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Creativity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The Suggestion of Design Thinking Process and its Feasibility Study for Fostering Group Creativity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 이도현;윤지현;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3-453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에 도입 가능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집단 창의성의 발현 측면에서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로부터 우리나라 과학 교육 상황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지식 이해', '공감', '관점 공유',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의 다섯 단계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제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과학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관련 지식 이해 단계에서는 관계 형성과 정보 수집 요소를, 공감 단계에서는 사용자 지향, 관계 형성, 대인 이해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점 공유 단계에서는 팀의 조직 요소를,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분석적, 전략적 사고력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의사소통과 분석적, 전략적 사고력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창의성 과정에 능숙한 전문가들로부터 발견되는 집단 창의성의 핵심 속성을 학생들로부터 모두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세스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집단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을 경험하고, 관련 가치를 배울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도형을 응용한 유아 미술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s Art Creativity Program Applying Basic Shapes)

  • 윤정진;김길권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91-391
    • /
    • 2005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children's art creativity program applying basic three shapes : square, triangle, and circle. The program consisted of 10 art activities. A total of 55 children participated the 10 week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creativity in the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

  • PDF

A Workplace to Support Creativity

  • Samani, Sanaz Ahmadpoor;Rasid, Siti Zaleha Binti Abdul;bt Sofian, Saudah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14-42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review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garding to the role of workplace on affecting people's performance. In today's industry creativity has a very special and important place because of the dynamic organizational changes and rapid growth of technology. To support these new working styles and specifically, to support creativity within an organization, flexible workplaces are often suggested. Since open-plan office offers more flexibility when compared to completely closed and private ones, they are seen to have more capabilities and are highly valued in today's industry. So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fice design to enhance employees' performance, especially in creative tasks.

순환학습 모형을 활용한 과학 교수법이 유아들의 창의성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ycle Model for Science Instruction : Preschool Children's Creativity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 정정희;박윤배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4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cycle model for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learning cycle approach consists of four phases : awareness, exploration, investigation, and concept applic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20 scientific activities. A total of 70 children participated the 10 week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ests in the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

  • PDF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 이도현;윤지현;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3-105
    • /
    • 2014
  • 최근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21세기 핵심 역량으로서 집단 창의성이 강조됨에 따라, 집단 창의성 계발 방안으로서 협업과 공감을 강조하는 디자인적 사고를 과학 교육에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자인적 사고의 효과적인 도입과 전략 마련을 위하여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 초점집단면접, 중요사건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인적 사고의 속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역량군과 15개의 핵심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팀의 조직', '의사소통', '자기조절', '설득력', '주도성'의 5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 '분석적 사고력', '전략적 사고력', '직관적 사고력'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사용자 지향', '관계형성', '대인이해'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성취지향', '정보수집', '호기심', '유연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다학제 역량군을 들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집단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략 마련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캐릭터 도안(圖案)의 창작성 판단 기준 - 저작권침해소송 판례를 중심으로 - (Judiciary Elements of Originality in 2D Character Design - Focused on the Precedents of Copyright Infringement -)

  • 조경숙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33-48
    • /
    • 2016
  • Upon the needs to draw the judicial elements of creativity in the copyrighted character designs, this paper aims to draw and categorize the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court deci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rm of body, the features in its face and its composition, the overall image, the degree of personification, and aesthetic sensation. These elements reflect formative skills required to portray the intrinsic quality of a character. This paper is of significant interest in that it suggested the legal basis and elements of creativity in character design to professionals in both areas of design and judicial decisions.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Fashion Design Classes

  • Park, Hye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22-228
    • /
    • 2019
  •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hance the problem-solving skills required by the industrial field,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applied PBL class methods such as 'learning based on individual specific problems', 'self-directed learning', and 'small-group learning of small members' to practical design of fashion design. To do thi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after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PBL module for one semester in a practical class of fashion design major at P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the class conducted by PBL learning method was improved tha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s such, if PBL class is used as a way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t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a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that can improve creativity and profess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