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Caries

검색결과 1,484건 처리시간 0.023초

지각과민 처치제 후 접착레진 처리가 상아질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sensitizing agents, bonding resin and tooth brushing on dentin permeability, in vitro)

  • 홍승우;박노제;박영범;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65-176
    • /
    • 2014
  • 목적: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지각과민 처치제의 효과는 일시적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상당부분 칫솔질에 의한 마모소실로 판단된다. 지각과민 처치제의 칫솔질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bonding resin을 지각과민 처치제에 추가 도포하여 칫솔질 시행 후 상아질 투과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우식이 없는 치아를 이용하여 1 mm 두께의 치관부 상아질 디스크를 제작한 다음, All-Bond 2$^{(R)}$, Seal & Protect$^{(R)}$, Gluma$^{(R)}$, MS Coat$^{(R)}$의 4 종류의 지각과민 처치제만 처리한 시편과 Dentine/Enamel Bonding Resin$^{(R)}$ (Bisco Inc.)을 추가로 도포한 시편에 대해 처리하기 전과 처리한 후, 1주(왕복 140회), 2주(왕복 280회), 6주(왕복 840회)에 해당하는 칫솔질을 적용한 후에 측정한 hydraulic conductance (Lp)와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지각과민 처치제 만을 처리한 군과 bonding resin (Dentine/Enamel Bonding Resin$^{(R)}$)을 추가 도포한 군 모두에서 처리 직후 hydraulic conductance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지각과민 처치제만 처리한 군과 bonding resin을 추가 도포한 군 간의 hydraulic conductance를 비교한 결과 All-Bond 2$^{(R)}$, Gluma$^{(R)}$, MS Coat$^{(R)}$와 bonding resin을 도포한 군에서는 1주(왕복 140회), 2주(왕복 280회), 6주(왕복 840회)의 칫솔질을 시행한 후 hydraulic conductance가 지각과민 처치제만 도포한 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Seal & Protect$^{(R)}$ 에서는 6주(왕복840회)의 칫솔질을 시행한 후에만 같은 결과를 보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에서 지각과민 처치제만 처리한 군과 bonding resin을 추가로 도포한 군 모두에서 처리 직후에 상아세관이 완전히 폐쇄되거나 일부만 폐쇄되어 상아 세관의 내경이 감소된 양상을 볼 수 있었으나, 6주(왕복 840회) 칫솔질 시행 후에는 bonding resin을 추가 도포한 군에서만 현저하게 폐쇄 또는 내경이 감소된 상아세관이 관찰되었다. 결론: 지각과민 처치제 처리 후 bonding resin (Dentine/Enamel Bonding Resin$^{(R)}$, Bisco Inc.)을 추가 도포하는 것이 지속적인 상아세관 폐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SrF_2$계 충진재를 함유한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특성 (PROPERTIES OF LIGHT-CURED COMPOSITE RESINS CONTAINING $SrF_2$, GLASS FILLER)

  • 김희정;김경남;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4-66
    • /
    • 2001
  •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시키기 위해 총 복합레진 중 불소의 함량이 각각 8, 16, 24wt%가 되도록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하여 3종의 수복용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VF8, VF16, VF24)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 및 불소방출량을 기존의 복합레진 제품인 Heliomolar(HE), Veridonfil(VE), Z100(ZH), Aelitefil(AE) 등의 대조군과 비교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험군의 3점 굽힘강도는 ZH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다른 대조군인 AE, VE와 비슷하였고, HE보다는 우수하였으며, 시험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2. 시험군의 표면경도는 ZH보다 낮았고, AE, VE와 유사하였으며, 불소 방출 대조군인 HE보다는 높았다(p<0.05). 시험군 중에서는 VF16, VF24가 VF8에 비해 표면경도가 높았다(p<0.05). 3. 시험군의 마모도는 대조군인 HE, ZH보다 낮았으며, 시험군 중에서는 VF16, VF24가 VF8에 비해 낮은 마모도를 나타내었다(p<0.05). 4. 시험군의 물흡수도는 대조군인 HE, VE, AE와 유사하였으며 ZH보다는 낮았다(p<0.05). 시험군의 용해도는 대조군인 HE와 유의차가 없었으며, VE, ZH, AE보다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p<0.05). 5. 시험군은 대조군인 HE보다 $9\sim23$배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하였으며, 시험군의 불소방출량은 $SrF_2$계 충진재의 함유량과 비례하였다. 6. 시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약한 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한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의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은 기존의 복합레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소방출량은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현저히 높아 이차우식증에 대한 항우식효과도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시판되는 생수 내 무기물 함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MINERAL CONTENTS OF BOTTLED WATER)

  • 소유려;백병주;김재곤;양연미;김하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4-411
    • /
    • 2009
  • 생수 내에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불소는 생수통에 반드시 표기해야 할 무기물이다. 칼슘, 마그네슘,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치아형성에 관여하며, 적절하게 섭취시 치아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다. 현행 먹는 샘물 수질기준에 따르면 무해무기물질인 칼슘과 마그네슘에 대한 기준치는 없으며, 유해무기물질인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2 mgF/L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수 15종을 대상으로 칼슘, 마그네슘,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생수 내 무기물 함량의 표기 여부 및 무기물 농도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5개의 생수 중 1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칼슘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칼슘농도는 34.68${\pm}$31.84 mg/L, 최대 128.91${\pm}$1.85 mg/L, 최소 2.0${\pm}$0.02 mg/L이었다. 2. 15개의 생수 중 2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마그네슘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마그네슘 농도는 9.22${\pm}$11.06 mg/L, 최대 30.43${\pm}$0.75 mg/L, 최소 0.0 mg/L이었다. 3. 15개의 생수 중 4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불소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불소 농도는 0.25${\pm}$0.33 mg/L, 최대 1.13${\pm}$0.04 mg/L, 최소 0.01${\pm}$0.03 mg/L이었다. 모두 생수는 현행 먹는 샘물 기준치인 2 mg F/L이하에는 만족시켰다.

  • PDF

Indocyanine Green과 근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의 Streptococcus mutans 세균막에 대한 억제 효과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Inhibition Effect of Indocyanine Green and Near Infrared Diode Laser)

  • 김여원;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6-45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Indocyanine Green(ICG)과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 다이오드 레이저가 Streptococcus mutans 세균막에 미치는 효과를 ICG 용액의 농도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었다. Hydroxyapatite disk에 S. mutans 세균막을 형성하여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킨 0.5, 1.0, 2.0, 3.0, 4.0, 5.0 mg/mL의 ICG 용액과 300 mW의 출력, 808 nm의 파장을 가지는 NIR 다이오드 레이저를 적용하였다. 모든 표본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1채널 열전대 온도계와 Thermocouple을 이용하여 광조사 시에 ICG 용액의 농도에 따른 세균막 표면의 온도 변화를 함께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비교 시에 ICG 용액 만을 도포한 군에서는 3.0, 4.0, 5.0 mg/mL의 농도에서, 그리고 ICG 용액의 도포와 광조사를 함께 시행한 군에서는 1.0, 2.0, 3.0, 4.0, 5.0 mg/mL의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균 수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용액의 농도에 따른 온도 증가량은 0.5, 1.0, 2.0, 3.0, 4.0, 5.0 mg/mL의 ICG 용액에서 각각 9.53℃, 10.43℃, 11.4℃, 12.1℃, 12.67℃, 13.63℃ 이었다. 즉, ICG 용액의 농도가 3.0 mg/mL이면 그 자체로도 S. mutans 세균막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NIR 다이오드 레이저를 함께 사용하면 주변 조직 손상의 우려 없이 더 효율적인 항균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새로운 치아 우식증 예방법으로 ICG와 NIR 다이오드 레이저의 임상적 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변화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Management Capability of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현자;송근배;이성국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95-303
    • /
    • 1999
  • 본 연구는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증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구시내 1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군 118명 교육을 받지 않는 비교육군 122명으로 나누어 4주 간격으로 4차례의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전, 후에 설문지를 통하여 지식도가 측정되었고, 또한 동시에 구강위생관리능력(PHP)이 검사되었다. SAS를 이용한 자료 분석으로부터 변화차이는 t-test, paired t-test, chi-square test, ANCOVA에 의해 비교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의 영향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 있어서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구강보건 지식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잇솔질 시기, 잇솔질 방법, 치아우식증 원인, 치아손상시 조치, 혓솔질의 교육문항에서 교육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 과정에서 이 문항들은 반드시 교육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구강보건교육의 영향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 있어서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구강보건 지식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잇솔질 시기, 잇솔질 방법, 치아우식증 원인, 치아손상시 조치, 혓솔질의 교육문항에서 교육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 과정에서 이 문항들은 반드시 교육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구강보건교육 후에 지식도가 증가되어 저학년과 고학년에 있어서 치면세균막지수, 치변세균막부착율은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더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교육군의 구강위생관리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은 초등학교 학생에게 구강보건지식도를 증가시켜 구강위생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저학년 및 고학년 학생들에게 이해가 쉽고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자료가 개발되어 일선 초등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레이저 처리가 상아질과 복합 레진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ser-irradiated dentin on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 김성숙;박종일;이재인;김계순;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0-527
    • /
    • 2008
  • 목적: 이 연구는 산부식 대신 레이저로 표면처리를 하였을 때 복합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치아 우식증이 전혀 없는 건전한 최근에 발치된 대구치를 레진으로 매몰하고 상아질을 노출시킨 뒤 표면연마를 시행하 였다. 치아는 10개씩 4그룹으로 나누었다. 1)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 2) 35% 인산으로 산부식한 군, 3) Er:YAG laser 레이저 처리된 군, 4) Er,Cr:YSGG laser로 처리된 군. 시편에 상아질 접착제 Single Bond2 (3M/ESPE)를 도포하고, 직경 3 mm, 높이 3 mm의 투명한 플라스틱관을 치아면 위에 두고 복합레진을 축성하였다. 모든 시편은 24시간동안 $37^{\circ}C$증류수에 보관 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레이저 처리시 각각 Er:YAG 레이저 처리는 $3.98{\pm}0.88$ MPa, Er,Cr:YSGG 레이저 처리는 $3.70{\pm}1.55$ MPa의 결합강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의 결합강도는 $1.52{\pm}0.42$ MPa로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고, 산처리를 한 군이 $7.10{\pm}1.86$ MPa로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이들은 레이저 처리한 군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P < .0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치아와 레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시 레이저 처리는 아무 처리도 않은 군에 비해서는 높지만 인산 etching보다 그 결합력이 떨어진다.

CAD/CAM 세라믹 인레이에 대한 3종의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resin cement on CAD/CAM ceramic inlay)

  • 백철우;박철우;박준섭;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0-26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심미수복에 주로 사용되는 CAD/CAM 세라믹 인레이와 각종 레진 시멘트간의 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기둥 모양의 세라믹 블록(높이: 5 mm, 직경: 3 mm)을 Cerec3로 제작하고, 총 90개의 우식이 없는 대구치의 상아질 표면에 세 종류의 레진 시멘트(Unicem$^{(R)}$, Biscem$^{(R)}$, Variolink II$^{(R)}$)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접착했다. 90개의 시편을 레진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절반은 $5-55^{\circ}C$, 5,000 cycle 조건 하에서 thermocycling을 시행하였고, 다른 절반은 시행하지 않았다. 모든 시편은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전에 $37^{\circ}C$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동안 보관되었다. 전단결합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0.5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측정하였다. 결과 값은 t-test 및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Unicem$^{(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 후에 약간 감소했으나 3 개의 군 중 가장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Unicem$^{(R)}$ 및 Valiolink II$^{(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에 영향을 받았지만 Biscem$^{(R)}$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P<.05). Thermocyling 전에는 3개의 군 간의 결합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thermocyling 후에는 Unicem$^{(R)}$과 Valiolink II$^{(R)}$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CAD/CAM 세라믹 인레이 수복물을 치아에 접착할 때, etch-and-rinse 레진 시멘트인 Valiolink II$^{(R)}$ 대신self-adhesive 레진 시멘트인 Unicem$^{(R)}$과 Biscem$^{(R)}$을 사용해도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Periotron을 이용한 소아 치은 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GINGIVAL CONDITION ON CHILDREN USING PERIOTRON)

  • 신정근;김재곤;양연미;김성희;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21
    • /
    • 2006
  • 치열이 발육 중에 있는 소아는 치은 및 치주 질환에 매우 흔하게 이환된다. 이 시기의 치은염은 대개 경미하며 가역적인 경우가 많으나,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성인기의 치주질환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소아의 치은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흔히 임상적인 치은염 평가 지수나 구강 위생 지수를 측정하게 된다. 치은염 측정 지수의 하나로써 치은 열구액은 치주조직과 치은 열구로부터 유래되는 염증성 삼출물로, 세균성 치태의 점진적인 축적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치은 상태 평가를 위해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14세(평균 $8.5{\pm}3.1$세)의 어린이 50명과 23-33세 (평균 $26.1{\pm}3.3$세)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육안적 지수인 치은지수와 치태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치은 열구액을 채취하여 그 부피를 Periotron 8000(Oraflow Inc.,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소아와 성인의 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어린이에서 유치열기와 영구치 맹출기, 맹출 완료기의 각 군 간에 치은 열구액 부피를 비교했을 때, 평균치는 영구치 맹출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2. 어린이와 성인을 비교하였을 때 치은 열구액 부피는 어린이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01). 3. 어린이와 성인 모두 임상적인 치은지수(GI)와 치태지수(PLI)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GI; r=0.394, p<0.001 PLI; r=0.642, p<0.001). 4. 치은 열구액을 채취한 치아의 교정 치료 유무는 치은 열구액의 부피와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그러나 레진 치료 유무나 치아 우식의 유무는 관계가 없었다(p>0.05). 5. DMFT치는 유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DMFT치와 치은 열구액 부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1).

  • PDF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른 구강 내 혐기성 세균과 S. mutans의 변화 (Alteration of Anaerobic Bacteria and S. mutans Count in Oral Cavity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Use)

  • 변진석;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375-381
    • /
    • 2007
  • 교합안정장치는 턱관절장애의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선택되어지는 치료방법이다. 교합안정장치는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강 내에서 매일 수 시간씩 착용하며, 전체적인 치료기간은 적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 가량이 소요된다. 구강 내에서 교합안정장치는 틀니나 고정식 교정장치의 경우처럼 의도하지 않게 타액이나 산소로부터 세균을 보호하고, 세균의 저장고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런 조건은 일반적으로 치주질환과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인 혐기성 세균과 치아우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 mutans의 서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교합안정장치을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나쁜 맛이나 치주질환, 치태 형성 및 치아우식의 원인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후 구강 내 특정 치아에서 혐기성 세균과 S. mutans 수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교합 안정장치가 이들 세균 수 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그것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명의 남성(평균나이 27.5 세)이 참여하였고, 하루 9시간씩 상악교합안정장치를 취침시간 동안에만 사용하였으며, 총 5일 간 진행하였다. 5일 후 교합안정장치를 제거한 구강에서 상악좌측제2대구치, 상악좌측중절치, 하악좌측제2대구치를 각각 선택하여 치태와 타액이 혼재된 샘플을 정해진 규격으로 채취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혐기성 세균 배양을 위한 혈액한 천배지와 S. mutans 선택배지에 각각 $100{\mu}{\ell}$씩 도말하여 $37^{\circ}C$ 10% $CO_2$ 조건으로 3일간 혐기 배양하였다. 각각의 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을 집락형성단위(CFU) 기준으로 육안으로 세어 최종적으로 CFU/ml로 환산해 기록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구강 내 혐기성 세균 수와 S. mutans 수의 변화가 생겼다. 2. 혐기성 세균의 경우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상악제2대구치(P=0.003)와 상악중절치(P=0.020)에서 모두 그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은 직접 피개되지 않은 대합치아의 혐기성 세균 수 증가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4. S. mutans의 경우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상악제2대구치(P=0.043)와 상악중절치(P=0.049)에서 모두 그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은 직접 피개되지 않은 대합치아의 S. mutans 수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

산 표면처리후 상아질과 법랑질 표면의 습윤이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ISTENING OF ETCHED DENTIN AND ENAMEL SURFACES ON BOND STRENGTH)

  • 이광원;박수정;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1호
    • /
    • pp.328-341
    • /
    • 1995
  • I. Shear Bond Strength to Air-dried and Remoistened Dentin.. The effect of air-drying and remoistening of acid-conditioned dentin before priming with the primer of All-Bond 2(BISCO. INC., U. S. A.) on shear bond strength(SBS) was investigated. Ninty freshly extracted sound human molars were divided at random into 9 groups of 10 teeth each. SBSs were meaured for acid-conditioned and non-conditioned dentin to which the primer and bonding agent of All-Bond 2 and composite resin(Z-100, 3M Dental Products, U. S. A.) were applied. The following values(Mean${\pm}$ SD, MPa) were obtained for the groups conditioned with 10%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Group l(blot dried) $6.7{\pm}4.1$ ; Group 2(10 seconds dried) $16.1{\pm}5.3$ ; Group 3(20 seconds dried) $15.4{\pm}4.8$ ; Group 4(30 seconds dried) $15.2{\pm}6.3$ ; Group 5(10 seconds dried/remoistened) $26.4{\pm}2.6$ ; Group 6(20 seconds dired/remositened) $22.2{\pm}2.7$ ; Group 7(30 seconds dried/remoistened) $21.5{\pm}4.1$. For the non-conditioned groups the values were: Group 8 (blot dried) $13.3{\pm}2.6$ ; Group 9(10 seconds dried) $12.9{\pm}3.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In the acid-conditioned groups, mean values of SBS for the air-dried specimens(Grps. 2, 3 and 4) and the 20 and 30 seconds dried/remoistened specimens (Grps. 6 and 7)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ot dried specimens.(p<0.05) The value for 10 seconds dried/remoistened specimens (Grp. 5),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blot dried specimens.(p>0.05) In the non-conditined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lot dried and 10 seconds dried specimens.(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cid-conditioned dentin surface is more vulnerable to dentin bonding when it is air-dried or even remoistened after long period of drying. II. Shear bond stengh to the moistened and primed enamel. The effect of moistening and priming of enamel compared to the air-drying of enamel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enamel bonding agent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4 groups each containing 10 caries-free maxillary incisor teeth. Shear bond strength values were measured for the primed and non-primed enamel to which All-Bond 2 and Z-100 were applied. The following values(MPa) were obtained for the primed groups pretreated with 32 %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 Group 1 (10 seconds dried) $29.8{\pm}2.2$ ; Group 2(moistened) $26.8{\pm}5.4$. For the non-primed groups the values were: Group 3(10 seconds dried/primed) $27.6{\pm}5.0$ ; Group 4(mostened/primed) $28.2{\pm}3.5$. The data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hear bond strength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Conclus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bonding ability to enamel is not decreased by the moistening and priming of the enam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