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laque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4초

구강 세균 채취법에 따른 세균의 다양성과 양 분석을 위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diversity and quantity analysis of oral bacteria according to the sampling methods)

  • 심선주;김지혜;신혜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39
    • /
    • 2024
  • Objectives: Oral bacterial samples included subgingival, supragingival, and saliva plaques. As the diversity and number of microorganisms deffer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oral cavity and the method used, an appropriate and reliable collection method is importa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oral bacterial sampling methods. Methods: Supragingival dental plaque was collected from the buccal and lingual tooth surfaces of study participants using sterilized cotton swabs. Plaques were collected from the subgingival area using a sterilized curette. Bacterial genomic DNA was extracted using MagNA Pure 96 DNA and Viral NA low-volume kits.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owerCheckTM Periodontitis Pathogens Multiplex Real-time PCR kit. Result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revotella intermedia, and Fusobacterium nucleatum of the orange complex were not observed in the subgingival biofilms of all study participants.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upragingival, subgingival, and total tooth surface biofilms. Compared to the supragingival and subgingival biofilmss, total tooth surface biofilm exhibited the highest bacterial count when the inswabbing method was us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pragingival swab method is recommended for oral bacterial research.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치아우식활성검사 연구 (A Study on Dental Caries Activity Test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in Their 20s)

  • 윤미숙;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65-4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대생에게 개인에 따라 치아우식증 발생에 작용하는 서로 다른 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치아우식병 발생요인 중 타액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타액분비율, 타액점조도, 타액완충능을 조사하였으며, 치면세균막내 산체류도 치아우식증에 큰 영향을 주기에 치면세균막 수소이온농도를 함께 조사 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는 20대 여대생의 치아우식활성검사 결과판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치아우식증 발생요인을 규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1. 조사 대상자의 평균 우식치아는 1.67개 이었으며, 치아우식으로 인한 발거치아는 0.47개 충전치아는 6.31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균 영구치우식경험치아는 8.44개로 조사되었다. 2. 치아우식활성검사 방법에 따른 성적으로는 평균 자극성타액분비량은 $12.56{\pm}4.15ml$, 비자극성타액분비량은 $3.89{\pm}1.83ml$, 타액점조도는 $1.49{\pm}0.69$, 타액완충능은 $8.51{\pm}2.44$, 치면세균막 수소이온농도검사는 양치전 $5.62{\pm}0.50$, 양치후 5분 $5.23{\pm}0.58$, 양치후 10분 $5.25{\pm}0.56$, 양치후 15분 $5.29{\pm}0.62$, 양치후 20분 $5.34{\pm}0.58$, 양치후 25분 $5.40{\pm}0.53$, 양치후 30분 $5.61{\pm}0.59$로 나타났다. 3. 자극성타액 및 비자극성타액 분비량, 타액점조도, 타액완충능은 비우식집단이 우식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치면세균막 수소이온 농도는 진행 중인 치아우식증이 있는 자와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비우식집단이 우식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4. 우식활성검사방법간의 상관관계는 자극성타액분비량은 비자극성 타액분비량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으며(p<0.001), 비자극성타액분비량은 타액완충능과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p<0.01). 치면세균막 수소이온농도 검사는 양치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의 상관을 보였으나, 타액점조도 및 타액완충능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p>0.05).

Fructan 생성 S. salivarius의 인공치태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FRUCTAN-PRODUCING S. SALIVARIUS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 박소영;박은혜;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03
  • 구강 질환으로 중요한 치아우식증은 구강 세균 중 Streptococcu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Streptococcus salivarius는 사람의 구강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구강으로 부터 분리된 9주의 S. salivarius의 특성과 S. mutans 및 Streptococcus oralis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 mutans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204.9 mg이었으나, S. mutans와 분리된 S. salivarius의 혼합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1.9 mg에서 20.6 mg으로 S. mutans 단독 배양시와 큰 차이가 있었다(p<0.05). 배양 후 생균수 검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의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평균 117.1 mg인데 반해, 5% 자당이 함유된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는 평균 47.7 mg이었다. 3. 분리된 S. salivarius의 배양 상청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분리균주가 형성한 중합체는 프럭탄 (fructan)이었다. 4.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프럭탄의 일종인 inulin과 levan 모두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프럭탄을 생성하는 S. salivarius는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

비글견에서 치태와 치석, 치은 염증의 조사 (Investigation of Dental Plaque, Calculus and Gingival Inflammation in Beagle Dogs)

  • 김중현;류학현;이재영;한규보;김소섭;강성수;배춘식;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5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f dental plaque, calculus and gingival inflammation in Beagle dogs. Forty adults Beagle dogs (28 male and 12 femal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ogs weighed 9.5 kg and were in good oral and systemic health as determin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all dogs had full and normal dentition. The dogs were given a commercial pellet feed during 2 years period. For all examination procedures, the dogs were premedicated with a subcutaneous injection of atropine sulfate (0.04 mg/kg). Anesthesia was induced and maintained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ketamine (8 mg/kg) and xylazine (2 mg/kg). Dental plaque, calculus and gingival inflammation were assessed by Logan and Boyce clinical plaque index. Calculi covering the maxillary carnassial and first molar teeth were extensive and were accompanied by severe gingival inflammation and pocket formation. Calculi, accompanied by gingival inflammation, were clearly evident on buccal surfaces of other teeth. Calculi didn't showed on the lingual surfaces, but linguogingival inflammation formed in premolar teeth. Although the general pattern was clear, there was considerable variation among dogs in the rate of deposition of calculus and extend of gingival inflammation.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feeding of the commercial dry food without dental hygiene increase plaque accumulation and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in calculi formation and periodontal disease.

Streptococcus mutans의 치태형성에 대한 Leuconostoc lactis 51의 영향 (THE EFFECT OF LEUCONOSTOC LACTIS 51 AGAINST THE PLAQUE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 김태근;양규호;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9-557
    • /
    • 2000
  • 치아우식증은 치아구조의 국소적, 침윤적, 분자적인 붕괴로 특징지워지는 치아 경조직에 대한 세균성질환이다. 이런 치아 우식증의 주 원인균인 S. mutans의 치태형성과 증식에 대해 아동의 구강에서 분리된 L. lactis 51의 작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배양시 S. mutans 단독배양에 비해 치태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2. S. mutans는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 배양에 비교하여 S. mutans 단독배양시에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3. S. mutans와 L. lactis 51은 M17Y broth에서 단독 및 혼합배양시 배양 12시간 때까지 증가하다가 24시간 때에 감소 하였으나, M17YS broth에서는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배양시 S. mutans의 생균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4. L. lactis 51의 배양 상청액은 S. mutans의 치태형성과 증식에 대해 억제 작용을 하지 못하였다. 5. M17YS broth에서의 L. lactis 51 배양 상청액 성분의 thin layer chromatography에서 자당과 과당이 계속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L. lactis 51는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과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 종류의 치약이 치태침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TWO DIFFERENT DENTIFRICES ON THE DENTAL PLAQUE DEPOSIT)

  • 한수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9호통권112호
    • /
    • pp.695-701
    • /
    • 1978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4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상악 좌우측제1대구치 협, 구개면 하악 좌우측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순설면의 치태 침착 여부를 시판중인 럭키치약과 환인소금치약의 치태침착억제 효과를 1일, 5일, 10일, 14일, 21일, 28일째 Son and Muhlemann plaque index로 조사한 결과 환인소금치약이 럭키치약에 비해 낮은 치티지수를 얻었지만 (실험첫날과 마지막날의 치태지수의 감소백분율로 보면 환인소금치약의 경우 22.63%, 럭키치약의 경우 12.21%를 얻었다.) 통계학적으로 별다른 의미를 찾을 수 없었다.

  • PDF

일부 근로자의 혈압 및 혈당과 치주건강상태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Finding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isease of some Workers)

  • 구인영;문선정;가경환;이명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dustrial workers to develop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chronic disease and oral healt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by conducting comparison analysis of periodontal health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isease, and by understanding of influencing factor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n 4,600 workers in certain areas from March 22, 2010 to June 18, 2010.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by having high plaque and gingivitis ratio in the people who had the findings of hypertension and having high plaque ratio in the people who had the findings of diabetes disease. Regarding the influence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gender, age, whether the subject visited a dental hospital, whether the subject had scaling treatment, smoking, and hypertension had influenced gingivitis. And gender, age, whether the subject visited a dental hospital, whether the subject had scaling treatment, smoking, and hypertension had influenced plaque. And the aforementioned 2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conclusion is established that metabolic syndrome which is measured during the health exam of workers is an important disease potentially threatening the health of workers and also highly related to oral health.

일부 대학생의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ygiene Status and Self-perception Halitosi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27-2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구강위생관리 습관 및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고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조사는 2019년 9월 23일부터 2019년 12월 6일까지 대전 K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실습을 위해 방문한 참여자 중 23세 이하의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치아부착물 정도는 B등급,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는 '보통', 설태량은 '양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취자각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은 설태량과 치아부착물 등급과 학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은 서로 연관성이 있었으며, 구강위생상태가 구취자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흥미롭고, 실천 가능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방안 마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QscanTM을 이용한 노인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 김미;이수영;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5-56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arried out by oral health education from January 17 to March 7, 2015. The subjects were 64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had more than one remaining teeth in the anterior teeth and canines living in Hongseong-gun and assigned to 33 control group and 31 intervention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was measured only by $Qscan^{TM}$. The educational effect between two groups were evaluated using oral health behavior, gingivitis index, and plaque index. Af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Namseoul N University, the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lower plaque index of percent re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ingival index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behavior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Conclusions: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motivation of $Qscan^{TM}$ was very effective in the comparison of oral health behavior,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