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arch siz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대학생의 사용잇솔 분석과 잇솔규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tandardization of toothbrush and analysi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using a toothbrush)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09-5115
    • /
    • 2014
  • 본 논문은 치열궁 변화에 따른 잇솔규격 변화의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잇솔을 수집하여 잇솔의 각 부위별 규격을 측정하고, 치열궁을 측정하여 성인의 구강환경에 적합한 잇솔규격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잇솔 종방향은 25 mm이내, 잇솔 횡방향은 11 mm이내의 잇솔 개발이 요구되었다. 잇솔이 모든 치면에 적용되어 치면세균막 관리에 적합한 잇솔 선정을 위해서는 잇솔규격 변화와 함께 올바른 잇솔을 선정할 수 있는 전문가의 교육도 필요하다.

Dentoskeletal features in individuals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 Mucedero, Manuela;Rozzi, Matteo;Cardoni, Giulia;Ricchiuti, Maria Rosaria;Cozza, Paol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90-197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ctopic eruption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EEM) in individuals schedul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EEM with dental characteristics, maxillary skeletal features, crowding, and other dental anomalies. Methods: A total of 1,317 individuals were includ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265 subjects were included as controls, while the remaining 1,052 subjects included the sample from which the final experimental EEM group was derived. The mesiodistal (M-D) crown width of the deciduous maxillary second molar and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maxillary arch length (A-PML), maxillomandibular transverse skeletal relationships (anterior and posterior transverse interarch discrepancies, ATID and PTID),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crowding, and the presence of dental anomalies were recorded for each subje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these parameters between the EEM and control groups was determined using independent sample t -tests.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other dental anomali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maxillary EEM was 2.5%. The M-D crown widths, ATID and PTID, and tooth crowding were significantly greater, while A-PML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E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Only two subjects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EEM and maxillary lateral incisor anomalies, which included agenesis in one and microdontia in the other. Conclusions: EEM may be a risk factor for maxillary arch constriction and severe tooth crowding.

상대적 거대설을 보이는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의 외과적 급속 구개확장술을 통한 횡적 부조화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VERSE DEFICIENCY WITH SURGICALLY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IN AN OPEN BITE PATIENT SHOWING PSEUDOMACROGLOSSIA)

  • 김윤지;이규홍;박준우;이건주;조형준;박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76-382
    • /
    • 2008
  • Anterior open bite is a condition in which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s do not occlude at central occlusion. It is a vertical discrepancy of the jaws and dental arches that has many etiologic factors making it difficult in diagnosis, treatment and prediction of prognosis. One of the causes of open bite is abnormal size and shape of the tongue. Macroglossia, a condition in which tongue is oversized, is caused by several factors which are not clearly identifiable, and it may be a major factor of anterior and posterior open bite. Macroglossia is subdivided into true, functional and pseudomacroglossia depending on its relative size in the oral cavity. In this case report, a patient was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 with pseudomacroglossia, and was treated with SARPE in order to expand the narrowed maxillary arch and Quad helix for the mandibular arch. As a result the transverse deficiency was treated. In the adult patients where no skeletal growth is expected, SARPE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maxillomandibular transverse discrepancies in which macroglossia was accompanied as in this case.

구강-인두형태와 상경추부형태간의 관계 (Relationship in Shape between Oral and Pharyngeal Structures and Upper Cervical Spine)

  • 한경수;김병욱;김문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4호
    • /
    • pp.457-473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ophological and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upper cervical vertebra, the oral structures and the pharyngeal tissues, and the correlation of these anatomical structures with dental features, such as teeth wear area nad tooth contact status, etc. Seventy patients with temporamandibular disorders and sixty three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in head and neck regio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they had natural dentition without any fixed and removable protheses. Teeth wear area and arch width wre measured from the upper dental cast, tooth contact status were observed by T-Scan system$^\textregistered$ and four cephaloradiograpohs were taken from four head postures, namely, natural(NHP), forward(FHP), upward(UHP), and downward head postiure(DHP). 22 cephalometric items were measured on the films and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normal group, angle of cervical vertebra tangent and of between hard and soft palate were broader in female subjects than those in male subjacets, but distance from subocciput to axis, size of soft palate, and pharyngeal space width were larger in male subjects. 2. In normal group with natural head posture, the items correlated each others from the three anatomical regions were distance between first nad second vertebra in posterior part, distance from the lingual surface of lower anterior teeth to anterior surface of soft palate, and distance from the hyoid bone to third vertebra. 3. Three set of ite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 in the four head postures in normal group. First set was the angle between hard and soft palate and the idstance from subocciput to posterior arch of first vertebra, second set was the distance between first and second vertebra in posterior part and the teeth wear area, third set was number and force of tooth contact and length of soft palate and distance from anterior tip of hyoid bone to mandibular plane.

  • PDF

한국형 교정치료용 Bracket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rthodontic bracket)

  • 장영일;양원식;남동석;문성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65-578
    • /
    • 2000
  • 한국인의 치열의 특성을 고려한 Straight-Wire Appliance(SWA)의 제작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18세 이상 25세 사이의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를 1) 구강악안면부에 기능장애가 없고, 2) 양호한 치열궁 형태와 긴밀한 구치부 교합관계를 가지며, 3) 교합이 전후방적으로 앵글 분류 I 급의 관계를 가지며, 4) 간단한 수복 치료 외에 교정치료나 보철치료를 받지 않았으며, 특히 치아의 순면과 협면의 형태에 변형을 초래한 치과 치료를 받지 않았으며, 5) 단정한 안모를 가진 자를 선발 기준으로 정하여 선발하였다. 선정된 정상 교합자의 상, 하악 인상을 채득하고, 교정용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치과 석고모형을 분석하여, Andrews의 Six keys to optimal occlusion에 부합되는 표본을 5 명의 숙련된 교정의사들이 선별하여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 치열의 석고 모형 155쌍(남자 92쌍,여자 63쌍)을 얻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정밀측정장비인 Coordinate Measuring Machine(CMM, MPC802, WEGU-Messtechnik, Germany)을 이용하여 3차원 digitization을 시행하고, 계측프로그램을 작성하여 SWA 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Angulation, Inclination, In-and-Out, Molar offset angle, Arch-form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시행하기 전에, CMM을 이용한 3차 원 digitization의 오차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고,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법과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분석법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치과 석고모형의 3차원 digitization에 CMM을 적용하여 mesh size 0.25 mm, 0.5 mm, 1.0 mm로 등간격 디지타이징하는 것은 모두 받아들일 수 있으며, 측정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1.0 mm간격으로 등간격 디지타이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이 Andrews의 방법에 기반한 수작업 방법보다 신뢰성이 높다. 3. 3차원 digitization과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으로 한국인의 치열의 형태학적 특성에 맞는 SWA의 제작을 위한 자료를 채득하였다.

  • PDF

청소년 석고 모형 분석에 의한 하악절치 형태와 치아밀집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MANDIBULAR INCISOR SHAPE BY MODEL ANALYSIS IN ADOLESCENTS)

  • 서정은;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3-604
    • /
    • 1995
  • 하악 전치의 밀집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교합의 특징중의 하나이며 교정치료후의 안정성과 재발 측면에서도 중요 관심의 대상이다. 이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그동안 많은 요소가 연구되어 왔으며 치아의 크기도 그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아 크기 측정에서는 순설측 폭경의 의미가 간과되어 왔는데 Peck과 Peck이 이상적인 하악 전치부 배열을 가진 경우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평균보다 작고 순설측 폭경은 평균보다 크다는 통계학적 수치를 발표하고 MD/FL index가 하악 전치부 밀집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있어서 하악 절치의 형태 및 크기와 하악 전치부 밀집간의 상관관계, 그들과 전악궁의 치아 밀집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1세에서 17세에 이르는 154명의 석고 모형을 채득하여 Irregularity index 1 미만인 35명의 정상군과 Irregularity index 1 이상인 119명의 밀집군으로 분류하고 석고모형상에서 연관성 있다고 추정되는 계측항목을 측정한 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은 밀집군에서 큰 값을 보였으나 중절치에서만 유의성을 보였고, 순설측 폭경과 MD/FL index는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다. 2. Irregularity index는 밀집군의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MD/FL index와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치관 근원심 폭경 총화와는 순상관 관계를, 하악 견치간 폭경과 제 1 소구치간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상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 overbite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순설측 폭경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TADs와 R-jig를 이용한 상악 구치 원심 이동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using R-jig with TADs)

  • 탁명현;이근영;조진우;지영덕;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65-277
    • /
    • 2014
  • 목적: 고정식 교정장치에서 removable sliding jig (R-jig)와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의 원심 이동 시 힘의 크기와 와이어의 단면 크기에 따른 치아 이동과 치조골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유한요소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적인 치아 크기와 악궁 형태를 가진 상악 치아와 상악 치조골을 3차원 형상 모델링하고,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R-jig를 포함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인 mini-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협측으로 주호선 기준 8 mm 상방 위치시키고, mini-implant를 직접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R-jig에 후방력을 부여하였다. 주호선을 $0.019{\times}0.025$ inch SS로 설정하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를 $0.019{\times}0.025$ inch SS, 후방력의 크기를 200 gm, 결찰을 하지 않는 조건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 후방력의 크기를 다르게 한 조건들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후방력에 의한 R-jig의 변형이 적게 관찰되었지만, 제2대구치의 변위량은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제2대구치에 가해지는 후방력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변위량도 같이 증가하였고, 원심경사 경향과 수직 변위량도 더 커졌다. 결론: R-jig는 임상적으로 큰 부작용 없이 치아의 원심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무치악 악궁에서 구강과 안면 스캔의 정합을 위한 왁스림의 활용 효과 (Effects of wax rim in image registration of intraoral and face scan in edentulous arch condition)

  • 서상혁;이청희;이규복;김소연;이두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3호
    • /
    • pp.135-141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치악 악궁에서 마커가 부착된 왁스림을 이용하여 구강 스캔과 안면 스캔을 정합하는 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무치악 환자에서 3차원 가상 환자를 생성을 위해 구강 및 스캔 영상을 촬영하였다. 두 스캔 간의 정합을 위해 마커를 부착한 왁스림을 제작 후 안면 스캔을 획득하였다. 마커는 직사각형 형태로 하였고, 크기(5, 10 mm)와 부착된 위치(정중부, 견치부)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구강과 안면 스캔 간의 병합은 마커를 이용한 점 기반 자동 매칭 방식을 사용하였다. 정합 정확성 평가는 콘빔 컴퓨터 단층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기준과 비교하였고, 무치악 악궁의 전방부 선상 변이와 전체적 악궁의 3차원 변이를 측정하였다. 통계에는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이 이용되었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고 Bonferroni correction (0.05/6 = 0.083)을 반영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Anterior deviation과 global deviation 결과값에서 전체적으로 5 mm와 10 mm인 군 간의 구강 스캔 위치 변위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중부 마커가 이용된 경우 견치부 마커만 이용된 경우보다 구강 스캔 위치 변위값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무치악 악궁의 구강 스캔과 안면 스캔 간의 영상 병합을 위해 왁스림을 이용할 수 있다. 마커가 정중부에 있는 경우 정합의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다.

전악인상채득시 인상용 트레이가 경석고 모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MPRESSION TRAYS ON THE ACCURACY OF THE STONE CASTS POURED FROM COMPLETE-ARCH IMPRESSIONS)

  • 류수인;장익태;김광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production of stone casts made from complete-arch impressions using different trays. The trays used were : 1) nonperforated custom tray, 2) perforated custom tray, 3) nonperforated Rim-Lock tray, 4) perforated stock tray. Impressions were made from an dentulous acrylic resin model with metal inserts in first premolars and second molars. Transverse distance, sagittal distance and diagonal distance were measured using 4 landmarks. Measurements were made by using 3 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The impression material used was an addition silicone. Impressions were poured at once with a Type IV dental ston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student t-test with a sample size of f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imensional change in according to the tray types. In amount of mean dimensional change, perforated custom tray was the first smallest, nonperforated custom tray was the second, nonperforated Rim-Lock tray and perforated stock tray were the largest. 2.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imensional change between nonperforated custom tray and nonperforated Rim-Lock tray, and between perforated custom tray perforated stock tray. 3. There were s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imensional change between nonperforated custom tray and perforated custom tray, but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nperforated Rim-Lock tray and perforated stock tray. 4.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mount of dimensional change between upper and lower arch in all tray types.

  • PDF

상악 전치의 치열 형태에 따른 스캔 반복 측정 안정성 평가: in vitro 연구 (Evaluation of repeated measurement stability of dentition type of maxillary anterior tooth: an in vitro study)

  • 박동인;손호정;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1-21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eated measurement stability of scans related to dentition type. Methods: A normal model and the crowding and diastema models are also duplicated using duplicating silicon. After that, a plaster model is made using a plaster-type plaster on the duplicate mold, and each model is scanned 5 times by using an extraoral scanner. The gingival part and molar part were deleted from the 3D STL file data obtained through scanning. Using the 3D stl file obtained in this way, data is nested between model groups. Thereafter, RMS values obtained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normality test of the data was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application of repeated measurements with dentition type, and the normality was satisfied. Therefore, the one-way ANOVA test, which is a 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applied, and post-tests were processed by the Scheffe method. Results: The average size of each RMS in the Normal, Diastema, and Crowding groups was Normal> Crowding> Diastema. However, the standard deviation was in the order of Crowding> Normal> Diastema. The average value of each data is as follows. Diastema model was the smallest ($5.51{\pm}0.55{\mu}m$), followed by the crowding model ($12.30{\pm}2.50{\mu}m$). The normal model showed the maximum error ($13.23{\pm}1.06{\mu}m$).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eatability of the scanning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dentition type. Therefore, you should be more careful when scanning the normal intense or crowded dentition than scanning the interdental lining. However, this error value was within the range of applicable errors for all clinical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