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ages

검색결과 807건 처리시간 0.024초

Computer-guided template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에서 술 전과 술 후 사이의 임플란트 위치에 따른 변위량 검사 (Deviations of Implant Position between Pre- and Post-operation in Computer-guided Template-based Implant Placement)

  • 김원;김승미;김효정;송은영;이시호;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4
    • /
    • 2011
  • Computer-guided system은 술 전에 임플란트 위치를 계획하고 이와 일치하도록 구강 내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렇게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할지라도 실제 매식된 임플란트의 위치는 원래 계획하였던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computer guided system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들의 경우 계획한 위치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량의 범위를 알아보고 그 임상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NobelGuide' system (Nobel Biocare AB, G$\ddot{o}$teborg, Sweden)을 이용하여 Br${\aa}$nemark MK III Groovy RP (Nobel Biocare AB, G$\ddot{o}$teborg, Sweden)임플란트 식립을 시행 받은 다섯 명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수술용 형판에 지대주 유사체를 연결한 후 술 전 측정 모형을 제작하였고 최종 보철물 제작 시 최종 인상을 채득하여 술 후 측정 모형을 제작하였다. 두 측정 모형의 CT 방사선 사진을 촬영 후 3차원적으로 재현하였고 재현된 모델 상에서 식립된 임플란트 위치를 지정하였다. 각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경부와 첨단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임플란트 축을 설정하였으며 두 축 간의 각도가 측정되었다. 임플란트 간 거리는 각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설정된 임플란트 축이 지나가는 중심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총 5명 환자의 58개 부위의 임플란트 간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거리와 각도 변위량이 기록되었으며 평균 및 최대 변위값을 산출하였다.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위치 간 거리의 변위량은 평균 0.41 mm였고 최대 1.7 mm의 범위 하에 있었다.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간 위치의 각도의 변위량은 평균 $1.99^{\circ}$를 나타냈으며 최대 각도 변위량은 $6.7^{\circ}$를 나타내었다. 술 전 계획된 임플란트와 술 후 식립된 임플란트 간의 길이와 각도에 따른 평균 변위량은 computer-guided implant system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데 있어 큰 문제가 존재하지 않고 '수동적 적합(passive fit)'을 얻기에 무리가 없을 허용 가능할 만한 값을 나타냈다.

바이러스 안전성이 보증된 돼지유래 골 이식재 제조 공정 개발 (Process development of a virally-safe dental xenograft material from porcine bones)

  • 김동명;강호창;차형준;배정은;김인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0-147
    • /
    • 2016
  • 동물유래성분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의료기기는 원료물질 유래 바이러스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생산과정 중 바이러스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생산공정은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바이러스들을 불활화하거나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돼지유래 이종골을 원재료로 사용한 바이러스 안전성이 보증된 치과용 골이식재(THE Graft$^{(R)}$) 제조공정을 개발하였다. THE Graft$^{(R)}$ 제조공정은 30% 과산화수소수와 80% 에탄올을 각각 처리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공정과 $1,300^{\circ}C$ 열처리 공정을 통해 콜라겐과 유기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생산된 hydroxyapatite 성분의 골이식재에 2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감염성 위해인자를 불활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THE Graft$^{(R)}$의 형태학적 특성을 소유래 hydroxyapatite 성분의 골이식재인 Bio-Oss와 SEM과 TEM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구조적 특성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1,300^{\circ}C$ 열처리 공정과 25 kGy 감마선 조사 공정의 바이러스 불활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 pseudorabies virus (PRV), porcine rotavirus (PRoV), porcine parvovirus (PPV)를 모델 바이러스로 선정하였다. $1,300^{\circ}C$ 열처리 공정에서 TGEV, PRV, PRoV, PPV 모두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으며, 바이러스 로그 감소 값은 각각 ${\geq}4.65$, ${\geq}5.81$, ${\geq}6.28$, ${\geq}5.21$이었다. 또한 감마선 조사 공정에서도 TGEV, PRV, PRoV, PPV 모두 검출한계 이하로 불활화되었으며, 바이러스 로그 감소 값은 각각 ${\geq}4.65$, ${\geq}5.87$, ${\geq}6.05$, ${\geq}4.89$이었다. 두 공정에서 TGEV, PRV, PRoV, PPV의 누적 바이러스 로그 감소 값은 각각 ${\geq}9.30$, ${\geq}11.68$, ${\geq}12.33$, ${\geq}10.10$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THE Graft$^{(R)}$ 제조공정은 바이러스 안전성 보증을 위한 충분한 바이러스 불활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부 피개관의 치아 형성 시 축면 경사각에 대한 조사 (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Prepared Tooth for full Veneer Crowns)

  • 김성진;배아란;우이형;김형섭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21-32
    • /
    • 2010
  •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는 치관 수복물의 유지와 저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다양한 구강 내 환경과 술자의 능력에 따라 이상적인 경사도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와 실제 임상에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실험의 연구 자료는 K대학 부속 치과병원 중앙 기공실을 통하여 보철과 전공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과 일반 기공소를 통해 일반 개업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을 수집한다. 연구 방법은 각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면을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뒤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치아의 삭제 각도를 측정 한 뒤 항목별( 1. 술자 집단별 분류,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류,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류 )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국내 임상가의 지대치 형성시 축면 경사각의 평균은 $15.02^{\circ}$ 표준 편차는 ${\pm}10.13^{\circ}$였다. 1. 술자 집단별 분류에 대한 분석 일반 치과의 집단의 측면 경사각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축면 경사각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석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측면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치아의 전후적인 위치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상악과 하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도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악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석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와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5) 협설측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협설측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에서 임상에서 치아 삭제시 이상적인 축면 경사각을 얻기 힘들며 이는 술자의 경험과 악궁 내에서의 위치, 삭제 양식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Facial Soft Tissue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and Asymmetry

  • Lee, Jong-Hyeon;Choi, Dong-Soon;Cha, Bong-Kuen;Park, Young-Wook;Jang, Insa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360-36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three-dimensional (3D) assessment of facial soft tissue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and mandibular asymmetry after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Samples consisted of 3D facial images obtained from five patients with A point-nasion-B point angle less than 2 degrees, and more than 5 mm of menton deviation. All patients had been treated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9 to 2012. They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of Lefort I, and sagittal split osteotomy for correction of skeletal deformity, and orthodontic treatment. Facial scanning was performed before treatment (T1) and post-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2). Linear and angle variables of soft tissue landmarks, antero-posterior facial depth, and facial volume were measur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idth of the alar base, mouth width, and nasal canting were observed between T1 and T2. However, lip deviation, menton deviation, alar canting, lip canting, and menton deviation angle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T2. Antero-posterior facial depth on the axial plane parallel to the left cheil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deviated sid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non-deviated side at T2. Volume of the lower lateral and lower medial parts of the face was reduced on the deviated side, and volume of upper lateral and lower lateral parts on the non-deviated si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2. Conclusion: After orthognathic surgery, facial asymmetry of soft tissue was improved following skeletal changes, especially the mandibular region. Although the length of the alar base and mouth width did not change, lip and soft tissue menton were displaced to the medial side after treatment. Facial depth also became symmetric after treatment. Facial volume showed a decrease on the lower part of the deviated side and that on lateral parts of the non-deviated side showed an increase after treatment.

만곡된 레진 모형 근관에서 4종의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기구의 근관 중심율 유지 능력 (The instrument-centering ability of four Nickel-Titanium instruments in simulated curved root canals)

  • 구재훈;장훈상;장석우;조환희;배지명;민경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2호
    • /
    • pp.113-11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시판된 NRT 기구의 근관 형태 유지 능력을 기존의 3종의 기구와 비교하는 것이다. 만곡된 레진 모형 근관을 ProFile, K3, ProTaper, NRT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하였고 형성 전, 후의 상을 스캔한 후 중첩시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근관 만곡도의 변화와 근관 중심축에 대한 근관의 변이 정도를 근관 중심율의 변화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근관 변이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기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test로 사후 분석하였다. 근첨에서 1, 2 mm 상방 위치에서의 근관 중심율은 ProFile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NRT기구의 근관 중심율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근첨으로부터 5 mm 상방에서는 Profile에 비해서만 큰 것으로 나타났고 6, 7 mm 상방에서는 다른 모든 군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비록 NRT기구가 근첨 부위에서는 ProFile을 제외한 다른 기구에 비해 유의차 없는 중심률 유지 능력을 보였으나 근관 입구 및 중간부위의 형성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파일로 인해 coronal flaring시 다른 기구들에 비해 더 많은 중심률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근관치료 시 초음파 세정 기술을 이용한 잔사 제거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ltrasonic irrigation technique on debris removal during root canal treatment)

  • 김정현;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적: Passive irrigation (PI)과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의 상아질 잔사 제거 효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6 mm 길이로 표준화된 하악 소구치 치근을 근관 확대 후 종단으로 이등분 하였다. 분리된 한쪽 상아질벽에는 길이 4 mm, 너비 0.2 mm, 깊이 0.5 mm의 표준화된 구를 형성하였고, 반대쪽에는 직경 0.3 mm, 깊이 0.5 mm인 3개의 반구 형태의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구와 함요에는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로 채우고, 퍼티 인상재를 사용하여 재조합하였다. Group 1은 PI를 이용하고 Group 2는 PUI를 이용하여 각 근관내를 세정하였다. 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로 절편의 근관벽을 촬영하고, 구와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관의 중앙 1/3에서 group 1이 group 2에 비해 잔사를 더 많이 제거하였지만, 치근단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하악 소구치에서 근관에 기구가 닿지 못하는 부위를 세정시, 근관의 중앙 1/3에서 PUI를 사용하는 것이 PI에 비해 상아질 잔사의 제거 효율이 우수했지만, 치근단부에서는 PUI와 PI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 세정 프로토콜에 따른 근관 내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 (Debris removal efficiency depend on different ultrasonic irrigation protocols)

  • 허건;김진우;조경모;;이은혜;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04-111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적용 강도 및 적용 횟수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8개의 하악 소구치를 표준화하고 이등분 한 후, 한쪽 상아질벽에는 치근첨에서 1, 3, 5 mm의 거리에, 반대쪽 상아질벽에는 2, 4 mm의 거리에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함요에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를 채웠다. 치아는 PUI 적용 강도에 따라 'Weak'과 'Strong'의 2개 그룹으로 나누고(n = 24), PUI 적용 횟수에 따라 '1회', '2회', '3회'의 3개 그룹으로(n = 8) 다시 나누었다. 근관 세정 과정 이후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 Weak 그룹과 Strong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Weak 그룹 내에서 PUI 적용 횟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2회, 3회 적용하였을 때, 1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상아질 잔사의 양이 관찰되었다. 결론: PUI 적용 강도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다회 적용시, 1회 적용할 때 보다 근단 1/3 부위의 세정 효과가 증가한다.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Electroforming Gold와 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to Electroforming Gold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

  • 유병일;장문숙;윤태호;박주미;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6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The success of the bonding between electroforming gold and resin is dependent on the surface-conditioning technique but its effective technique has net been studied widely.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electroforming gold and resin with varying the surface-conditioning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rectangular shaped metal specimens were made and one side of each specimen were gold hard plated. The sand-blasted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with fifteen specimens in each group and were treated as follows. Group 1: Silicoating (Rocatec, 3M ESPE)+ Sinfony (3M ESPE), Group 2: SR Link+ SR Adoro (Ivoclar Vivadent), Group 3: Tin plating (Microtin, Danville Engineering)+ SR Link+ SR Adoro, Group 4: Tin plating (Micro tin, Danville Engineering)+ Silicoating (Rocatec)+ Sinfony. Shear bond strength at metal-resin interface were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was don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were taken and observ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values in order were 11.69MPa (Group 2), 22.35MPa (Group 3), 22.40MPa (Group 1) and 27.71MPa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1, Group 3 and Group 4(P>0.05). 2. In the EDX line analysis, the Au was detected on the surface of all specimen. $SnO_2$ showed on the surface of Group 2 and $SiO_2$ was detected on the surface of Group 1. 3. Increasing of roughness by sandblasting(Group 2), formation of micro-irregularities and tin crystals by electrolytic tin plating(Group 3) and formation of surface irregularities and $SiO_2$ layer(Group 1,4) were observed in SEM photo. 4. Tin plating(Group 3) and Rocatec treatment(Group 1) showed clinically effective shear bond strength(>20MPa), but when the two surface conditioning method were used together higher bond strength were achieved.

미니스크류 식립 각도 및 부위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udy of Miniscrew about Installation Area and Angle)

  • 조희상;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1
    • /
    • 2008
  •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의 조절은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최근 골에서 쉽게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미니스크류가 개발되고 발전되어 많은 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미니스크류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안전하게 식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미니스크류를 흔하게 심는 부위이면서 초기 고정이 약한 상악 구치부 협측 부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식립 각도에 따른 인접치아에 대한 손상가능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상악 구치부 협측에서 $1.2{\times}6.0mm$의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CEJ에서 5~8mm 상방에 그리고 피질골 표면에서 3~5mm 내측에 미니스크류의 끝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치근 사이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식립각도를 30도, 45도, 60도로 나누어 식립 각도별 치근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대구치와 대구치 사이,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소구치와 소구치 사이의 3그룹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립부위에 따른 비교에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에서 치간골의 면적이 유의하게 작았다. 2) 각도에 따른 비교에서 대구치 사이와 소구치와 대구치 사이에서는 더 기울여 식립 하는 것이 안전함을 보였으나, 소구치 사이에서는 식립 각도가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니스크류를 식립 할 경우 대구치 사이보다는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또는 소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구치 사이와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에 식립 할 경우에는 식립 각도가 증가 할수록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producibility of the sella turcica landmark in three dimensions using a sella turcica-specific reference system

  • Pittayapat, Pisha;Jacobs, Reinhilde;Odri, Guillaume A.;Vasconcelos, Karla De Faria;Willems, Guy;Olszewski, Raphae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1호
    • /
    • pp.15-2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producibility of identifying the sella turcica landmark in a three-dimensional (3D) model by using a new sella-specific landmark referenc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scans (3D Accuitomo$^{(R)}$ 170, J. Morita, Kyoto, Japan)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The 3D data were exported into the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standard and then imported into the Maxilim$^{(R)}$ software (Medicim NV, Sint-Niklaas, Belgium) to create 3D surface models. Five observers identified four osseous landmarks in order to create the reference frame and then identified two sella landmarks. The x, y, and z coordinates of each landmark were exported. The observations were repeated after four 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ultiple paired t-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intraobserver precision: p<0.005, interobserver precision: p<0.0011). Results: The intraobserver mean precision of all landmarks was <1 m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en comparing the intraobserver precision of each observer (p<0.005). For the sella landmarks, the intraobserver mean precision ranged from $0.43{\pm}0.34mm$ to $0.51{\pm}0.46mm$. The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was generally good. The overall interobserver mean precision was <1 mm.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pair of observers for all anatomical landmarks were found (p<0.0011). The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sella landmarks was good, with >50% precision in locating the landmark within 1 mm. Conclusion: A newly developed reference system offers high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for sella turcica identification in a 3D model without being based on two-dimensional images derived from 3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