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flood discharg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2초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유역의 유출량 변화율 분석 (Analysis of Rate of Discharge Change on Urban Catch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 김호성;황정윤;안정환;정창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645-654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강우사상은 과거와는 다른 양상의 강우사상으로 도심지역에 내수침수로 인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의 증가는 설계홍수량의 변화를 초래하여 이로 인한 홍수 위험도 증가와 치수안전도 감소 등 수공구조물 설계기준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및 기후시나리오의 한계로 인해 정량적 분석결과가 제시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광천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유출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까운 미래인 S1 기간에서도 14.2%의 유출량이 증가하여 하수도설계 기준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평균유속공식의 최적매개변수 산정에 의한 유량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Discharge by Estimating Optimum Parameter of Mean Velocity Equation)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78-5586
    • /
    • 2012
  • 이수 및 치수, 수공구조물 설계 등을 위한 하천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써, 유량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하천의 유량 생산은 수위-유량관계 곡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 곡선법은 측정된 수위와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홍수기 때의 유량을 회귀 분석으로 예측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간편하게, 특히 측정이 어려운 홍수기 때에 유량을 예측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이용하므로 동수반경, 에너지경사, 지형, 조도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인자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하나로 KSCE에 기 게재된 Choo 등(2011)에서 제안한 Manning식과 Chezy식의 경험적 매개변수의 편리한 산정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량을 예측하였다. 실험실 사행 개수로와 India 운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증명하였고 결정계수 0.8 수준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수리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간단하게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실무에서도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퍼지제어모형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모형 (II) - 과거홍수사상에 대한 적용 - (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 II ) - Simulation of Historical Flood Events -)

  • 심재현;김지태;조원철;김진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1-5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퍼지제어기법을 이용한 홍수조절 모형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강수계 단일댐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형들의 홍수조절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1984, 1990, 1995년 대홍수 발생시 실제 운영실적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들의 가상운영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3개 모형은 모두 실제 적용성을 고려하여 댐의 수위와 유입량이라는 2가지 정보량으로부터 방류량을 결정토록 하였으며, 최대방류량 역시 댐 설계시 기준인 허용최대방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각 홍수사상에 대해 적용한 결과 기존의 댐 운영결과에 비해 홍수위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하류부의 피해 최소화에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퍼지제어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위의 영향을 고려한 도심지 배수유역에서의 범람모의 (Inundation simulation in a urban drainage basin considering tidal stage effect)

  • 김대근;최경순;고영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1-717
    • /
    • 2009
  • In this study, SWMM model is used to reproduce the main storm sewer system located in the Nae-Hang drainage basin of the Mokpo city and keep track of flood discharge. Given the outlet of the reaches border the coastline, this paper has taken the dual-drainage approach to perform inundation simulation, considering both the overflows and inflows at the manholes of the sewer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 impacts of tidal stage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First, when planning lowland sewer system alongside the coastline or the riverside, the tidal stage or flood stag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es. Second, an analysis that fails to consider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may overestimate inundation depth of the flooded area. In other words, in order to estimate flood discharge and flood stage in a lowland storm sewer system,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conveyance capacity of storm sewer system and simulate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at the same time.

침수 시뮬레이션을 통한 침수예방사업의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lood prevention projects through flood simulation)

  • 신정섭;정석현;조병옥;강선홍;박병만;윤준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9-181
    • /
    • 2018
  • For performance analysis of flood prevention projects, this study performed simulation (SWMM) for the five sites where the projects have been completed. The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watershed and sewer information of the project sites and were verified using flood records in the past to improve accuracy. In this simulation, the design rainfall data (probability 30~50 years) and the rainfall data in the summer of 2017 were applied. When the design rainfall data was applied to the models,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at all the sites were flooded before the projects, but after the projects all the sites were not flooded due to improve discharge capacity. And when the rainfall data in the summer of 2017 was applied to the models,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at all the sites were flooded before the projects, but after the projects any sites did not occur flooding in this summer. So if the projects had not been completed, all the sites might be flooded in the summer of 2017. These effects were analyzed as the improvement of discharge capacity due to rehabilitation of sewe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tunnel and pumping station, etc. As the results, ratio of sewer that water depth exceed diameter reduced from 52.3~75.8% to 17.1~39.8%.

화순 홍수조절지의 유입유출 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ow and Outflow Structures of Hwasun Flood Control Reservoir)

  • 이상화;진광호;류종현;김수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75-684
    • /
    • 2012
  • 최근 기상변화에 의한 집중호우는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하는 홍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하천의 폭이 제한된 상태에서 이러한 초과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관리방법은 제방증고, 저류지 및 방수로 건설, 하상 준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인 화순홍수조절지는 저류지와 수위조절을 위한 제수문이 설계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저류지 운영시간동안 일정 홍수량만을 배제해야 할 상황에 대해 설계의 적정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저류지 유입부의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설계상의 월류량을 초과하였고, 제수문 1.1m 개방시 설계유량($326m^3/s$)을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유량 방류시 제수문 직하류에 7.19m/s의 고유속은 baffle block을 설치할 경우 3.3m/s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하류하천의 영향 최소화를 위한 보조 여수로 최적 활용방안 검토 (The Optimal Operation on Auxiliary Spillway to Minimize the Flood Damage in Downstream River with Various Outflow Conditions)

  • 유형주;주성식;권범재;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61-7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강도 및 빈도의 증가에 따른 집중호우의 영향 및 기존 여수로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홍수 시 하류 하천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조 여수로 활용방안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수리모형 실험 및 수치모형 실험을 통하여 보조 여수로 운영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 검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여수로에서의 흐름특성 및 기능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을 뿐 보조 여수로의 활용방안에 따른 하류하천 영향 검토 및 호안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여수로 및 보조 여수로 방류 조건에 따른 하류영향 분석 및 호안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 방류 시나리오 검토를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FLOW-3D 수치모의 수행을 통한 유속, 수위 결과와 소류력 산정 결과를 호안 설계허용 기준과 비교하였다. 수문 완전 개도 조건으로 가정하고 계획홍수량 유입 시 다양한 보조 여수로 활용방안에 대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보조 여수로 단독 운영 시 기존 여수로 단독운영에 비하여 최대유속 및 최대 수위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만 계획홍수량의 45% 이하 방류 조건에서 대안부의 호안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해당 방류량 초과 경우에는 처오름 현상이 발생하여 월류에 대한 위험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 여수로와의 동시 운영 방안 도출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여수로의 배분 비율 및 총 허용 방류량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보조 여수로의 방류량이 기존 여수로의 방류량보다 큰 경우 하류하천의 흐름이 중심으로 집중되어 대안부의 유속 저감 및 수위 감소를 확인하였고, 계획 홍수량의 77% 이하의 조건에서 호안의 허용 유속 및 허용 소류력 조건을 만족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조 여수로 활용방안으로는 기존 여수로와 동시 운영 시 총 방류량에 대하여 보조 여수로의 배분량이 기존 여수로의 배분량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하류하천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수로 방류에 따른 대안부에서의 영향에 대해서만 검토하였고 수문 전면 개도 조건에서 검토하였다는 한계점은 분명히 있다. 이에 향후에는 다양한 수문 개도 조건 및 방류 시나리오를 적용 및 검토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보조 여수로 활용방안을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웹기반 홍수관리시스템 구현을 위한 홍수분석모듈개발 (Development of Flood Analysis Modul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Flood Management System)

  • 정인균;박종윤;김성준;장철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03-111
    • /
    • 2014
  •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lood analysis module (FAM) for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real-time agricultural flood management system. The FAM was developed to apply for an individual watershed,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This module calculates the flood inflow hydrograph to the reservoir using effective rainfall by NRCS-CN method and unit hydrograph calculated by Clark, SCS, and Nakayasu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s, and then perform the reservoir routing by modified Puls method. It was programmed to consider the automatic reservoir operation method (AutoROM) based on flood control water level of reservoir. For a $15.7km^2$ Gyeryong watershed including $472{\times}10^4m^3$ agricultural reservoir, rainfall loss, rainfall excess, peak inflow, total inflow, maximum discharge, and maximum water level for each duration time were compared between the FAM and HEC-HMS (applied SCS and Clark unit hydrograph methods). The FAM results showed entirely consistent for all components with simulated results by HEC-HMS. It means that the applied methods to the FAM were implemented properly.

충주댐 방류에 따른 댐 상하류 홍수위 영향 분석 (Effect of Chungju Dam Operation for Flood Control in the Upper Han River)

  • 김상호;김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537-5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홍수시 충주댐 운영에 따른 댐 상 하류의 홍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팔당댐 상류의 한강 본류에 위치한 충주댐을 기준으로 상류구간과 하류구간으로 구분하고,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함으로써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의 유무를 가정하여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를 검토하고, 방류량의 변화에 따른 상 하류 주요지점의 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 홍수시 충주댐의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는 댐 하류구간에 집중되어 있어 댐 상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댐 배수구간 상류 하천의 기점수위 결정방법의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댐 배수구간과 상류 하천의 계획홍수량 불연속을 반영할 수 있는 기점수위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댐 상류하천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설계 및 홍수피해 발생시 피해원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탱크 모델에 의한 홍수(洪水) 유출량(流出量) 해석(解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lood runoff analysis with TANK MODEL)

  • 홍창선;최한규
    • 산업기술연구
    • /
    • 제3권
    • /
    • pp.95-101
    • /
    • 1983
  • This study aims at the 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ies of runoff and infiltration affecting runoff. The rating curve is more available than the peak flood runoff to determine flood control plan of flood control reservoir and the volume of hydroelectric power plant, or to make multipurpose dam. In hydrologic analysis and design,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ions between precipitation and runoff, possible using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runoff as parameters. In order to calculate the runoff discharge, the runoff process constituting elements are divided to the surface runoff, the subsurface runoff and the groundwater runoff. By comparing the computed hydrograph with the measured hydrograph, determinned the watershed TANK Model constant Varying the tank model constant for approximating the computed hydrograph to the measured hydrograp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