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error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4초

노력성 폐활량검사시 호흡기류센서의 보정기법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calibration technique for forced vital capacity test)

  • 차은종;이인광;장종찬;김성식;이수옥;정재관;박경순;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82-1090
    • /
    • 2009
  • 노력성 폐활량(FVC) 검사시 호식기류의 최대값인 최고호기유량(PEF)은 호흡기능의 평가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는 진단 매개변수이다. PEF는 검사 초기에 매우 짧은 순간에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띠기 때문에 호흡기류센서의 동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측정오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력성 호식기류 상의 초기 상승속도($S_r$)를 산출하고 $S_r$ 값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값을 보정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였다. 미국 흥부학회(ATS)에서 제공하는 표준 기류신호 파형 26개를 생성하여(F) 속도계측형 호흡기류센서로 통과시키며 센서 출력신호(N)를 축적하였다. F의 최대값인 PEF와 N의 최대값인 $N_{PEF}$, 간에는 당초 예상했던 대로 2차함수 관계가 성립하였으나(상관계수 0.9997), ATS파형 #2 및 26은 상당한 이탈을 보였다(상대오차>10%). $N_{PEF}$의 상대오차와 $S_r$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상호 선형적인 관계를 얻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보정한 결과 PEF 상대오차의 99% 신뢰구간이 약 2.5% 이었다. 이는 국제표준인 ATS의 오차한계인 10%의 1/4 이내로써 매우 정확한 보정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보정기법은 호흡기류센서 교정시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컴퓨터를 이용한 치아크기 계측시 재현도와 정확도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tooth size measurements obtained by the use of computer)

  • 김은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3-573
    • /
    • 1999
  • 본 연구는 치아크기 측정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계측치와 석고모형을 촬영하여 컴퓨터를 사용한 계측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석고모형 분석시 컴퓨터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치아밀집치열 특징을 지니며 모든 치아의 맹출이 완료된 상하악 20조의 석고 모형의 좌측 중절치부터 제 1대구치까지 12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폭경을 버니어 캘리퍼스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2주 간격으로 2회 측정하여 실험측정치를 얻은 다음, 측정에 이용된 석고모형을 근원심접촉점 부위에서 개개치아로 분리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표준치와 비교분석하였다. 계측시 오차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하악의 occlusogram을 얻어 각 치아의 접촉점 이탈유무 및 정도를 구하고, TARG (Torque Angulation Reference Guide)를 이용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경사도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회 측정에 대한 재현도 비교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12 개 치아 중 3개의 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컴퓨터의 경우에는 1 개의 치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2. 치아크기 계측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치와 비교한 결과,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12개 중 3개의 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의 경우에는 12 개 중 2 개의 치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3.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상악 제 1 대구치는 표준치에 비해 크게, 하악 제 1 대구치는 표준치에 비해 작게 재는 경향을 보였으며 컴퓨터의 경우 상하 제 1 대구치 모두 표준치에 비해 크게 재는 경향을 보였다. 4. 버니어 캘리퍼스로 계측시에는 하악 제 1 대구치가 가장 큰 오차를 보였으며 치아별로 오차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난 반면, 컴퓨터의 경우 치아별 오차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접촉점 이탈정도 및 치관의 근원심 경사도와 오차정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한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컴퓨터로 계측한 경우 약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모형분석을 위한 치아크기 계측시 컴퓨터 이용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 PDF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Three-dimensional CT image study on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 황현식;은춘선;황정현;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1-261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mm 크게는 11.31mm까지. 평균 9.10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Digora$\textregistered$에서 노출시간의 변화가 근관치료용 file의 첨부식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exposure times in the detectability on the tips of the endodontic files in Digora$\textregistered$)

  • 고지영;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55-71
    • /
    • 1997
  • Digora/sup (R)/ an intraoral digital radiography system utilizing image plate (IP) - has a dynamic range of exposure time which allows it to decrease the patient's exposure time and to increase diagnostic ability through image processing, transmission and stor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gora/sup (R)/ system by assessing the effects of various exposure times on the detectability on the tip of the endodontic file. Examining the root canals of 45 extracted sound premolars, K -files No. 10, 15, and 20 were placed at slightly varying distances from the apex. The teeth were glued onto resin-plaster blocks. Five exposure times varying between 0.01 seconds and 0.25 seconds were used. Four observers were asked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file and a reduction of crown portion, and obtained mean errors (subtracting true file length from the measured file length), comparing Digora/sup (R)/ monitors with E-plus films, which were both obtained under the same geometrical pos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mparing E-plus film with Digora/sup (R)/ at 0.01 seconds, the mean errors in E-plus film showed -4.453 nun, -4.497 nun, and -3.857 nun, while the mean errors in Digora/sup (R)/ showed 0.065 nun, 0.607 nun, and 0.719 mm according to the file groups.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nd Digora/sup (R)/(p<0.05). 2. By comparison of mean errors according to the various exposure times in the Digora/sup (R)/ system, the mean error at 0.01 secon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at 0.12 and 0.25 seconds in the No. 10 file group(p<0.05).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the highest at 0.01 seconds. 3. Comparing E-plus film at 0.25 seconds with the Digora/sup (R)/ system, the mean err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the Digora/sup (R)/ system at 0.25 seconds in No. 10 and 20 file groups(p<0.05). 4. Comparing E -plus film at 0.25 seconds with other exposure times, the mean err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E-plus film at 0 .. 01 and 0.03 seconds in 10 file group(p<0.05). In the No. 15 and 20 fil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plus film at 0.25 seconds and E-plus film at 0.01 seconds(p<0.05). In conclusion, Digora/sup (R)/ was better than E-plus film in detectability on the tip of the file at the exposure time of 0.01 seconds in all file groups. And we concluded that Digora/sup (R)/ can shorten exposure times up to 4% of 0.25 seconds (0.01 sec), which is adequate exposure time for premolar in E-plus film using No. 15 and 20 files.

  • PDF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임플란트 주변골 흡수 분석 (Marginal Bone Resorption Analysis of Dental Implant Patients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 정민기;김성민;김명주;이종호;명훈;김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67-17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 of implant patients using the system to measure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rom fixture installation time to more than three years. Methods: Choose 10 patients having 45 implant fixtures installed, which have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 in the period to be analyzed by the system. Then, calculated the crestal bone depth and statistics and selected the implant in concerned by clicking the implant of image shown on the monitor by the implemented pattern recognition system. Then, the system recognized the x, y coordination of the implant and peri-implant alveolar crest, and calcul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approximated line of implant fixture and alveolar crest.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to periodic panoramic radiographs, we attained the results and made a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preceded articles concerning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Analyzing peri-implant crestal bone loss in a regression analysis periodic filmed panoramic radiograph, logarithmic approximation had highest $R^2$ value, and the equation is as shown below. $y=0.245Logx{\pm}0.42$, $R^2=0.53$, unit: month (x), mm (y) Results: Panoramic radiograph is a more wide-scoped view compared with the periapical radiograph in the same resolution. Therefore,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in the radiograph in local area. Anterior portion of many radiographs was out of the focal trough and blurred precluding the accurate recognition by the system, and many implants were overlapped with the adjacent structures, in which the alveolar crest was impossible to find. Conclusion: Considering the earlier objective and error, we expect better results from an analysis of periapical radiograph than panoramic radiograph. Implementing additional function, we expect high extensibility of pattern recognition system as a diagnostic tool to evaluate implant-bone integration, calculate length from fixture to inferior alveolar nerve, and from fixture to base of the maxillary sinus.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키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Iarge Korean sample)

  • 이신재;문성철;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치열궁 척도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96명(남자 179명, 여자 117명)의 정상교합자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 정상교합자 표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구강 검진 사업에 대상이 되었던 15,836명의 성인 중에서 선발되었다. 0.01mm정밀성을 보이는 슬라이딩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치열궁 폭경, 치열궁 기저부 폭경 및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으며, 구치부 폭경 비율과 Bolton의 지수를 도출하였다. 계측의 신뢰성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면밀히 고려하였으며, 측정시의 실험자내 및 실험자간의 신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신뢰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에서는 명백한 성차가 다시금 확인되었다. 20년전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종의 선형 계측치의 경우 명백한 성차 및 인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각종 비율 척도의 경우 성별 및 인종에 상관없이 같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임상적으로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완전무치악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Rational treatment planning for implant treatment of the edentulous patients)

  • 배정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4-68
    • /
    • 2023
  • 디지털 방법을 사용한 무치악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은 surgical guide design으로 구체화된다. Surgical guide를 제작할 때, 우리는 먼저 최종 보철의 형태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식립 계획을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무치악 환자는 치아배열의 기준이 없고 악간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최종 보철의 형태를 짐작하기 어려워 surgical guide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기존의 만족스러운 총의치나 부분의치, 잔존치 등이 존재한다면 그 치아배열이 가상적인 최종 보철의 reference가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reference가 부재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진단용 목적으로 총의치를 제작하되 이를 구내에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urgical guide를 제작할지라도 구내 상황에 따라 implant의 위치가 계획한 것과 다르게 식립될 수 있으며, 만약 guide의 positioning이 잘못된다면 그 오차는 모든 implant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guide 수술이 오히려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치아 배열의 reference가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적절한 시기에 채득하여 이를 디지털 공간에 이전 및 통일된 좌표계로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이렇게 수립된 식립계획을 현실의 구강에 적은 오차로 이전 및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무치악 가이드 디자인의 프로토콜 정립에 대해 의견 개진하려 한다.

작업환경측정 시료 채취기의 부착 위치에 따른 유기화합물의 농도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OC Concentrations by Attachment Position of Air Samplers for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 권영규;원정일;장형석;심상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8-33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the left or right shoulder within a 30 cm of radius of workers' respirato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ustrial health policy. Methods: Person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65 workers from 27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Gyeongsang-do Province from November 5, 2011 to December 30, 2012 after classifying the laborers into left- and right-side groups. The organic compoun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1501. Results: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collected from both left and right shoulders at the position of workers' respirators, isobutyl acetate was the highest with 145 ppm at the left shoulder, followed by ethyl acetate (133.5 ppm) and toluene (38.13 ppm). At the right shoulder, on the contrary, ethyl acetate (149.3 pp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oluene (46.26 ppm), xylene (29.63ppm) and isopropyl alcohol (28.06 ppm). Overall, the right shoulder was higher than the left shoulder in terms of concentrations. Conclusions: For the measur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workers' personal samples should be collected at the place closest to the respirator.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error, the attachment of two sample media is expected to reduce errors in exposure assessment.

Hinge Axis Point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INGE AXIS POINT)

  • 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6
    • /
    • 1976
  • Casts are often transferred to the articulator by arbitrary means, because the method of locating the true hinge axis point thought to be a complicated and time consuming procedure, and because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true hinge axis in the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is is not sufficiently understood. In this report, the author constructed the hinge axis locator and determined the variations in location of the true hinge axis points from the location of the hinge axis point determined by arbitrary means. For this report, the procedure was followed on 50 persons with normal occlusion and sound T.M.J. function, so 100 true hinge axis points were recorded and compared with the arbitrary hinge axis poin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distance from the arbitrary hinge axis point to the true hinge axis point was as follows. Right; (O)5.17mm., (V)3.44mm., (H)3.55mm.. Left; (O)5.63mm., (V)3.95mm., (H)3.51mm.. 2. The percentage of true hinge axis points classified at intervals of 2mm was as follows. 0-2mm; 4%, 2-4mm; 21%, 4-6mm; 37%, 6-8mm; 26%, 8-10mm; 10%, Over 10mm; 2%. And only 50% of the 100 true hinge axis points were located within a 5mm. radius of the arbitrary hinge axis point. 3. Instead of transferring the casts to the articulator by arbitrary means, the careful location of the true hinge axis points is recommended to avoid potential sources of error in mounting casts.

  • PDF

Rapid Prototyping으로 제작한 3D Medical Model의 오차 측정에 관한 연구 (임상 적용 가능성 및 사례) (ACCURACY TESTS OF 3D RAPID PROTOTYPING (RP) MEDICAL MODELS: ITS POTENTIAL AND CLINICAL APPLICATIONS)

  • 최진영;최정호;김남국;이종기;김명기;김명진;김영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295-303
    • /
    • 1999
  • Presented in this paper are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measure rapid prototyping (RP) errors in 3D medical models. We identified various factors that can cause dimensional errors when producing RP models, specifically in maxillofacial areas. For the experiment, we used a human dry skull. A number of linear measurements based on landmarks were first obtained on the skull. This was followed by CT scanning, 3D model reconstruction, and RP model fabrication. The landmarks were measured again on both the reconstructed models and the physical RP models,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ose on dry skull. We focused on major sources of errors, such as CT scanning, conversion from CT data to STL models, and RP model fabr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error from skull to RP is $0.64{\times}0.36mm(0.71{\times}0.66%)$ in absolute value. This indicates that the RP technology can be acceptable in the real clinical applications. A clinical case that has applied RP models successfully for treatment planning and surgical rehearsal is presented. Although the use of RP models is rare in the medical area yet, we believe RP is promising in that it has a great potential in developing new tools which can ai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surgical rehearsal, education,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