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odorization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1초

Performance of Air Fresher System for the Removal of Various Odorants Released from Foodstuffs

  • Kim, Ki-Hyun;Adelodun, Adedeji A.;Deep, Akash;Kwon, Eilhann E.;Jeon, Eui-Chan;Kim, Yong-Hyun;Jo, Sang-Hee;Lee, Min-Hee;Cho, Sung-Back;Hwang, Ok-Hwa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1호
    • /
    • pp.37-53
    • /
    • 2017
  • The effectiveness of four air fresher (AF) systems was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ir removal efficiencies against offensive odorants. For this purpose, malodorous species were generated by exposing freshly cooked foods emitting odorants with levels moderately above their respective threshold values in a confined room. The deodorization efficiency of the four AF systems was then tested for a period of 30 min by estimating the extent of reduction in odorant levels after the operation of each AF.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ur AF units against each odorant was evaluated as follows: (1) between AF produc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2) between odorants and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PM_{2.5}$), and (3) between operation and natural degassing. The average sorptive removal of odorants was generally <80% and considered less effective or non-effective relative to $PM_{2.5}$. Further examination of odor reduction, if evaluated in terms of odor indices like odor intensity (OI) and odor activity value (OAV), recorded a mean of 33% and 87%,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all tested AF units were not effective to resolve odor problems created under our testing conditions.

슬라이딩아크 방전과 코로나 방전의 복합공정을 통한 유해물질 처리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ined Processes of Sliding Arc Plasma and Coron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Improve the Efficiency Treatment of Harmful Substance)

  • 권우택;이우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08-113
    • /
    • 2014
  • 유해물질처리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슬라이딩아크방전(sliding arc plasma)과 coron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CDBD공정)의 복합공정을 이용하였다. 이장치는 OH 라디칼과 음이온을 생성하여 강력한 산화력으로 탈취 및 살균 효과를 가진다. 실험결과 SAP 반응기의 크기를 80 A를 50 A로 축소하여도 유해물질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반응기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CDBD 반응기에서 생성된 음이온과 오존은 유해물질과 반응한 후 음이온은 510,000 ppb에서 470 ppb, 오존은 98 ppb에서 22 ppb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플라즈마복합공정을 이용하여 실내공기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tudy on the Systematic Technology of Promoting Purification for the Livestock Wastewater and Reuse

  • Okada, Yoshiichi;Shim, Jae-Do;Mitarai, Masahumi;Kojima, Takayuki;Gejima, Yoshinori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692-700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purification plant using the metabolism of aerobic microorganisms. This system is subsequently aerated and continuously removes suspended solids and settling sludges caused by aerating pressure at the bottom of a lower pipe (i.e., Continuous Removal of Suspended solids and Settling sludges, CRSS). The CRSS plants are brought out by introducing fine air bubbles into the liquid phase of a lower pipe in the bio-reactor. These plant uses aeration pipe, with multiple inlets to sweep the floor of bio-reactor tank, instead of the conventional scraper mechanisms. The principal advantage of this system is that it can continuously remove very small or light particles that settles completely within a short time. Once the particles have been floated to the surface, they can be moved into the pipe and collected in the settling tank by sequently aerated pressu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about 99.0% of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99.3% of the suspended solid(SS), 92.3% of the total nitrogen(T-N), 99.0% of the turbidity(TU), 100% of the total coliform(TC)and ammonia was respectively removed during aerobic digestion for 9 days.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CRS S plants are very effective for reduction and deodorization of swine wastewater contaminants, and the efflux from CRS S can either be discharged in the river or used as nutrient solution of formulation for plant growth factories. The developed CRSS plant proved to be flexible and it can simply be adapted to any type of biological waste treatment problem.roblem.

  • PDF

고구마 줄기·잎 추출액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성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ith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 홍보근;이정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9-22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ith sweet potato stem leaf extract. To obtain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it was examined at various dyeing conditions(temperature, pH, time and bath ratio). The dyeability and the depths of shade which were evaluated in terms of K/S and CIE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the dyed and mordanted fabrics were also investigated. After dyeing, various color fastness(wash fastness, dry cleaning fastness, light fastness, rub fastness, and perspiration fastness) was measured and reviewed for UV protective, deodorant and antimicrobial functionality. The optimun output, as a result, was shown at 100% of dye concentration, $90^{\circ}C$ of dyeing temperature and 80 minutes of dyeing time while in terms of dye uptake depending on the kind of mordants and mordanting, it was found that among four mordants of $Alk(SO_4)_2$, $CuSO_4$, $SnCl_2$, and $FeSO_4$, post-mordanting with $SnCl_2$ showed the best results. Color fastness to dry cleaning, washing and rubbing was found strong at grade 4-5 and the grade to perspiration was as good as 3 while to light fastness was good at 4 as well. In aspects of functional properties, it showed excellent results of 98.3% UV protection rate and 88% deodorization rate. Antibacterial activity was 99.9%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73.3% against klebisella pneumoniae. In conclusion, we validated that the dyestuffs from the disused sweet potato stem leaf extract would be useful as a natural dye material using the optimized conditions and dyeability for silk dyeing.

가축분뇨 발효제의 개발을 위한 미생물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ation Accelerator of Animal Manure)

  • 김소영;김홍;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66-4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의 비료화를 위한 분뇨의 악취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시킬 수 있는 기능성 발효촉진 미생물의 선별을 목표로 쌀겨 자연발효 추출물로부터 총 61개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고, 순수 분리된 균주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유기물 분해 효소활성 (amylase, protease, cellulase 및 lipase),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성능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NA 2, 12, 15의 3종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에 대해서 동정실험을 수행한 결과, NA 2는 Bacillus acidocaldarius로 동정되었고, NA 15는 Planoroccus sp.로 부분동정되었다. 이들 분리된 미생물을 가축분뇨처리제로 개발하기 위한 최적의 혼합 배양 조건을 구하기 위해 반응표면계획법으로 배지 조성과 pH와 같은 조작 변수들의 영향과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적 배양 조건은 beef extract 4.59g/L, Peptone 8.73g/L, PH 6.3으로 결정되었다. 분리된 미생물들은 발효촉진 및 암모니아 탈취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중$.$고온성 미생물들로서 가축분뇨처리에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골목구조 벽체의 내화성능확보를 위한 질석보드 개발 (Development of Vermiculite Board to Secu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Light-Frame Wood Structural Wall)

  • 유석형;정창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40-45
    • /
    • 2018
  • 무기재로서 질석은 친환경적인 특성과 내화, 단열, 흡음 뿐 만 아니라 결로방지, 탈취 및 미관 등이 우수하므로 건축마감재로서 활용될 경우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석을 주원료로 하여 미네랄 루즈울(Mineral Loose Wool) 또는 미네랄 파우더(Mineral Powder)를 혼입한 건축용 마감보드를 개발하고 불연시험과 단열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두 개의 질석보드 모두 불연재로서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열전도율 0.086 및 $0.092W/m{\cdot}K$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두 개의 질석보드를 경골목구조 내화벽체 표준상세(KS F 1611-1)의 마감재로 적용하여 내화시험을 수행하였다. 내화시험결과 VB-L 시험체가 VB-P시험체 보다 내화성능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두 개의 질석보드 모두 두께 30 mm로도 내화성능 2시간 확보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미생물 유래 해조 다당류 분해 효소의 특성 및 산업적 응용 (Propert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Seaweed Polysaccharides-degrading Enzymes from the Marine Microorganisms)

  • 김정환;김연희;김성구;김병우;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9-199
    • /
    • 2011
  • 최근에 해조류 유래 기능성소재는 항종양성, 항바이러스성, 항혈액응고 및 면역력 증강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해조다당류를 저분자화하면 다양한 생체조절기능성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해조다당류를 해조류로부터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추출방법의 최적화 및 해조다당류의 저분자화를 통하여 해조다당류 기능성 증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해양 미생물 유래 해조다당류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 개발 및 산업적 응용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아세트산이 탑재된 고분자 수화젤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기체의 발생 제어 (Control of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Gas Using Polymer Hydrogels Containing Acetic Acid)

  • 이동한;이욱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553-5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수화젤 비드 내부에 아세트산을 탑재시킨 후, 분무와 함께 수화젤로부터 방출된 아세트산이 아염소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기체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폴리아크릴아미드 수화젤 비드에 탑재시킨 아세트산의 함량과 부직포에 코팅한 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기체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수화젤로부터 아세트산이 방출된 후 반응을 하기 때문에 직접반응에 의한 것보다 반응시간이 지연되어 저농도의 이산화염소 기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가 목적으로 하는 저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고분자 수화젤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맥반석 골재의 영향 (The Effects of Elvan on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 추용식;김인섭;이종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86-391
    • /
    • 2003
  • Ready mixed mortar는 독일의 석회산업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기능 을 갖는 ready mixed mortar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기 위해서 모래 대신 맥반석을 골재로 사용하였으며, 이때 맥반석 자체 특성분석과 더불어 맥반석 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맥반석의 주요성분은 $SiO_2$$A1_2O_3$이었으며, 결정상은 quartz와 sillimanite로 구성되어 있었다. 맥반석은 다량의 기공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흡수율은 2.09% 이었다. 맥반석을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시멘트와 맥반석의 혼합비가 1:3 이하인 경우 KS 규격을 만족시키는 값을 나타내었고, 맥반석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맥반석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율과 탈취율은 증가하였고 열전도도는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1. The Refining of Filefish Viscera Oil -)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5-180
    • /
    • 1992
  • 말쥐치 가공 중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중의 지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탈검, 탈산, 탈색 및 탈취 등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쥐치 내장유 100$m\ell$에 대하여 4% 옥살산을 20$m\ell$ 첨가하고 이어서 6$0^{\circ}C$에서 15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4M의 알칼리 용액을 계산량 보다 0.5% 과잉으로 첨가한 후 6$0^{\circ}C$에서 30분간 탈산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처리한 말쥐치 내장유의 10%에 해당하는 산성 백토를 첨가하고 감압하에 6$0^{\circ}C$에서 20분간 탈색 처리한 후 압력을 4 torr 이하로 유지하면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18$0^{\circ}C$ 에서 60분간 처리한 말쥐치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