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ositional environmen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퇴적 환경에 따른 루미네선스 신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uminescence Signals According to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 홍성찬;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9-70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unlight exposure according to deposition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accuracy of optically simulated luminescence (OSL) dating. Sufficient sunlight exposure during transportation of sediment is a basic assumption of the OSL dating, and if the process does not occur enough, the results may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actual depositional ag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rrection method by determining residual or unbleachable dose after sunlight exposure in the actual deposition process, not in the laboratory measurement. Four samples from two sit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from rivers and coasts, and various OSL signals, including the size of residual dose, degree of dispersion between grains, and OSL signal sensitivity, were measu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diments formed under temporarily high energy environments, such as floods and surges, had relatively high residual dose or large dispersion of residual dose between particles. In further studies, the OSL signal characteristics of river sediments by flow velocity will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and OSL signal characteristics will be identified in more detail. Moreover,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paleo-environment at the time of deposition for existing sediments will be devised.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frequency of disaster recurrence and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지우천 유역의 퇴적지형 연구 (Depositional Landforms in Jiwoo Drainage Basin)

  • 오인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2-20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남강 최상류부의 지우천 유역을 대상으로 침식분지 내 퇴적지형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퇴적 지형의 형태적 특성과 퇴적상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형성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평, 응암, 내동뒷들 지점의 고위퇴적지는 최종빙기 동안의 한랭한 주빙하 환경하에서 젤리플럭션 작용으로 퇴적되었으며,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하상비고가 낮아진다. 고위퇴적지의 범위는 지우천과 남강이 합류하는 곳에서 하류방향 약 1km지점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장승불들 지점에 분포하는 완경사면의 퇴적물은 심층풍화된 기반암이 완만한 사면을 형성한 이후 최종 빙기 동안 젤리플럭션 작용으로 운반된 것이다. 셋째, 사평, 용추사, 등방들 지점의 저위퇴적지는 후빙기의 온난습윤한 환경하에서 고위퇴적지가 개석되는 동안 퇴적물의 일부가 하상에 남겨지고, 이후 고위퇴적지의 개석이 완료됨에 따라 하천의 저항(퇴적물양)보다 하천의 운반력이 초과함으로써 하상이 다시 침식되어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Heavy Metal off the Shihwa Dam

  • Oh,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2권3호
    • /
    • pp.120-127
    • /
    • 1997
  • Depositional environment off the Shihwa Dam has been stud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edimentation process and the pollutio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ediments are distributed, polluted and modified, depositional factor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Study area, located off the Shihwa Dam, was surveyed to collect 25 bottom samples and 2 cores in 1996 and echo-sounding in 1997. These sedimen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of the glob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uch as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Among these samples, the selected twenty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for the comparison with their contents of metallic elements (Al, Mn, Fe, V, Cr, Co, Ni, Cu, Zn, Cd, Pb, As). According to field and lab analysis of sediments, three sedimentological zones have been generally identified around study area; near the dam (sandy Silt), near the dike (Sand) and offshore (silty Sand) zones. Textural parameters show that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is dominant near the dam excepting the dike zone of LNG Storage Base and offshore (Palmido). The total concentration of Mn, Ni, Fe, Zn and Cd in bulk sediments was in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while the content of Mn and Cr were higher near tidal channel than in the offshore area. Meanwhile, the annual increasing pattern of some heavy metal has appeared in this area. Based on this primary study, modification of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may b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dam and LNG Storage Base. Additionally, environmental evaluation on organic/inorganic factors has been suggested for interpreting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coastal development in the nearshore such as the Shihwa coastal area.

  • PDF

일산충적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변화와 해면변동 (The Holocene Depositonal Environment and Sea-Level Change at Ilsan Area)

  • 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3-163
    • /
    • 1998
  • In order to clarify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ea-level change at Ilsan area including Gawaji and Saemal valley plains, which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in downstream of the Han River, boring data, radiocabon dating and diatom analysi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palaeogeographies fo this area altered by the transgressions and regressions after 7,000 y. BP could be restored. The high tide sea-level(mean high water level of spring tide) was arrived ca. 7,000y. BP at the valley plain and risen to ca. 5.5m at ca. 5000y. BP. Since then, the sea-level was kept up the same level to ca. 3,200 BP. The descended sea-level to ca. 2,300 BP was risen up to ca. 5.8m in ca. 1,800 y. BP. It is presumed that such a sea-level change as well as the different sediments in quantity supplied from the river basin of the valley plain could be effected to change diversely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and eventually to the prehistoric human life.

  • PDF

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 (Sedimentologic Linkage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Han River and Kyunggi Bay, Korea)

  • 오재경;방기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25-236
    • /
    • 2003
  • 한강 유역에서 하천과 하구-만의 퇴적환경의 연계성과 한강본류의 퇴적환경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230여 점의 표층퇴적물과 70여 점의 부유퇴적물과 수리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신곡수중보를 기준으로 두 가지 환경(하천, 하구-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남한강과 북한강에는 역질 퇴적상이, 한강 본류는 사질과 실트질 퇴적상이 우세하게 븐포하였다. 한강 본류 지역은 신곡수중보에 의한 제한적인 퇴적물 이동과 에너지 환경에 의해 퇴적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하구-만 환경에 있어서, 수로와 외해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조립한 퇴적물이 우세한 반면에, 연안지역은 세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한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성은 인공 구조물에 의한 흐름의 제한에 의해서 영향받기 때문에, 평수기에 각 하천은 개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과 하구-만의 연계적인 퇴적환경은 조석에 영향을 받고, 하구-만의 전이적인 지역은 하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풍수기에 각 하천은 하천 유량의 증가에 의해, 연계적인 퇴적환경을 나타내며, 하천-하구-만의 각각의 전이지역은 외해방향으로 이동함을 시사한다. 보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곡수중보 하류의 하구지역에 대하여 남북한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몽골 돈디고비지역에서 산출되는 오일셰일의 광물조성, 퇴적환경 및 분광학적 특성 (Mineral Composition,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Oil Shale Occurring in Dundgobi, Mongolia)

  • 문크수렌;유재형;정용식;이길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3
    • /
    • 2015
  • 본 연구는 몽골 돈디고비(Dundgobi)지역에서 채취한 오일셰일과 석탄 시료들의 유기물 기원, 광물조성 및 분광학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다. 채취한 오일셰일 및 석탄시료들은 Rock/Eval과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분석을 통해 케로젠(Kerogen) 종류, 수소 함량, 열적 성숙도, 퇴적 환경을 확인하였으며, X-선회절 분석과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정의하였다. Rock/Eval과 TOC 분석결과, 에뎀트(Eedemt) 광상에서 채취한 샘플들은 미성숙-성숙 단계의 근원암에 해당하며, 풍부한 수소함량을 보이고, I-형, II-형 and III-형의 케로젠 종류를 가진다. 반면 샤인 어스 쿠닥(Shine Us Khudag) 광상에서 채취한 샘플들의 경우 성숙단계의 근원암으로써, I-형, II/III-형 또는 III-형의 케로젠을 함유하는 잠재성을 가진다. 또한 탄소와 황의 함량에 따르면 두 지점의 퇴적환경은 담수성의 퇴적환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X-선회절 분석으로부터 확인한 오일셰일과 석탄시료들의 광물조성은 석영, 방해석, 고회석, 일라이트, 고령토, 몬모릴로나이트, 아놀소클레이스, 조장석, 미사장석, 정장석, 방비석으로 확인되었다.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 분광분석을 통해 오일셰일 시료로부터 1412 nm, 1907 nm의 점토광물 및 수산화성분에 의한 흡광특성, 2206 nm에서 고령토와 몬모릴로나이트에 의한 흡광특성, 탄산염광물인 고회석에 의한 흡광특성이 2306 nm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오일셰일의 원격탐사적 탐사를 위해서는 유기물 함량에 따른 분광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부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Taean Formation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 최태진;박승익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347-356
    • /
    • 2019
  • 경기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독특한 쇄설성 저어콘 연대 분포가 알려진 이후 퇴적환경, 퇴적시기, 기원지, 변성사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논평에서는 그 동안 태안층에 대하여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고 퇴적시기 및 기원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태안층은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시대의 지층으로 알려졌으나, 근래 다수의 전기-중기 고생대 저어콘들이 발견된 이후 중부 혹은 상부 고생대 퇴적층으로 해석되고 있다. 태안층은 주로 석영과 운모로 구성된 변성사암, 이질편암, 천매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원암은 심해선상지의 로브 환경에서 쌓인 저탁암으로 해석되었다. 태안층이 퇴적된 시기는 쇄설성 저어콘 연령과 관입암의 연령 차이를 통해 데본기-트라이아스기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 퇴적시기가 데본기에 가깝다는 견해와 페름기에 가깝다는 견해로 나뉜다. 태안층의 기원지는 남중국지괴나 중국의 충돌대, 또는 경기육괴로 추정되고 있다. 태안층과 기타 한반도 (변성)퇴적층의 쇄설성 저어콘 연대를 다룬 기존 연구들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태안층은 연천층군이나 옥천누층군의 피반령 단위와 주요 기원암을 공유하되 기원지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기존 가설들을 고려하면, 태안층을 페름기-전기 트라이아스기 사이에 퇴적된 것으로 해석한 모델이 비교적 합리적으로 보인다. 향후 태안층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원지 규명을 위한 층서학 및 퇴적암석학적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시화지역 퇴적층의 퇴적환경과 압밀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of Shihwa deposits)

  • 원정윤;장병욱;김동범;손영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03-210
    • /
    • 2004
  • Consolidation properties were analysed by mean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Deposi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geochemical properties, porewater chemistry, sediment structures, particle size distributions and carbon age dating were analysed using undisturbed samples retrieved successively from a boring hole in the study area. Laboratory oedometer tests and anisotropic consolidated triaxial tests(CKoUC)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overconsolidation phenomenons. Based on the carbon age dating results and profiles of geochemical properties, porewater chemistry, salinity and pH, it was founded that the upper silt/clay complex layer was deposited under marine condition while sand and clay layers were deposited under fluvial condition. Planar laminated structures of silts and clays were dominant in marine deposits. Although there was no clear evidences that geological erosion had been occurred in marine deposits, overconsolidation ratio obtained from oedometer tests were greater than unity. Stress paths of samples behaved similar to those of normally consolidated clays. Data plotted in stress state charts proposed by Burland(1990) and Chandler(2000) showed that the marine deposits were geologically normally consolidated. These apparent overconsolid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fabric and chemical bond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rate of deposition.

  • PDF

의성소익지(義城小益地) 신동층군(新洞層群)의 퇴적암석학(堆積岩石學) 및 퇴적환경(堆積環境) (Sedimentary Petrolog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Sindong Group in the Euiseong Subbasin)

  • 이광춘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3호
    • /
    • pp.289-299
    • /
    • 1985
  • Sedimentary petrolog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Sindong Group, consisting of in ascending order the Nagdong, Hasandong and Jinju Formations, in the Euiseong Subbasin are studied. For these, the Sindong sequence over 1,000m thick is measured at the scale of 1:200 and 36 thin sections of sandstones of the Hasandong Formation are studied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In addition, published paleontologic data are incorporated in the sedimentologic interpretation. Most of the sandstones are classified as arkose. They are moderately sorted, near symmetrical to fine skewed and mesokur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ural parameters suggests a fluviatile environment of the Hasandong Formation. The Sindong fauna and flora also indicate non-marine depositional environments. Sedimentologic data of the measured sections show that the Sindong Group is made up of from the bottom an alluvial fan (lower part of the Nagdong Formation), a fluvial plain (upper part of the Nagdong Formation and the Hasandong Formation) and a fluvial/lacustrine (the Jinju Formation) depos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