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Technology Students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4초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pm}.41$, 의사소통 능력 $3.32{\pm}.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pm}.40$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부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 in Some High School 3rd grade Boys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 임선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0-127
    • /
    • 2019
  • 일부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요인 연구로서 2017년 11월 21일 구강보건교육 후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160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증진행위는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분석하였으며,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3.61점으로 유익성 4.0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증진행위는 3.25점이었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은 중요성(${\beta}=0.396$), 심각성(${\beta}=0.306$), 장애성(${\beta}=-0.170$), 감수성(${\beta}=-0.210$)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위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Revised Version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in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Park, Hye S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4권1호
    • /
    • pp.16-2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Methods: Four hundred and fifty on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completed the revised version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2)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ver. 25.0 software (IBM Co., Armonk, NY, USA). Results: Mean values of the number of positive answers of TM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er scorers on hypochondriasis (Hs), depression (D), paranoia (Pa) (Hs>60, D>64, Pa>59) (p<0.01). Higher scorers on Hs, hysteria (Hy), schizophrenia (Sc), Pa, psychasthenia (Pt) (Hy>64, Sc>64, Pt>64)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ean values of the number of positive answers of contributing factors for TMD (p<0.01, p<0.001). Low scorers on social introversion ($Si{\leq}44$)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mean value of the number of positive answers of contributing factors for TMD than high or moderate scorers on Si (Si>64, 45-64) (p<0.01, p<0.05).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TMD sympto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er scorers on Hs, Pt, D (p<0.05, p<0.01). The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higher scorers on D, Pa reported at least one contributing factor for TMD (p<0.05).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TMD symptom or one contributing factor for TM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divided by T-score on Si (p<0.01, p<0.05). T-scores of Hs, D, Hy, Pt and Sc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s of TMD symptoms and contributing factors for TMD, respectively (p<0.001).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score of Pd and the number of TMD symptoms (p<0.001). T-score of Si correlated to the number of contributing factors for TMD (p<0.001). Conclusions: Most clinical scales of MMPI-2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MD. Psychological assessment including MMPI-2 may play a role in predicting treatment outcome and planning treatment of TM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and Personality Type Test (MBTI)

  • Park, Hye S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9권1호
    • /
    • pp.15-2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Methods: Four hundred eighty-two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complete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Results: Compared to extroverted subjects, a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ntage of introverted subjects demonstrated oral malodor and stress (p<0.05). Tongue coating and stress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intuition-feeling (NF) type, while oral malodor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sensation-feeling (SF) type among four fuctional types. Tongue coating and stress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NF type, while oral malodor seemed to occur the most frequently in sensation-perceiving (SP) type among four tempera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mean scales of tongue scrap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were found for extroverts (p<0.05). Mean scales of tooth brush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NF type among four fuctional types. Mean scales of tongue scraping index and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index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sensation-judging (SJ) type among four temperaments. Conclusions: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was associated with personality typ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Symptoms of Oral Mucosal Diseases and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 Park, Hye S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1호
    • /
    • pp.8-1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vocational interest and personality with oral mucosal diseases. Methods: Three hundred and fifty eight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completed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L form an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oral mucosal diseas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ix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Compared to subjects with good or fair general health status, a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ntage of subjects with bad general health status showed herpetic stomatitis (p<0.01), oral malodor (p<0.01), and glossodynia (p<0.0001). Prevalence of taste disturbanc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core of emotional instability (${\beta}=0.0438$, p=0.0082), anxiety (${\beta}=0.038$, p=0.0174), angry hostility (${\beta}=0.0398$, p=0.0061), depression (${\beta}=0.0443$, p=0.0035), and impulsiveness (${\beta}=0.0358$, p=0.0186) increased. Subjects who strongly felt oral malodor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ales of scores of anxiety and angry hostility than subjects who did not feel oral malodor (p<0.05). Subjects who strongly felt oral malodor manifest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ales of scores of anxiety than subjects who slightly felt oral malodor (p<0.05). Conclusions: Taste disturbance was affected by emotional instability, anxiety, angry hostility, depression, and impulsiveness. Oral malodor was related to anxiety and angry hostility. Therefore, psychological aspects of taste disturbance and oral malodor could be evaluated by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L form.

교합학 교과목 완전학습을 위한 개인별 취약단원 진단 및 보완 교수.학습 방법 (A Teaching Method of Detecting and Improving Individual Weakpoints in the Course of Occlusion)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1-18
    • /
    • 2010
  • 치기공과의 1학년에 개설된 교합학 개론은 치과기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 2,3학년에서 배우게 되는 보철 및 교정 치과기공에 관련된 임상전공과목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수직 수평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이 과목의 어느 단원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지 못하고 넘어가 버리면 다른 치과기공 관련 과목의 일정 부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교육평가에 C-언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학생마다의 취약단원을 진단해서 알려주고 그 부분을 집중 반복 학습하도록 하여 완전학습을 구현하는 교수 학습법을 개발하였다. 각 단원의 세부항목에서 출제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채점한 후, 개발한 C-언어 컴퓨터 프로그램에 각 학생의 틀린 문항을 입력하여 문항의 출처단원이 나타나면 이것을 각각 출력하여 학생에게 나누어 준다. 학생은 그 부분을 스스로 학습해서 다음 주 수업시간에 파워포인트로 발표하고 보고서를 제출한다. 틀린 문제가 많으면 학습량이 많아지고, 극단적으로 틀린 문제가 없으면 과제물도 없으므로 형성평가 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한다. 결국 시험 다음 주 수업시간에 거의 모든 학생들이 과제물을 발표하게 되어 거의 모든 문항에 대해 복습하는 효과를 가져 완전학습이 되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이 많이 틀리는 단원을 교수자도 알게 되어 그 원인을 분석하여 다음 해의 수업에서 그 단원에 대한 수업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특정 과목에서 자신의 취약 단원이 어디인지를 모르거나 혹은 알더라도 그 곳을 해결하지 않은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른 전공교과목간의 수직 수평 연계성이 강해서 반드시 일정 수준 이상의 학업성취가 요구되는 교과목에 본 교수 학습 모형을 선별적으로 적용하면 평균적인 학생이 완전학습에 도달하리라 사료된다.

경기도 지역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증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91-104
    • /
    • 2007
  • 측두하악장애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기여요인들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두하악장애증상의 증상별 빈도, 성별, 연령별 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중 한 가지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주관적 증상을 가진 자는 80.6%였다. 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증상은 두통(45.7%)이고 그 다음이 관절음(43.5%)이었는데 두 가지 모두 남녀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20대 남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 부정교합 증상 비율이 낮았으며, 20대 여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4.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증상으로는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턱 피곤함, 급성 부정교합 증상이 있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기여요인으로는 턱 괴기, 스트레스, 껌씹기, 불면증, 이악물기가 있다. 5. 기여요인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이악물기, 불면증, 편측저작, 턱 괴기, 스트레스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보통 성격과 관련성이 높았다.

어린이에서 실란트 시술에 의한 타액 및 요 중 비스페놀-A 농도변화 (Impact of the Sealant on Salivary and Urinary Bisphenol-A Concentration in Children)

  • 김은경;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2-37
    • /
    • 2015
  • 이 연구는 대도시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란트 수복 전후에 따른 타액 및 요 중 비스페놀-A를 조사하였다. 개입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9명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구성비는 남학생 77.8%, 여학생 22.2%였으며, 개인당 평균 5.9개의 치면에 대해 홈메우기 시술이 수행되었다. 타액 내 비스페놀-A 농도는 실란트 충전 전 $1.41{\mu}g/L$에 비해 충전 후 $2.43{\mu}g/L$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크레아틴을 보정한 요 중 비스페놀-A 농도는 실란트 충전 전 $2.89{\mu}g/g{\cdot}$creatinine에 비해 24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4.08{\mu}g/g{\cdot}$creatinine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았을 때, 어린이에서 실란트 및 복합레진 충전 치면수와 요 중 비스페놀-A가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부족하므로 환경적 잠재 위험인자를 고려한 좀 더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공간선량률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Dose Rates during Dental Panoramic Radiography)

  • 고종경;박명환;김용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09-516
    • /
    • 2016
  • 저선량 장시간(15초 내외) X선을 조사하는 치과 파노라마 촬영장치는 교육 목적의 사용에는 원자력안전법의 규제를 받으며, 이에 따라 방사선안전 설비(경보장치, 인터록)를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방사선량 및 공간선량률을 측정하여 방사선안전 설비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 등의 방사선방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치과 파노라마 전용팬텀의 직접 피폭부위인 치아와 간접 피폭부위인 수정체와 갑상선에서 유리선량계 소자(GD-352M)를 부착한 후 X선을 3회 반복 조사하여 형광유리선량계 시스템으로 선량을 판독하였다. 팬텀 절치부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을 $45^{\circ}$ 각도로 분류하여 7방향으로 구획하여 각 방향마다 30, 60, 90, 120 cm의 거리에서 공간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직접 피폭부위는 최대 $984.5{\mu}Gy$가 측정되었다. 공간선량률은 30 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0 cm로 거리가 증가할수록 선량이 감소하였다. 방향에 따라서는 30 cm 거리에서 회전 시작부위의 공간선량률이 $3,840{\mu}Sv/h$로 가장 낮은 부위인 $778{\mu}Sv/h$에 비해 4배 차이가 났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위치할 수 있는 60 cm 거리에서의 공간선량률은 평균 $408{\mu}Sv/h$로 측정되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 방사선관리구역 내에 의도하지 않은 피폭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피폭선량 예측이 가능하도록 공간선량률에 대한 방사선안전 교육이 필요하지만, 현재 의료법에 의해 의료기관에서는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인터록 등의 설비는 교육용 치과 파노라마 촬영실의 공간선량률이 낮은 것을 감안할 때 원자력안전법에서 의무화 되어 있는 것은 과한 규제로 사료된다.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 이태용;김정숙;이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71-379
    • /
    • 2015
  • 본 연구는 SCL-90-R을 이용해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대전과 강원지역의 20-31세 대학생 294명(남자 140명,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2014년 03월 0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하악 사용과 관련된 구강 내 악습관 중 이갈이와 편측 저작이 측두하악 장애증상의 심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간이 정신진단검사(SCL-90-R) 결과 공포불안(PHOB)를 제외한 항목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들의 심리특성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변수를 통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심리특성 요인중 신체화(SPM) 척도만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