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pression taking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알지네이트 인상체에서 제작된 치과용 석고 모형의 정확도에 대한 삼차원 디지털 분석 (Three dimensional accuracy analysis of dental stone casts fabricated using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s)

  • 주용훈;이진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316-328
    • /
    • 2015
  • 목적: 보관 조건과 석고 주입 시간에 따라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채득된 알지네이트 인상체는 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에 보관하는 것과 진료실 내의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태로 보관 조건을 달리하였다. 보관 조건에 따라 각각 즉시, 채득된 후 10분, 30분, 180분, 360분으로 나누어 보관한 후에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석고 모형을 3D 레이저 스캐너로 삼차원 디지털 모형을 구성하였고 구성된 디지털 모형의 참고점에서 거리를 측정하여 변형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삼차원 디지털 평균 모형을 제작한 후 중첩을 시행함으로써 표면 변위가 발생한 부위와 크기를 확인하였다. 결과: 인상 채득 즉시 제작한 모형의 변형률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공기 중에 보관한 인상체보다 항습조에 보관한 인상체의 변형률이 작게 나타났다. 석고 주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형률도 증가하였으며, 석고 주입 시간이 180분을 지나면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대구치 부위에서 변형률과 표면 변위가 증가한다. 결론: 알지네이트 인상체로부터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인상 채득 후, 즉시 모형을 제작해야 한다.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100%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항습조를 이용하고, 보관 시간은 180분을 넘지 않도록 해야 정확한 모형을 얻을 수 있다.

수종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Rheologic Properties of Elastic Impression Materials)

  • 홍준원;안승근;박주미;송광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31-40
    • /
    • 2009
  •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은 높은 정확성을 가진 인상체의 채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산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산 및 수입 고무 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 연구함으로써 임상적 과정에서 정확성 높은 인상채득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시판중인 Type 3 점성을 가진 6종의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징을 측정하였다. 2종의 국산 폴리비닐실록산, 3종의 수입 폴리비닐실록산, 1종의 폴리이써, 1종의 폴리썰파이드에 대하여 plate 대 plate 형의 rotational rheometer인 HAAKE RHEOSTRESS $1^{(R)}$ 이용하여 Mixing 후 900초간 G′, Loss tangent 값을 측정하였다. 각 제품 당 3회씩 측정 후 통계분석하였다. 국산 PVS, 수입 PVS, Polyether, Polysulfide 모두 G′의 S자형 증가와, Loss tangent 값의 S자형 감소를 보였다. 경화 후 G′ 값의 최대치는 Polyether였으며, 최소치는 Polysulfide였다. Loss tangent의 초기값은 폴리이써 인상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국산 폴리비닐실록산 인상재에서 가장 낮았다. 같은 점조도를 가진 국산 PVS 와 수입 PVS의 G′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기 Loss tangent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 (Impression procedure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 허유리;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52-158
    • /
    • 2014
  • 저작기능의 회복과 더불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잔존치아와 치조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구강내의 형태적, 기능적 상태를 재현하는 모형제작이 필수적이다.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진단모형과 주모형의 제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예비인상과 최종인상 채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국소의치의 인상채득은 고정성이나 총의치 인상과 다르게 치아부위와 조직부위 모두가 잘 인기되어야 하고 치아 결손 부위에 따라 교합을 지지하는 부위가 달라지므로 증례에 따른 적절한 인상재와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임상적 적용이 요구된다.

디지털 인상채득을 이용한 소구증을 가진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수복 (Digital impression taking for full-arch implant restoration to a patient with microstomia)

  • 심지석;류재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11호
    • /
    • pp.616-621
    • /
    • 2018
  • This clinical case highlights the failure of long length implants, and the prosthodontic procedures necessary to rehabilitate the maxillary dentition of a patient with microstomia. The integrated digital technology of intra-oral scanning, computer-aided design,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can provide an alternative method to make conventional impressions for patients with microstomia who cannot insert the appropriate tray in their mouths.

  • PDF

Clinical comparison of marginal fit of ceramic inlays between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s

  • Franklin Guillermo Vargas-Corral;Americo Ernesto Vargas-Corral;Miguel Angel Rodríguez Valverde;Manuel Bravo;Juan Ignacio Rosales Lea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57-65
    • /
    • 202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l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marginal fit of CAD-CAM inlays obtained from intraoral digital impression or addition silicone im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31 inlays for prosthodontics purposes of 31 patients: 15 based on intraoral digital impressions (DI group); and 16 based on a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 (CI group). Inlays included occlusal and a non-occlusal surface. Inlays were milled in ceramic. The inlay-teeth interface was replicated by placing each inlay in its corresponding uncemented clinical preparation and taking interface impressions with silicone material from occlusal and free surfaces. Interface analysis was made using white light confocal microscopy (WLCM) (scanning area: 694 × 510 ㎛2) from the impression samples. The gap size and the inlay overextension were measured from the microscopy topographies. For analytical purposes (i.e., 95-%-confidence intervals calculations and P-value calculations), the procedure REGRESS in SUDAAN was used to account for clustering (i.e., multiple measurements). For p-value calculation, the log transform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s was used to normalize the distributions. RESULTS. Marginal fit values for occlusal and free surfaces were affected by the type of impres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surfaces (occlusal vs. free). Gap obtained for DI group was 164 ± 84 ㎛ and that for CI group was 209 ± 104 ㎛, a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p = .041). Mean overextension values were 60 ± 59 ㎛ for DI group and 67 ± 73 ㎛ for CI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n (p = .553). CONCLUSION. Digital impression achieved inlays with higher clinical marginal fit and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ilicone materials.

백인과 흑인에 대한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on the Caucasian and African American)

  • 박용석;김유리;오상천;이인섭;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5-192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변형 트레이 개발의 일환으로 그 시제품을 제작하고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를 사용하여 백인과 흑인에 서 인상채득시 트레이의 구강내 적합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가변형 트레이는 한국 성인 악궁의 크기 분석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설계하였으며, CAD-CAM 작업을 통하여 견본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리콘 간이 금형을 만든후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을 이용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백인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과 흑인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의 인상을 채득한 후 측정부위별로 인상체의 두께와 길이를 측정하여 그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1. 스탑과 경사면에 의해 트레이의 폭이 적절히 조절되어 균일한 인상체의 두께를 얻을 수 있었다. 2. 백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구개부 중앙이 13.0mm, 구개부 후방이 7.4mm로 비교적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3. 백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설측 기저부에서 인상체의 길이가 6.7mm로 길게 나타났으며 협측 제1,2 소구치 접촉점에서 폭이 6.7mm로 측정되었다. 설측 후방에서 폭이 2.9mm, 길이는 2.8mm로 조금 작게 측정되었다. 4. 흑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기저부에서 폭이 11.0mm, 구개부 중앙은 12.0mm, 구개부 후방은 11.0mm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최후방 변연에서는 제2 대구치에서 후방 변연까지의 거리가 0.8mm로 작게 측정되었다. 5. 흑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기저부에서 폭이 9.2mm, 견치 순면에서 폭이 8.2mm로 비교적 크게 측정되었으며 최후방 변연에서는 제2 대구치에서 후방 변연까지의 거리가 0.3mm로 작게 측정되었다. 결 론: 이상과 같은 연구에 의해 측정된 값을 참고로 트레이의 변연 길이나 폭을 수정하고, 악궁의 해부학적 형태를 반영한다면, 이 가변형 트레이를 사용하여 백인과 흑인에서도 임상에서 보다 쉽고 정확한 인상채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과 일본인에 대한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on the Chinese and Japanese)

  • 강한중;이진한;최종인;이인섭;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변형 트레이 개발의 일환으로 그 시제품을 제작하고 비가역성 수성 콜로이드 인상재를 사용하여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인상채득 시 트레이의 구강 내 적합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가변형 트레이는 한국 성인 악궁의 크기 분석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설계하였으며, 먼저 CAD-CAM 작업을 통하여 견본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똑같이 복제한 실리콘 간이금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금형에 polyurethane을 주입하여 다수의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시제품을 이용하여 중국인으로는 상해 제2의과대학교 구강의학원 학생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일본인으로는 일본 구마모토 고등학교 졸업생 60명 (남자 30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인상채득을 실시하고, 측정부위별로 인상체의 두께와 길이를 측정한 후 통계처리를 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1. 중국인과 일본인 모두 스탑과 경사면에 의해 트레이의 폭이 적절히 조절되어 대체적으로 3-6mm의 균일한 인상체의 두께를 얻을 수 있었다. 2. 중국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6.2mm, 견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5.9mm, 구개부 중앙은 10.5 mm, 구개부 후방은 9.7mm 높이로 비교적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3. 중국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제1, 2소구치 접촉점 설측 변연부에서 인상체의 길이가 8.9mm, 전치 설측 변연부에서 7.2mm로 길게 나타났으며, 견치 순측 6.8mm, 소구치 순측 7.0mm로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4. 일본인의 상악 트레이에서는 전치 순측 변연부에서 두께가 7.4mm, 견치 순측 변연부에서 7.7mm, 구개부 중앙은 9.1mm 높이로 인상체의 두께가 비교적 크게 측정되었다. 5. 일본인의 하악 트레이에서는 견치 순측 7.4mm, 제1, 2소구치 접촉점 순측 변연부 8.4mm로 인상체의 두께가 크게 측정되었다. 결론: 본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한국인 모형 계측치를 바탕으로 설계되어 한국인에서 적합성이 우수하며, 본 실험의 결과 중국인과 일본인에서도 적합성이 좋아 본 트레이를 범용하여 쉽고 정확한 인상채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마우스가드 (3D Printed customized sports mouthguard)

  • 류재준;이수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11호
    • /
    • pp.700-712
    • /
    • 2020
  • The conventional mouthguard fabrication process consists of elastomeric impression taking and followed gypsum model making is now into intraoral scanning and direct mouthguard 3D printing with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Also, dental professionals can get various diagnostic data collection such as facial scans, cone-beam CT, jaw motion tracking, and intraoral scan data to superimpose them for making virtual patient datasets. To print mouthguards, dental CAD software allows dental professionals to design mouthguards with ease. This article shows how to make 3D printed mouthguard step by step.

  • PDF

치과기공사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능력 (Scientific-mind and Logical Thought Ability as an Dental Technician)

  • 이상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4-89
    • /
    • 1999
  • These days, Dental Technic has been contributed to make more delicating Dental Prosthesis Restoration for patient and dentist. Diagnostic wax-up and making Temporary Crown are emphasized as an important part of Dental Technic. Choosing suitable Material and working with various new Equipments like Microscope improve accuracy. Repeated practice by setting up an organized system gives better result. Also, Esthetic Prosthesis requires patient's appearance and personality as well as patient' age, sex, and shade so on. Moreover, the problem which occurs by the patient's oral condition ha to be discussed before taking final impression. At a time like this, Scientific-mind and Logical thought Ability should be considered the important issue for more progressive Dental Technic.

  • PDF

마우스가드와 스포츠치의학의 발전과 미래 (Mouthguard and Sports Dentistry: a perspective for the future)

  • 류재준;이수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6호
    • /
    • pp.339-347
    • /
    • 2018
  • Conventional mouthguard fabric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elastomeric impression taking and followed gypsum model making is changing into intraoral scanning and dental model printing with 3D printer. In addition, new 3D printing materials for mouthgurad, 3D Computer-Aided Design(CAD) software for dental appliance, evaluation of a virtual dentoalveolar model for testing virtually 3D designed mouthguard, and lightweight sensor technology will lead dental professionals to the new era of Sports Dentistry,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integrated custom mouthguard fabrication and creating value with analytic data acquired from sensors in mouthgu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