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tophytos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자선(自癬)의 역학적(疫學的) 연구(硏究) (An Epidemiologic Study on Dermatophytoses)

  • 김종민;김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5
    • /
    • 1977
  • 1. 1972년(年) 7월(月)부터 만 4년(年) 6개월간(個月間) 서울시내 6개(個) 대학병원(大學病院)에 내원(來院)한 환자(患者) 총 144,630명중(名中) 전풍(?風)을 포함(包含)한 백선증(白癬症) 환자(患者)는 7,221명(名), 5.1%이었다. 2. 연령별발병분포(年齡別發病分布)를 보면, 전(全) 백선증환자(白癬症患者)의 42.4%가 $20{\sim}29$세군(歲群)에 있어 가장 많았고, 9세(歲) 이하(以下) 및 50세(歲) 이후(以後)의 연세군(年歲群)에서 가장 낮은 빈도(頻度)를 보여주고 있다. 3. 병형별(病型別)로는 완선(頑癬)이 2,749명(名), 38.1%로 가장 많았고, 족부백선(足部白癬)이 2,053명(名), 28.4%로 다음이었으며, 두부백선(頭部白癬)은 98명(名), 1.3%로 가장 적었다. 4. 성별(性別) 분포(分布)는 전체적(全體的)으로 남(男) 여(女)의 비(比)가 2 : 1로 남자환자(男子患者)가 많았고, 병형별(病型別) 남(男) 여(女)의 비(比)는 완선(頑癬)이 17.4 : 1, 두부백선(頭部白癬)과 반풍(瘢風)이 각각(各各) 1.9 : 1로 남자환자(男子患者)가 많았으나 기타(其他)의 병형(病型)에서는 여자환자(女子患者)가 많았다. 5. 연도별(年度別)로는 수부백선(手部白癬)이 매년(每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인 이외(以外)에는 연도별(年度別)로 특이(特異)한 변동(變動)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소아에서 분리된 피부진균증의 발생경향 (Incidence Trends of Dermatophytoses Isolated in Children)

  • 김수정;방용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4-448
    • /
    • 2018
  • 2017년 1월 2일부터 12월 30일까지 내원한 검사환자 13,093명 중 소아청소년환자는 691명이며 백선균 분리환자는 179명으로 25.9%가 분리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 소아환자 691명 중 남성은 423명으로 61%이며 여성은 268명으로 39%로 분포하였다. 연령군별 조사에서는 신체변화가 가장 많은 시기인 사춘기(317, 46%)에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령기(203, 29%)와 영유아기(171, 25%)의 순서로 나타났다. 계절별 조사에서는 여름(195, 28%)과 겨울(191, 28%)이 높게 분리되었고 봄(165, 24%)과 가을(140, 20%)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부위별로는 족부백선(353, 5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 순으로는 몸백선(91, 13%), 조갑백선(77명, 11%), 사타구니백선(55, 8%), 두부백선(39, 6%), 수부백선(29, 4%), 그리고 얼굴백선(22, 3%)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연령별에 따른 부위별 질환은 소아연령 모두에서 족부백선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다음 순으로는 유아기와 학령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수부백선, 그리고 두부백선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사춘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그리고 사타구니백선으로 분리되었다. 원인균종은 Trichophyton rub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본 자료분석을 통해 소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백선의 분포와 분리균종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소아피부진균증의 분포 추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피부진균증의 원인진균과 발현 빈도에 관한 연구(I) (Mycological Studies of Superficial Fungal Disease : Pathogenic Fungus and Prevalence)

  • 신현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3
    • /
    • 2001
  • 피부과환자 105명에서 원인 진균의 발현율을 보기 위하여 연구를 하였다. 피부질환의 병형별 발현율은 족부백선이 44.8%, 완선이 30,5%였으며, 병원성진균의 분리율이 높았던 병형은 안면백선, 체부백선, 조감백선이었다. 병원성진균의 분리율이 높았던 연령군은 $0{\sim}9$세군, $60{\sim}69$세군, $20{\sim}29$세군 이었다. 피부질환의 원인진균으로는 Trichophyton spp.가 43.5%, Candida spp 12.9%. Microsporium spp. 3.2%였다 전체적으로 분리된 진균은 Trichophyton spp. 24.1%, Penicillium spp. 23.2%, Rhizopus spp. 8.0%였다.

  • PDF

대구지방 체부백선에 대한 임상 및 진균학적 (Clinical and Mycologic Studies of Tinea Corporis in Taegu)

  • 방용준;김쌍용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1-85
    • /
    • 2010
  • The clinical features of 178 patients with tinea corpori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8 in Catholic Skin Clinics were evaluated. KOH examination and culture from the patients lesions were performed. And cultured dermatophytes were identified by colony morphology and microscopic finding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ith the infection was about 1.3:1 and showed more prevalence in male. The unexposed area (84.5%)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than exposed (15.5%) and the most common site was buttock. Coexisting dermatophytoses in patients with tinea corporis were noted in 27 cases and the most commons were tinea pedis. The isolated dermatophytes were composed of Trichophyton rubrum (91.7%), Microsporum canis (2.6%), T. verrucosum (2.6%), T. mentagrophytes (1.7%), and T. tonsurans (1.7%).

  • PDF

완선(頑癬)의 임상(臨床) 및 균학적(菌學的) 연구(硏究)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ies on Tinea cruris)

  • 류희준;김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3-148
    • /
    • 1980
  • The authors performed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ies on Tinea cruris of 842 outpatients who had visited the dermatology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75 to 1979. 1) The incidence of Tinea cruris was 4.4% in maximum and 3.0% in minimum of the total superficial mycotic diseases cases, so there are no remarkable changes of the yearly prevalence rate. 2) Tinea cruris was more frequent among males, and the male cases were 15.2 time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cases. 3) By the monthly distribution, Tinea cruris shows most high in summer season (June, July and August). 4) The age distribution group for Tinea cruris varied from the first to the eighth decade, but most of them were in their third decade. 5) Concurrent infection of Tinea cruris with other types of dermatophytoses(Tinea) was noted in 19.0% of the cases. Patients with Tinea cruris and Tinea pedis were most highly observed in 51.3%, and on next. Tinea cruris and Tinea corporis 25.6% in all of the concurrent infection cases. 6) The strains were identified by culture on ordinary Sabouraud's glucose agar media and abtained three species and 99 strains. a) Trichophyton rubrum was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of Tinea cruris. Trichophyton rubrum was isolated 64 strains (64.6%). b) Trichophyton mentagrophytes was isolated 27 stains (27.3%) and Epidermophyton floccosum was 8 strains (8.1%).

  • PDF

Mycological Features of Trichophyton verrucosum Isolated in Cattle

  • Kim, Su J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7-371
    • /
    • 2019
  • In this study, the author observed the fungal characteristics of T. verrucosum which is commonly known as the cattle ringworm fungus in the farms of Hoengseong, Gangwon-do. After isolating 20 strains of T. verrucosum from cattle, they were cultured on SDA, PDA media and the fungal characteristics were concluded through visual observation of the colonies, microscopic findings, hair perforation test and urease test. The size of the colonies cultured on SDA media at 37 C was on an average 5 mm at 1 week, 33 mm at 2 weeks, 42 mm at 3 weeks and 58 mm after 4 weeks.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es, 17 strains of T. album showing central bold radial folds, 2 strains of T. ochraceum having l throughout the colonies and 1 strain of T. discoides with rapid growth rate and gray-white cotton patterns were found. 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cultured colonies on SDA, PDA media, macroconidia and microconidia were not found in T. verrucosum and hyphae and chlamydospore were only seen in T. album types. Out of 20 strains of T. verrucosum, hair perforation test was positive on only 3 strains and urease test was positive on all of the 20 strains.

2010~2016년 동안 동물친화성 피부 사상균 감염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 Study of Zoophilic Dermatophytoses between 2010 and 2016)

  • 김수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39-445
    • /
    • 2017
  • 2010~2016년에 병원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 결과 전체 분리균은 인체 친화성 감염환자는 33,575명으로 37.24%가 분리되었으며 동물친화성 감염환자는 334명으로 0.37%가 분리되었다. 토양친화성 감염환자는 30명으로 0.03%가 분리되었고 그 외에 배양이 되지 않거나 오염균이 56,217명(62.35%)으로 분리되었다.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을 대상으로 남녀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 본 결과 T. mentagrophytes는 남자(51.1%), 여자(48.9%)가 분리되었기에 성별에 연관성이 거의 없었으나 T. verrucosum은 남자(38.9%)에 비해 여자(61.1%)가 다소 높게 분리되었다. M. canis는 남자(23.7%)에 비해 여자(76.3%)가 분리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50대(26.4%), 60대(16.1%)에 높게 분리되었고 T. verrucosum은 50대(27.8%), 60대(16.7%), 그리고 10대 미만(16.7%)의 순서로 분포하였다. M. canis는 10대 미만(19.4%), 10대(22.0%), 그리고 20대(15.0%)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계절에 따른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봄(34.1%), 겨울(29.5%)에 높게 분리되었고 T. verrucosum은 봄(44.4%), 겨울(27.8%)에 높게 분리되었다. M. canis는 봄(18.9%), 여름(27.2%), 가을(25.9%), 그리고 겨울(28.1%)에 비슷하게 분리되었다. 이는 T. mentagrophytes와 T. verrucosum은 계절에 따라 연관성을 보이나 M. canis는 계절에 따른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위에 따른 분석 결과로 T. mentagrophytes는 얼굴(28.4%), 팔(25.0%)에서 높게 분리되었으며 T. verrucosum도 얼굴(38.9%), 팔(27.8%)에서 높게 분리되었다. 그러나 M. canis는 다소 다양하게 머리(24.5%), 팔(21.5%), 얼굴(15.8%), 등(12.7%) 등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임상 질환별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몸백선증(48.9%)이 많이 분리되었고 다음으로 얼굴백선증(28.4%), 수부백선증(11.4%)으로 분리되었다. T. verrucosum는 몸백선증(55.6%)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얼굴백선증(38.9%)이 분리되었다. M. canis는 몸백선증(54.4%)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두부백선증(24.5%), 얼굴백선증(15.8%)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동물친화성 감염의 분포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동물친화성 감염의 분포 추이를 조사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