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plant prostheses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4초

보철물 수명 연구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 표준 방안: KAP Criteria (Korea Academy of Prosthodontics criteria for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 윤준호;박영범;윤승환;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41-353
    • /
    • 2016
  • 목적: 보철물 수명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철물을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게 평가하는 것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에서는 이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보철물 수명연구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의 표준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수명 연구의 통일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보철물 평가 흐름도와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제작하는 데 있다. 재료 및 방법: 기존에 사용되었던 보철물 평가 방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알아본 후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쉽고, 보철물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개발한다. 또한 이 기준을 시범 사용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한다. 결과: 고정성 보철물 30 증례, 가철성 보철물 25증례,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 13 증례로 시범 사용하여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고정성 보철물의 평균수명 추정치는 12.82년, 가철성 보철물은 5.96년, 임플란트 보철물은 4.82년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조사자들에게 시범 사용 후의 문제점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한 후 보철물 평가흐름도 및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완성하였다. 결론: 보철물 수명 평가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 표준 방안 마련을 위해 개발된 보철물 평가 흐름도와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통일된 자료 수집이 가능하였다. 향후 본 표준 방안을 이용한 보철물 수명연구가 시행될 것이다.

치관 내 캔틸레버 양에 따른 내측 연결 형태 임플란트의 기계적 강도에 대한 연구 (Effect of intra-crown cantilever on mechanical strength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 윤미정;허중보;정창모;전영찬;강은숙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5호
    • /
    • pp.360-367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mount of cantilever in intra-crown according to implant fixture position on mechanical strength of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fixture, abutment screw, abutment was connected and gold alloy prostheses were fabricated and cemented on abutment. For fatigue fracture test, the specimens were loaded to the 350 N, 2,000,000 cycle on 3, 4, 5, and 6 mm off-center of gold alloy prostheses. The fracture pattern of implant component was observed. Results : No fatigue fracture found on 3 and 4 mm group. But initial crack pattern found on 3 specimens of 4 mm group. Fatigue fracture found on all specimens of 5 mm group. But complete fracture was not observed. One specimen of 6 mm group fracture completely. Implant fixture fracture wax not observed. Conclusion : The mechanical failure of implant prostheses increased with the loading area farther from center of implant fixture. To reduce mechanical problem of internal joint type implant, surgical and prosthetic consideration is needed.

A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detachable ball- and spring-retained implant prosthesis

  • Min-Jung Kim;Won-Tak Cho;Su-Hyun Hwang;Ji-Hyeon Bae;Eun-Bin Bae;June-Sung Shim;Jong-Eun Kim;Chang-Mo Jeong;Jung-Bo Huh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4호
    • /
    • pp.202-213
    • /
    • 2023
  • PURPOSE. This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freely detachable zirconia ball- and spring-retained implant prosthesis (BSRP)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SCRP). MATERIALS AND METHODS. A multi-center, randomized, prospective clinical study evaluat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detachable zirconia ball- and spring-retained implant prostheses was conducted. Sixty-four implant prostheses in 64 patients were examined. Periodic observ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at 0, 3, 6, and 12 months after delivery of the implant prosthesis. Factors such as implant success rate, marginal bone resorption, periodontal pocket depth, plaque and bleeding index, and prosthetic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RESULTS. During the 1-year observation period, all implants survived without functional problems and clinical mobility, showing a 100% implant success rate. Marginal bone resor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RP group than in the BSRP group only at the time of implant prosthesis delivery (P = .043). In all observation periods, periodontal pocket depth was slightly higher in the BSRP group than in the SCRP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The modified plaque index (mPI) scores of both groups were moderate. Higher ratio of a score 2 in modified sulcus bleeding index (mBI) was observed in the BSRP group in the 6- and 12-months observation.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newly developed zirconia ball- and spring-retained implant prosthesis could be considered as an applicable and predictable treatment method along with the existing screw- and cement-retained prosthesis.

하악골 절제술 및 비골유리피판을 시행한 성장기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Oral rehabilitation using implant 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in a growing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ectomy and fibular free flap)

  • 이학영;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68-274
    • /
    • 2020
  • 구강암 등의 병소로 인해 하악골의 절제를 시행한 환자는 구강악안면계의 재건을 통한 기능적, 심미적 회복이 중요하다. 하악골의 재건에 많이 사용되는 비골유리피판은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보철적 수복에 있어 용이하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는 비골의 크기가 작고 잔여 성장이 남아있을 수 있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 시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증례는 골육종으로 하악골 절제술 및 비골유리피판을 이용해 하악골의 재건을 시행한 11세 여성 환자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보철적 수복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도모하였다. 임플란트의 식립 부위 및 개수, 보철물의 형태적 고려를 하였으며, 성장기인 13세에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고, 추가로 1년간의 경과 관찰을 시행한 바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후의 추가적인 검진을 통해 악안면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Does the prosthesis weight matter?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t different weights and implant numbers

  • Tribst, Joao Paulo Mendes;Dal Piva, Amanda Maria de Oliveira;Borges, Alexandre Luiz Souto;Rodrigues, Vinicius Aneas;Bottino, Marco Antonio;Kleverlaan, Cornelis Johanne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prosthesis weight and number of implants on the bone tissue microstrain.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15) fixed full-arch implant-supported prosthesis designs were created using a modeling software with different numbers of implants (4, 6, or 8) and prosthesis weights (10, 15, 20, 40, or 60 g). Each solid was imported to the computer aided engineering software and tetrahedral elements formed the mesh. The material properties were assigned to each solid with isotropic and homogeneous behavior.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set as 0.3 between all the metallic interfaces, 0.65 for the cortical bone-implant interface, and 0.77 for the cancellous bone-implant interface. The standard earth gravity was defined along the Z-axis and the bone was fixed. The resulting equivalent strain was assumed as failure criteria. RESULTS. The prosthesis weight was related to the bone strain. The more implants installed, the less the amount of strain generated in the bone. The most critical situation was the use of a 60 g prosthesis supported by 4 implants with the largest calculated magnitude of 39.9 mm/mm, thereby suggesting that there was no group able to induce bone remodeling simply due to the prosthesis weight. CONCLUSION. Heavier prostheses under the effect of gravity force are related to more strain being generated around the implants. Installing more implants to support the prosthesis enables attenuating the effects observed in the bone. The simulated prostheses were not able to generate harmful values of peri-implant bone strain.

국내에서 치료된 고정성, 가철성,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명 및 성공률 분석 (Analysis of longevity and success rate of fixed, removable, and implant prostheses treated in Korea)

  • 윤준호;박영범;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95-104
    • /
    • 201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대한치과보철학회의 보철물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고정성, 가철성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함으로써 보철물의 수명과 이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전국 13개 대학/종합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내 사용중인 보철물을 평가하였다. 대한치과보철학회의 기준에 따라, 수는 성공, 우, 양, 가는 실패로 규정하고, 실패한 보철물의 평균 사용기간과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Kaplan-Meier 분석에 의한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정성 보철 810 증례, 가철성 보철 519 증례,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 475 증례, 총 1,804 증례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검사 시점에 실패로 판정된 보철물의 평균 사용기간은 고정성 보철물은 $11.41{\pm}0.30$년, 중간값은 10년이었고, 가철성 보철물은 $8.18{\pm}0.29$년, 중간값 7년이었으며, 임플란트 보철물은 $7.99{\pm}0.30$년, 중간값은 7년이었다. 실패와 관련있는 요인 중 고정성보철물은 유닛 수, 지대치 수, 근관치료된 지대치 수, 치태지수였고, 가철성 보철물의 경우 대합치였으며 임플란트 보철의 경우 임플란트 개수, 사용기간, 치태지수였다. 결론: 대한치과보철학회의 기준으로 보철물을 평가한 결과, 실패한 보철물의 평균수명은 고정성 11.41년, 가철성 8.18년,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은 7.99년이었다.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의 9년 경과 관찰 증례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prostheses: A 9-year follow-up)

  • 이재림;윤형인;김희선;심혜영;한윤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11-221
    • /
    • 2022
  • 완전 무치악 악궁을 수복함에 있어 해부학적인 한계 또는 경제적인 제한이 있거나 환자가 광범위한 수술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임플란트 식립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대안으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다수 치아를 발거하여 상악 완전 무치악과 하악 부분 무치악이 된 56세 여성 환자에서 상악 전방부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8본 서베이드 보철물과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전치부 8본 고정성 가공 의치 및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다. 9년 간의 경과 관찰 시 심미적, 기능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대치로 이용한 하악 가철성 국소 의치 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 small number of implant crowns: two case reports)

  • 김유라;이수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110-11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시 지대치가 항상 유리한 위치에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하여 잘 맞게 제작된 가철성 국소의치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가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소수의 임플란트를 위치시키고 지대치로 이용하여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편측에 잔존치를 갖는 환자에서 두개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위치시켜 지대치를 양측으로 분포시켰다. 최종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이후 환자는 저작 기능에 만족감을 보였으며 국소의치 사용시 편안함을 나타내었다.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after at least 7 years of loading

  • Ahn, Dae-Hee;Kim, Hyun-Joo;Joo, Ji-Young;Lee, Ju-Yo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6호
    • /
    • pp.397-40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 disease after at least 7 years of dental implant loading. Methods: A total of 111 patients with 218 dental implants were treated. The follow-up period for all implants was at least 7 years. The patients' dental records were collected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 disease were investiga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implant survival rate was 95.87%, because 9 of the 218 implants faile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was 39.7% and 16.7%, respectively. As risk factors, smoking and prosthetic splinting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peri-implantitis (P<0.05).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ny risk factors and peri-implant mucositis, but a significantly elevated risk of peri-implantitis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smoked or had splinted prostheses in 2 or more im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