해 오래된 공항을 대상으로 하여 하중을 받은 구간과 받지 않은 구간에서의 잔존수명 추정 인자 선정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왔던 탄성계수보다는 하중전달효율이 잔존수명 추정 인자로 규명되었다. 새롭게 개발한 잔존수명 추정 논리 및 세부 모형들의 현장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며 오래된 공항 한 개소를 선정하였다. 새로운 논리에 따라 현장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실무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요구도 조사 (Investigation of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홍선미;박신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94-507
    • /
    • 1999
  •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ex education contents including new natural family plan, concept and principle by receiving the opinions and advices from professionals and professors on sex education, by amend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teaching materials on sex, and examining the books related with sex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request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lack of sex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which have been the reason that needs of school sex education has been highly recognized but not vitalized. The developed sex education contents are 8 areas such as knowing my body right, caring my body, observing the ability of being pregnant, marriage, sexual intercourse, process of pregnancy, miscarriage, and sexual violence, 30 lower areas, and 105 detailed contents in their composition, and here are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degree of request of nurse teachers and the students on them. The teachers showed highest request in the area of sexual violence(M =4.67), the next was my body care(M=4.44), knowing my body right(M =4.38), process of pregnancy(M=4.13), marriage(M=4.11) and sexual intercoursen (M=3.98), ways of judging the ability of being pregnant(M=3.88), and miscarriage(M=3.72) showed comparative higher request than normal. Not like the teachers, the students showed that they requested Marriage area as the highest need(M=3.04) and next was sexual violence(M=3.02), caring my body(M=3.00) to have been higher than normal. Process of pregnancy(M=2.99), Sexual intercourse(M=2.81), miscarriage(M = 2.77), observation of the ability of being pregnant(M=2.74), and knowing my body right(M=2.70) have been the requests lower than normal. This study showed that sexual violence, marriage, caring my body, were the items most requested by both the leacgers and students and in elementary school the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on natural family plan suitable to the level of development of the children has been requested as it has had no inclusion of the concept of natural family plan, and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re concerned on indirect sexual contents related with physical health like regular exercise rather than direct sexual education contents including sexual intercourse. All these show that they are still so naive on sex. The sense of the teachers on sex has been connected with the level of achievement of sex education of the children as it has been the important cause of deciding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Therefore the materials developed onesidedly by leaders without reflecting the needs or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s might be worries of bringing shameful. low quality and negative opinions on sex, and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might lose the concerns and interest on sex education, So th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have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coinciding with the request of the children.

  • PDF

판형 구조물 유도초음파 검사를 위한 SH파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an SH Wave Magnetostrictive Transducer Module for Guided Wave Testing of Plate Structures)

  • 조승현;박재하;권휴상;안봉영;이승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2-129
    • /
    • 2009
  • 유도초음파 검사는 구조물의 장거리 탐상 적용 가능성으로 인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검사에 있어서 탐상 성능은 검사시 이용하는 유도초음파 모드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탐상 목적에 맞는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판형 구조물 검사의 경우, 현재까지 램파가 주로 이용되어 왔고 SH파의 응용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SH파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응용 빈도가 적은 것은 무엇보다도 성능이 검증되면서 사용이 용이한 트랜스듀서가 부족한 데 주 원인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변형 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소형 SH파 유도초음파 트랜스듀서 모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SH파용 자기변형 트랜스듀서가 패치를 구조물에 접착제로 부착해서 사용해야하는 점으로 인해 많은 불편을 초래한 데 비해, 제안한 트랜스듀서는 모듈로 제작되어 전단커플런트와 함께 이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개발된 트랜스듀서 모듈의 SH파 변환 기전과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유도초음파 전파 시험을 통해 제안한 트랜스듀서 모듈의 성능 및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IS 및 산림기본통계를 이용한 산림정보지도 제작 (Forest Information Mapping using GIS and Forest Basic Statistics)

  • 박준규;이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70-377
    • /
    • 2018
  • 현재 우리나라는 산림선진국(독일, 일본, 오스트리아 등)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산림경영, 산림조사 및 산림관리 등 산림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체계적이며, 고도화된 산림관리 방안 수립 및 관련 연구는 부족하고, 실질적이면서 복합적인 분석을 위한 GIS로의 구축도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GIS를 기반으로 산림기본통계자료(2010년, 2015년)를 지도화하여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세부 행정구역별 산림면적, 임목축적, 평균임목축적, 산림률을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된 지도로 제작할 수 있었으며, 시계열적인 변화 또한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산림면적은 고성군, 세종특별시, 철원군, 연천군, 대전광역시 동구,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만 증가하고, 그 이외 지역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목축적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반면, 2011년 산불피해를 입은 울진군을 비롯하여 울릉군,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서울특별시 중구에서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균임목축적은 4개 행정구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산림률의 경우 고성군, 연천군, 공주시, 부산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 서구 등 10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소규모의 행정구역과 더 많은 시기를 대상으로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고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