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modesm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Five Taxa of Newly Recorded Species of Scenedesmaceae (Sphaeropleales, Chlorophyceae, Chlorophyta) in Korea

  • Bang, Sung Do;Kim, Jee Hwan;Yim, Byeong Cheol;Lee, Ok Min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271-276
    • /
    • 2018
  • Phytoplankton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environments including small marshes, small ponds, reservoirs and brackish water from March 2017 to November 2017. In this study, five species of family Scenedesmaceae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The genus Desmodesmus was newly reported in Korea. The newly recorded species are Scenedesmus nanus, S. praetervisus, Desmodesmus costato-granulatus, D. lunatus and D. spinulatus. S. nanus and S. praetervisus are known to occur in freshwater, but they were found in the brackish water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Phototrophic Growth and Lipid Production of a Newly Isolated Microalga, Desmodesmus sp. KAERI-NJ5

  • Joe, Min-Ho;Kim, Dong-Ho;Choi, Dae Seong;Bai, S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7-389
    • /
    • 2018
  • In this study, a novel microalgal strain, Desmodesmus sp. KAERI-NJ5, was isolated, identified, and evaluated as a candidate for biodiesel feedstock. In a preliminary study, the effects of four general microalgal growth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pH, light intensity, and concentration of nitrogen source ($KNO_3$), on the microalgal photoautotrophic growth were evaluated. With the exception of light intensity, the growth factors needed to be optimized for the microalgal biomass production. Optimization was don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al conditions for biomass production were pH 6.54, $27.66^{\circ}C$, and 0.52 g/l $KNO_3$. The biomass production at the optimal conditions was 1.55 g/l, which correlated well with the predicted value of 1.5 g/l. The total lipid and fatty acid methyl ester contents of the cells grown at the optimal conditions were 49% and 21.2% of cell dry weight,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lipid content of the biomass, microalgae were challenged by nitrogen starvation. Enhancement of total lipid and fatty acid content up to 52.02% and 49%, respectively, were observed. Lipid analysis of the nitrogen-starved cells revealed that C16 and C18 species accounted for 95.9% of the total fatty acids. Among them, palmitic acid (46.17%) and oleic acid (39.43%) dominantly constituted the algal fatty acids. These results suggest Desmodesmus sp. KAERI-NJ5 as a promising feedstock for biodiesel production.

Chlorococcales (Chlorophyceae) of Eastern and North-eastern States of India

  • Jena, Mrutyunjay;Adhikary, Siba Prasad
    • ALGAE
    • /
    • 제22권3호
    • /
    • pp.167-183
    • /
    • 2007
  • Fifty-six taxa of chlorococcales were recorded from different water bodies of eastern and north-eastern states of India. These belong to 21 genera, e.g. Chlorococcum (1), Truebaria (1), Pediastrum (9), Hydrodictyon (1), Botrycoccus (1), Coenochloris (1), Radiococcus (1), Coenocystis (1), Oocystis (1), Glaucocystis (1), Chlorella (1), Kirchneria (2), Kirchnereilla (1) Ankistrodesmus (10), Coelastrum (3), Actinastrum (2), Tetrastrum (1), Crucigenia (1), Crucigeniella (1) Desmodesmus (6) and Scenedesmus (9). All these species were recorded first time from this region and out of these 16 species reported first from India.

New records of genus Scenedesmus (Chlorophyceae) found in Korea

  • Kim, Yong 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13-227
    • /
    • 2015
  • This study summarizes the taxonomic notes and distribution of 13 taxa of the genus Scenedesmus (Chlorophyceae) collected from several swamps, reservoirs, and rivers throughout South Korea from 2012 to 2014. In this study, light microscopy images of all 13 taxa are presented and briefly discussed with regard to their taxonomy, distribution, and ec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occurrence sites. All 3 subgenera (subgenus Scenedesmus 1 taxon; subgenus Acutodesmus 2 taxa; subgenus Desmodesmus 10 taxa) are newly described in Korean freshwater algal flora: S. linearis, S. acuminatus var. elongatus, S. acuminatus var. tetradesmoides, S. carinatus, S. denticulatus var. disciformis, S. gutwinskii var. heterospina, S. helveticus f. bicaudatus, S. lefevrei, S. oahuensis var. clathratus f. longiclathratus, S. oahuensis var. clathratus, S. pannonicus, S. polydenticulatus, and S. tenuispina.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연구: (III) 녹조류 (Fundamentals of Ecotoxicity Evaluation Methods Using Domestic Aquatic Organisms in Korea: (KII) Green Algae)

  • 안윤주;남선화;백용욱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117-1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에 분포하는 녹조류를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는 국내외 독성 시험법의 시험 세부 조건을 노출 기간, 종말점, 초기접종농도 등을 중심으로 수렴하여 급성 및 만성 독성시험기법의 시험 세부 조건별 범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형 생태독성시험기법을 마련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의 제한점과 생태독성평가기법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행된 바 있는 독성 시험법에 대한 기존 연구 사례를 살펴본 결과, OECD, EC, KS 등의 표준시험법에서 추천한 시험종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Desmodesmus subspicatus를 대상으로 한 독성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의 시험종 이외에도 국내 생물종에 대한 소수의 독성 자료가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시험법을 수정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기접종농도 및 배양액은 생물종마다 상이하게 수행되었으므로 녹조류 성장저해시험에 있어서 가장 주의할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이 미약한 현 시점에서 국내생태독성시험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도출된 생태독성시험기법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한 검증 및 보완,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바 없는 시험종 개발 및 각각의 시험종별 생태독성시험기법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물종별 독성시험기법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수계 실정 및 먹이 연쇄에 따른 생물종간 상호 연관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국내 시험종 및 그 시험법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leaginous Microalgal Species from Northern Xinjiang

  • Wu, Lei;Xu, Liangliang;Hu, Chunx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6호
    • /
    • pp.910-917
    • /
    • 2015
  • A total of 646 strains, including green algae and diatoms, were isolated from 220 samples to screen microalgae with high lipid productivity (LP). The samples were obtained from nine habitats in Northern Xinjiang, China in June 2013. This study initially identified eight lipidrich strains, namely, Desmodesmus intermedius XJ-498, D. intermedius XJ-145, D. intermedius XJ-99, Monoraphidium pusillum XJ-489, M. dybowskii XJ-435, M. dybowskii XJ-151, Mychonastes homosphaera XJ-488, and Podohedriella falcata XJ-176, based on 18S rDNA sequencing. The strains were cultured in a photobioreactor for the same period.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growth rate (day-1) of M. pusillum XJ-489 was the highest (1.14 ± 0.06), and the biomass concentration (g/l) of D. intermedius XJ-99 was the highest (2.84 ± 0.3). Futhermore, the lipid content (%) of M. dybowskii XJ-151 was the highest (33.5 ± 4.38), and the lipid productivity (mg l-1 day-1) of My. homosphaera XJ-488 was the highest (86.41 ± 9.04). C16 to C18 accounted for 86% to 98% of the total lipid, and the biodiesel qualities of the selected algae correspond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that My. homosphaera XJ-488, D. intermedius XJ-99, and M. dybowskii XJ-151 are the most potential strains for biodiesel production among all the isolated strains.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 (The Risk Assessment of Butachlor for the Freshwater Aquatic Organisms)

  • 박연기;배철한;김병석;이제봉;유아선;홍순성;박경훈;신진섭;홍무기;이규승;이정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벼재배용 제초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utachlor는 농약 사용 성수기($5{\sim}6$월)에 하천수 중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utachlor의 담수조류와 담수무척추동물, 담수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여 독성영향을 구명하였고 위해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utachlor의 담수조류에 대한 생장영향을 알아보고자 녹조류 3종(P. subcapitata, D. subspicatus, C. vulgaris)에 대해 생장저해시험을 수행한 결과, butachlor에 대한 P. subcapitata, D. subspicatus, 그리고 C. vulgaris의 72시간 $ErC_{50}$은 각각 0.002, 0.019, 그리고 $10.49mg\;L^{-1}$이었고, NOErC는 0.0008, 0.0016, 그리고 $5.34mg\;L^{-1}$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담수무척추 동물인 물벼룩(Daphnia magna)에 대한 24시간 및 48시간 $EC_{50}$ 값은 각각 2.55와 $1.50mg\;L^{-1}$이었고, NOEC는 $0.6mg\;L^{-1}$이었다. Butachlor의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결과, 잉어(C. carpio), 송사리(O. latipes) 그리고 미꾸리(M. anguillicaudatus)에 대한 96시간 $LC_{50}$ 값은 각각 0.62, 0.41 그리고 $0.24mg\;L^{-1}$으로 나타났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가능성이 있었다. Butachlor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별 수서생물에 대한 TER을 산출한 결과, 논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04, 3.6 그리고 0.58으로서, 조류와 어류는 우리나라 기준인 2보다 낮아 위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로에서 조류,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TER은 각각 0.05, 50 그리고 8으로 조류는 2이하로 위해가능성은 있었다. 강에서 조류, 물벼룩 그리고 어류에 대한 각각의 TER은 0.36, 357 그리고 57로 산출되어 조류는 2이하로 여전히 위해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butachlor는 녹조류 중 감수성이 높은 P. subcapitata, D. subspicatus 등에 일시적인 개체수 감소 등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감수성이 낮은 C. vulgaris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Butachlor의 물벼룩과 어류에 대한 위해 가능성은 배수로 및 강에서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utachlor의 논에 살포시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의 산란시기($6{\sim}7$월)가 butachlor의 사용시기와 비슷하여 논에 butachlor 사용으로 인한 미꾸리 수정란과 치어에 대한 영향, 개체수 감소 및 회복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