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Morphology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3초

치과대학생의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요소 분석 및 인식도 평가 (Analysis of esthetic factors and evaluation of esthetic perception for maxillary anteriors of dental students)

  • 김선경;김옥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8-126
    • /
    • 2019
  • 목적: 상악 전치부에 대한 심미적 요소들에 대하여 조사하고 남녀 간 차이 및 개인 심미적 인식도와의 연관성이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치주적으로 건강한 25 - 35세의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생 70명을 대상으로 상악 모형을 제작하였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사진을 촬영하고 계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 전치의 근 원심 최대 시각적 폭경과 치은 정점의 수직적 위치, 중절치의 최대 높이를 계측하였고 중절치의 치관 형태를 분류하였다. 참가자들의 심미 인식도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상악 전치 시각적 폭경 비율의 경우 우측은 1.38:1:0.78, 좌측은 1.41:1:0.81의 평균값을 가졌고 황금 비율과는 차이가 있었다. 중절치관의 폭경 대 장경 비율의 경우 우측은 0.84, 좌측은 0.83의 평균값을 가졌다. 치은 정점의 위치의 경우 중절치는 원심측, 측절치는 중심, 견치는 원심측에 주로 위치하였다. 상악 전치부 시각적 폭경 비율, 중절치 폭경 대 장경 비율, 치은 정점 위치, 치관 형태, 미소시 치은 노출 정도는 남녀 간 차이가 없었고 이런 요소들과 안모의 형태와 참가자들의 심미적 인식도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참가자들은 상악 전치 시각적 폭경의 황금비율 및 중절치 치관의 이상적 폭경 대 장경 비율과는 일치하지 않았지만 상악 전치부 심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심미적 인식은 참가자들의 수치화된 객관적 지표보다는 주관적 판단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생체 유리와 소다 유리침투에 따른 알루미나 세라믹의 굴곡 강도 및 PBS에서의 표면 생성물 연구 (Bending strength of alumina coated with bioglass and soda lime glass and the precipitation on the surface of coated alumina in PBS)

  • 유재양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45
    • /
    • 2008
  • Titanium and its alloys are widely used as dental implants materials because of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the alumina and zirconia ceramics are preferred to use as the substitute of Ti implants because there is a problems in esthetics and biocompatibility in Ti implant. The the glass infiltrated alumina ceramics are studied to increase the toughness and biocompatibility. The 45S5 and soda-lime glass powder was mixed with ethanol at ratio of 1:1 and brushed on the surface of alumina. Then it was heat treated in the electric furnace at $1400^{\circ}C$ from 30 min. to 5 hours. The glass powder was controlled from 200 to $350{\mu}m$ using ball milling. After heat treatment, the glass infiltrated specimen was tested in universal testing machine to measure the bending strength. The surface microstructure of each specimen was observed with SEM. The biocompatibility of 45S5 and soda-lime glass coated alumina was investigated using PBS at $36.5^{\circ}C$ incubator. The specimen was immersed in PBS for 3, 5, 7, 10 days. After that, the surface morphology was investigated with SEM.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45S5 bioglass infiltrated alumina show the increase of bend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heat treatment time from 30 min. to 5 hours at $1400^{\circ}C$ Finally the 1370N bending strength of alumina increased to 1958N at 5 hours heat treatment, which shows 1.4 times higher. In contrast to this, the soda lime glass infiltrated alumina ceramics shows the convex curve according to heat treatment time. Thus it shows maximum bending strength of 1820N at 1 hour heat treatment of $1400^{\circ}C$ It gives 1.3 times higher. However, the bending strength of soda lime glass infiltrated alumina is decreasing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ime after 1 hour. The precipitation on the surface of 45S5 glass infiltrated alumina was revealed as a sodium phosphate ($Na_{6}P_{6}O_{24}6H_{2}O$)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increasing with increasing of immersion time in PBS. In contrast to this, there is no precipitation a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soda lime glass infiltrated alumina. This implies that 45S5 glass infiltrated alumina brings more biocompatible when it is implanted in human body.

  • PDF

전악수복환자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한 교합평면 재구성 증례 (Reestablishing the occlusal plane in full mouth rehabilitation patient, using Shilla system)

  • 양민수;방몽숙;박상원;임현필;윤귀덕;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3-38
    • /
    • 2013
  • 교합평면은 시상면적인 치열궁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악구강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인 교합을 형태적으로 구성한다. 본 증례에서는 생체의 정중 시상면에 대한 수평, 측방좌표를 교합기상에 재현하여 상하악 치아 및 결손부 치조제에 대한 좌우 동적인 위치관계 얻기 위해 Shilla system (Hamans,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교합평면을 재구성 하였다. 본 증례의 환자는 41세의 남자 환자로 상악 전치부 10본금속-도재 고정성국소의치 파절 및 탈락과 전반적인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방사선 검사, 모형분석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Gothic Arch device (Centrofix; AmannGirrbach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악간관계를 채득하고 마운팅 후,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기존 교합평면을 평가, 분석하여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토대로 방사선 스텐트를 제작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였고, 진단 납형을 이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수복물의 형태 및 교합 양식을 재현하기 위해 맞춤 전방유도판을 제작하고,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수복물은 지르코니아 코핑을 이용한 완전 도재관으로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악수복환자에서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Shilla system을 이용하여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화된 상아질의 접합 양상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BONDING ASPECTS TO THE SCLEROTIC DENTIN)

  • 이린;이형일;이광원;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228-243
    • /
    • 1997
  • The changes of microstructures, morphology of sclerotic dentin and bonding aspects generated by an adhesive resin was investigated. Incisors and premolars showing natural cervical abrasions were collected and conditioned with 10 % phosphoric acid or 10 % maleic acid.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s were then rinsed and blot-dried and applied with dentin adhesive (All Bond 2) to the conditioned dentin surface. To examine the morphologic change of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 after etching and bonding procedure, the treated specimens were examined by SEM.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clerotic dentin and crystals occluding dentinal tubules,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 was powdered and examined with X-ray Diffractometer. To investigate the Ca/P weight percent ratio within the dentinal tubules,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 was fractur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from the center of cervical abrasion lesion and then examined with EDX(Energy Dispersive X-ray) microanalyz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reased width of peritubular dentin and the depositions of the irregular amorphous materials within the dentinal tubules were showed in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s. 2. After the treatment of sclerotic dentin specimen with 10 % phosphoric acid or 10 % maleic acid, the lateral side of tubules rather than cross-sectional tubule openings was showed exclusively at the incisal and gingival incline of the specimens. 3. After the treatment of sclerotic dentin specimen with 10 % phosphoric acid or 10 % maleic acid, the hybrid layer was not formed evidently and the resin tag was not formed or shortly penetrated into the tubules with the thinner diameter.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XRD analysis of the sclerotic dentin specimen, Hydroxyapatite and Octacalcium phosphate were predominent, however, Whitlockite crystals were rare. 5. The mean Ca/P weight percent ratio analysed from 5 fractured sclerotic dentin specimens was $2.322{\pm}0.170$ at the intertubular dentin, $1.826{\pm}0.051$ within the dentinal tubule.

  • PDF

알칼리 이온수의 의치 미생물에 대한 세정효과에 관한 연구 (Cleansing effect of the alkaline ionized water on microorganisms of the denture surface)

  • 김영미;최유성;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8-144
    • /
    • 2011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알칼리 이온수 e-WASH의 의치에 부착된 미생물 의치세정 효과에 대해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 관찰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군 41개, 대조군 26개의 의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에서는 알칼리 이온수e-WASH로, 대조군에서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 전, 후 의치 내면의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였다. 위상차현미경으로 구강미생물의 형태적, 종류별 양과 운동성에 대하여 세정 전, 후별 구강미생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세정 전보다 세정 후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감소하였다 (P<.05). 한편 대조군에서는 구균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P<.05),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세정 전, 후 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알칼리 이온수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수돗물로 의치를 세정한 대조군보다 각 구강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이 적게 나타났다 (P<.05). 결론: 위의 결과를 통해 알칼리 이온수 e-WASH가 의치표면의 각종 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의치세정제로 추천된다.

Plasma Arc와 35% Carbamaide Peroxide의 미백효과와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Bleaching Effect of Plasma Are and 35% Carbamaide Peroxide and its Influence on the Enamel Surface)

  • 구효진;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25-530
    • /
    • 2009
  • 이 연구는 35% 과산화요소를 이용한 전문가 치아미백술에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하여 플라즈마 아크가 법랑질의 색조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비커스경도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in vitro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백 횟수의 증가에 따라 색조변화량(${\Delta}E^*$)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미백 제만 단독으로 적용한 대조군 보다 플라즈마 아프를 함께 적용하여 미백처리를 한 실험군의 색조변화량(${\Delta}E^*$)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미백처리 전 후 법랑질의 미세경도 측정 값을 분석한 결과 미백 처치를 함으로써 미세경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미백제에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한 실험군에서 더 큰 미세경도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미백 처치를 한 시료에서 법랑질 표면이 상당히 거칠어진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문가 치아미백술에서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색조변화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으나, 법랑질 표면의 미세경도와 형태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미백 효과는 증가시키면서 법랑질의 형태와 구조는 변화시키지 않는 안전한 미백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두증 골형성이상 원발성 왜소증 제 II 형의 치과적 특성 (Dental Characteristics of Microcephalic Osteodysplastic Primordial Dwarfism Type II)

  • 박해민;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이상훈;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0-63
    • /
    • 2021
  • 소두증 골형성이상 원발성 왜소증 제 II 형(MOPD II)은 원발성 왜소증의 일종으로 pericentrin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이번 연구는 MOPD II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소견과 더불어 치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MOPD II 환자의 발치된 하악 제2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세 전산화 단층 촬영, 주사형 전자 현미경과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법 및 비커스 미세경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OPD II 치아는 정상 치아와 비교 시 치근 및 치수의 이형성을 보였으며 크기가 작았다. 치아의 무기질 밀도는 법랑질에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상아질에서는 치근 1/2 및 치근단 부위에서 MOPD II 치아가 정상 치아보다 작게 나타났다. 미세경도의 비교 시 교두 법랑질과 치근 1/2 및 치근단 부위의 상아질에서 MOPD II 치아의 미세경도가 정상 치아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MOPD II의 치과적인 특징 및 치아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질환의 구강 내 소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치과 치료 시 주의점을 확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reponema Denticola와 Treponema Lecithinolyticum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and Treponema Lecithinolyticum 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정학;최봉규;문익상;조규성;채중규;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311-32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강내 spirochetes 균 중 Treponema denticola(TDC)와 가장 최근에 분리 배양된 Treponema lecithinolyticum(TLC)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spirochtes 균주를 배양한후 MTT test를 이용한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형태의 변화를 관찰 하였으며, LDH(lactate dehydrogenase) test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과, gelatin zymography를 시행하여 교원질 분해효소의 하나인 gelatinase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정한 반응시간에서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효과에서는 TLC의 경우 높은 농도$(150{\mu}g/well)$에서부터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TDC에서는 낮은 농도$(9.4{\mu}g/well)$에서도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2. 일정한 농도에서 시간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효과에서는 TLC의 경우 2일째 $150{\mu}g/well$ 농도에서부터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TDC에서는 $9.4{\mu}g/well$ 농도에서는 2일째에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열처리한 세균의 세포증식 억제 효과에서는 TDC의 경우에서 열처리 시킨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TLC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한 치주인대세포의 형태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세포 형태의 손상으로 방추형이 소실되었고 세포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세포끼리의 연결 또한 끊어져 분리되어 있었다. 5.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LDH test에서는 대조군, 실험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6. Zymography를 통한 교원질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TDC와 TLC에 의한 분자량 72kDa의 progelatinase A가 활성형으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TLC와 TDC는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통해 치주인대세포에 영향을 미치며, 교원질 분해 효소 Type IV의 하나인 progelatinase A를 활성형으로 발현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혼합치열기 II급 1류 부정교합 어린이의 구개형태 :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연구 (THE PALATAL MORPHOLOGY OF THE CHILDREN WITH CLASS II DIV.1 MALOCCLUSION IN MIXED DENTITION : A STUDY US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 양정현;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0-27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Hellman dental age III A)의 II급1류 부정교합과 정상교합 어린이간에 구개용적 및 전방구개경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대상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골격성 II급1류 부정교합 환자 중 혼합치열기 어린이 31명과 서울시 치과의사회에서 주관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건치어린이 선발대회 후보 중 교합양상이 정상이며 안모상 정상범주에 속하는 29명이었으며, 기준에 적합한 60개의 상악모형을 3차원 레이저 스캐너(Breuckmann opto-TOP HE, INUS, Korea)로 스캔한 후 Rapidform 2004 프로그램 (INUS, Korea)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구개용적과 시상분할면 상에서의 전방구개경사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95% 신뢰수준에서 independent samples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혼합치열기의 II급1류 부정교합 어린이는 정상교합 어린이에 비해 평균구개용적이 유의하게 작은 경향을 보였다(p<0.05). 2. 혼합치열기의 II급1류 부정교합과 정상교합 어린이 사이에서 전방구개경사와 구개고경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혼합치열기의 II급1류 부정교합 어린이는 정상교합 어린이에 비해 구개장경이 유의하게 길었다(p<0.01). 4. 혼합치열기의 II급1류 부정교합 어린이는 정상교합 어린이에 비해 견치간 구개폭경(p<0.05)과 대구치간 구개폭경(p<0.01)이 유의하게 좁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성장 중인 쥐에서 음식물의 경도가 하악 과두의 해면골에 미치는 영향 : 미세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연구 (THE EFFECTS OF DIETARY CONSISTENCY ON THE TRABECULAR BONE ARCHITECTURE IN GROWING MOUSE MANDIBULAR CONDYLE : A STUDY USING MICRO-CONFUTED TOMOGRAPHY)

  • 윤석희;이상대;김정욱;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8-235
    • /
    • 2004
  • 하악 과두의 발달과 증식은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생역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부위에 전달되는 생역학적 하중은 섭취하는 음식물의 경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성장 중인 쥐에서 부드러운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 저작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하악 과두의 해면골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미세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생후 21일 된 C57BL/6 쥐 36마리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8주 동안 대조군의 쥐들은 일반적인 딱딱한 덩어리의 사료를, 실험군의 쥐들은 덩어리의 사료를 잘게 갈은 후 물과 섞어 부드럽게 만들어 먹였다. 또한 실험군의 쥐들의 하악 절치를 일주일에 두 번씩 잘라서 짧게 만들었다. 8주 후 모든 쥐들을 희생하여 우측 하악 과두를 준비하였다. 미세전산화 단층촬영과 삼차원 영상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악 과두 해면골의 bone volume(BV), bone surface(BS), total volume(TV) bone volume fraction(BV/TV), surface to volume ratio(BS/BV), trabecular thickness(Tb. Th.), structure model index(SMI)와 degree of anisotropy(DA)를 측정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trabecular number(Tb. N.)와 trabecular separation (Tb. Sp.)을 계산하였다 미세전산화 단층영상을 얻은 후 하악 과두의 조직 표본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Bone volume fraction(BV/TV), trabecular thickness(Tb. Th.)와 trabecular number(Tb. N.)가 대조군에 비해 부드러운 음식을 먹인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2. Trabecular separation(Tb. Sp.)은 부드러운 음식을 먹인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Surface to volume ratio(BS/BV), structure model index(SMI), degree of anisotropy (DA)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조직 절편을 관찰한 결과, 부드러운 사료를 먹인 실험군에서 하악 과두의 연골층의 증식 층과 전체 두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