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Dentists make various efforts to reduce patients' anxiety and fear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Dental sedation is an advanced method that dentists can perform to reduce patients' anxiety and fear and provide effective dental treatment. However, dental sedation is different from general dental treatment and requires separate learning, and if done incorrectly, can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Therefore, sedation is performed by a limited number of dentists who have received specific train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dentists who practice sedation and the main sedatives they use in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We used the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data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dental hospitals or clinics that claimed insurance for eight main sedatives commonly used in dental sedation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19 at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 also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by region and year and analyzed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prescribing each sedative. Results: In 2007, 302 dental hospitals prescribed sedatives, and the number increased to 613 in 2019. In 2007, approximately 2.18% of the total 13,796 dental institutions prescribed sedatives, increasing to 3.31% in 2019. In 2007, 168 institutions (55.6%) prescribed N2O alone, and in 2019, 510 institutions (83.1%) made claims for it. In 2007, 76 (25.1%) hospitals made claims for chloral hydrate, but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d, with only 29 hospitals (4.7%) prescribing it in 2019. Hospitals that prescribed a combination of N2O,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increased from 27 (8.9%) in 2007 to 51 (9%) in 2017 but decreased to 38 (6.1%) in 2019. The use of a combination of N2O and midazolam increased from 20 hospitals (6.6%) in 2007 to 51 hospitals (8.3%) in 2019. Conclusion: While there is a critical limitation to the investigation of dental hospitals performing sedation using insurance claims data, namely exclusion of dental clinics providing non-insured treatments, we found that in 2019, approximately 3.31% of the dental clinics were practicing sedation and that N2O was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sedativ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towards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a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4 recruited from 126 dental hygienists in 14 public dental clinics in Jeonbuk Provinc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64 dental hygienists in charge of dental health care. Data were anlat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Result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ad no impact on their positiv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re existed differences by age, rank and period of services in the channel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y got 3.5 out of five in multicultural awareness showing a positive wa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y revealed that they provided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checkup services and simple treatmen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Health insurance accounted for 15.4 percent of dental services. The obstacles to dental services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communication problems, poor concern for oral health and cultural gaps. They got 3.86 out of five points in educational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y who need the dental education most. The multicultural family showed the higher score in every question. Conclusions : Public health center dental clinics should help dental hygienists to acquire information on multicultural family. Public health center should provide the easy access way of dental health checkup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Objectives : The recognition rate for issues and improving resolution for the recuperation income expense claim policy was examined. Methods : 1,135 copies of survey have been sent to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claimed the dental recuperation income expense to dental recuperation institutions in Daejeon, Chungcheong Do that are registered to the health insurance evaluation and estimation office as of the May 2010 and 207 surveys that were regarded to be sincere for answering were analyzed. Results : Majority of respondence were belonged to the dentist institutions with more than 5 years of claim experiences as well as 10~50% of claim rate. The recognition of medical fee evaluation guideline was normal level, and negative recognition was higher to the health center with daily charge policy compare to the dental hospital and university affiliated dental center with treatment charge policy, Highest opinion for inappropriateness of dentist with significance was found (p<0.05). The openness of evaluation cases are regard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transparent evaluation and most of the opinions for insurance claim evaluation adjustment are within the both 'Do not understand the evaluation guideline and program error of disease category, code and program' with significance(p<0.05). The reaction after the evaluation adjustment was high in reflection on the claim process after examining the reason for the evaluation adjustment through the evaluation and estimation office and university affiliated dental institution and dental center was regarded to be most active and deputy reclaimment was seemed to be most actively discharge the objection registration task (p<0.05). The claim error improving resolution recognition was highly prioritized to the accurate charting for the disease title and treatment description, improving the setting of claim program, and most highly recognized by the university affiliated dental hospital/dental center and comparably low by health center(p<0.05). and although the most of the responds of treatment description and browsing the medical fee was positive, 50% of dentists disagreed the idea so that this was creating a significant discrepancy with other groups(p<0.05). Conclusions : From this research, the recognition of medical fee evaluation guideline for dental (university) hospital and dentists were negative and high adjustment experience was examined as lacking of evaluation guideline understanding and error of disease name, code and programs and deputy reclaimment, university affiliated dental hospital/dental center were most actively handle the objection registration tasks and dentists have objection on the treatment description and browsing the treatment fee so that if these indexes can be referred to implement into the recuperation income claim process, this can be regarded to be a opportunity to create mutual credibility between recuperation institution, treatment pensioner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s.
이번 연구는 임상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의사와 보험청구 담당자들의 건강보험관련 교육의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경험이 그들의 요양급여비용의 산정기준에 대한 지식과 건강보험 실무 적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전국에 소재한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와 보험청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에 관한 지식수준은 보험청구 담당자가 치과의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교육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보험청구 담당자의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 지식수준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01), 평균교육시간이 3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3시간 이상인 경우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보험청구 담당자가 치과의사보다 건강보험 실무적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치과의사는 보험청구 경력이 많을수록 건강보험 실무 적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보험청구 담당자는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교육 시간이 길수록 건강보험 실무 적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최근 3년간 건강보험관련 교육의 참여경험이 보험청구 담당자의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 지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p<0.001), 보험청구 경력과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 지식수준은 그들의 건강보험 실무 적용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치과의사 및 보험청구 담당자의 건강보험에 관한 지식수준과 건강보험 실무적용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교육 관련된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case report describes a complication involving facial blanching symptoms occurring dur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IANBA). Facial blanching after IANBA can be caused by the injection of an anesthetic into the maxillary artery area, affecting the infraorbital artery.
Objectives :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attitude towards senior citizens targeting the workers of the facility for senior citizens to establish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arly on,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enior citizens' oral health and on the need for dental sanitation specialists. Methods : This research targeted 233 workers of the facility for the senior citizens located in some parts of the Gyeongnam are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09 to January 31, 2010 to identify the facility workers' attitude towards senior citizens and on the perception towards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Results : 1. As for the awareness towards senior citizens, 50.2% said that they are comfortable around senior citizens while degree of kindness towards senior citizens was 48.5%. 21.0% had experienced training for senior citizens' oral health management. As for the question on who should serve as the trainer, dental sanitation specialists were citied the most with 47.6%. 29.2% was very interested in the senior citizens' oral health while 83.7% said that oral cavity managers are needed in the facility for the senior citizens. As for the question on who should be in charge, if necessary, dental sanitation specialist was cited the most with 57.9%. 2. Awareness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reatment for the oral cavity sanitation by visiting homes and information on the activity of long-term care specialists was high following the experience of training for the senior citizens' oral health management in case of the workers at the senior citizens' facility. This manif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p<0.01). Moreover, treatment for oral cavity sanitation manif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nifested in the treatment for oral cavity sanitation following the need for oral health managers and who should be in charge, if necessary(p<0.01). Conclusions : These results advocate the need to develop diverse senior citizens' oral health management methods and to continue to carry out actions for senior citizens' oral health improvement that can be carried out by the long-term caretakers for the management of senior citizens' oral cavity health.
Objective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stabl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syste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80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for about one month from July 2017.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wareness) of dental scaling, knowledge of the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changes in perception before versus after introduction of the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and interest in oral health. To investigate into any factors affecting changes of interest in oral health care after introduction of the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investigation into any factors affecting changes of interest in oral health care after introduction of the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showed that higher usual interest in oral health (p<0.001) and the consideration that the dental scaling charges have been affordable after introduction of the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p<0.01) led to more changes in interest in oral health care. Conclusions: The above-mentioned results suggest that the dental scaling reimbursement program has brought favorabl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ental scaling. It is expected that the said program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improved national oral health,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to develop it as a long-term policy for oral health improvement.
본 연구는 향후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를 찬성(적극찬성 포함)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는 각각 92.5%, 90.8%로 나타났고, 반대(강력히 반대 포함)하는 경우는 7.5%, 9.2%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인력의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찬성 이유는 치아우식증 예방이라는 응답이 치과의사는 72.5%, 치과위생사는 72.8%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반대 이유는 치과의사는 수입감소(38.5%)가, 치과위생사는 치과위생사 부족으로 업무과중화(46.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적절한 연령은 초 중 고등학생(8~19세)이라는 응답이 치과의사에서 43.2%, 치과위생사에서 45.7%로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본인부담금(평균값)은 APF겔, NaF, $SnF_2$용액 도포의 경우 치과의사가 25,782원, 치과위생사는 14,282원이었고 불소바니쉬도포는 치과의사가 31,705원, 치과위생사는 17,979원이었으며, 불소이온도입법은 치과의사는 40,156원, 치과위생사는 21,21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급여인정 횟수에 대해 치과의사에서는 무제한 급여(37.5%)가, 치과위생사에서는 2회(31.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불소도포는 우식예방효과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절감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전 국민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므로 건강보험 요양급여에 예방치과진료 항목으로 전문가불소도포가 포함되어야 하며, 전문가불소도포 건강보험 급여화시 대상 및 본인부담금은 구강보건인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fference of chronic periodontal care services in Korea by the analysis of 2010 raw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thods: The subjects were the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over 35 years old from dental care facilities in Korea. The study population was 278,319 including 264,994 claims made by dental clinics, 8,084 by dental hospitals, 3,509 by general hospitals, and 1,732 by tertiary hospital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al care cost benefit between the provinces(p<0.0001). The age group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the patient charge, cost of insurance, and medical care cost benefit(p<0.0001).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visit or revisi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prescription, dental examination, and surgical procedures of the chronic periodontal patients from dental facilities. The radiographic use rate in the tertiary hospitals was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dental clinic in the treatment of the new chronic periodontal patients. Conclusions: The use of dental services in the periodontitis is influenced b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facility, cost of medical insurance, and patient charge. In consideration of cost benefit analysis, prevention is the most important care for the periodontitis. Regional difference in peridontitis is cause by the use of medical services and quality of treatment.
Background: Legal regulations and fees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 to provide visiting oral health care services to individuals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However, beneficiaries of this service are very limited. Therefore, to improve the Korean system we propos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Japanese system.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alysis based on secondary data, such as statistics, laws, and service record forms from Korea and Japan. The most recent institutional documents were obtained through a Google search. The variables investigated were financial resources of LTCI, co-payment structure, monthly limit of LTCI benefits, care levels of LTCI, service providers, service costs, contents of service, and the number of cases of service. Results: In both Korea and Japan, LTCI is financed through a combination of taxes and insurance premiums. However, the monthly limit for receiving LTCI services in Japan is about 2.4 times higher than in Korea. Visiting medical and dental treatment is also possible in Japan. Furthermore, nursing staff can provide daily oral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s' instruction unlike Korea. Oral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are focused on oral hygiene and prevention of oral diseases, while Japan additionally provides oral function screening, patient education for oral health management, and training for nursing staff to enhance oral function, eating, and swallowing of the patient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visiting dental treatment, differences in monthly limit of LTCI benefits, oral function assessment and guidance, as well as collaboration with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con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of visiting oral health care services between Korea and Japa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