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sity

검색결과 37,316건 처리시간 0.061초

혼합세포를 이용한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의 in vitro Glutathione 생산 (In vitro Glutathione Production using Mixed Cells in an Aerated Slurry Bioreactor)

  • 고성영;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45-451
    • /
    • 1999
  • E. coli TGI/pDG7 $\alpha$ 와 빵효모의 혼합세포계에 의한 글루타치온 생산을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 수행하였다. 글루타치온 생산 효소는 34시간 동안 안정성을 보였으며, 글루타치온 수율은 4.6 mM을 유지함을 보였다. 고농도의 혼합세포를 이용한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 기질의 공급속도가 글루타치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가 회수되어 기질공급속도 5.2 mL/hr에서 글루타치온의 생산농도는 32시간에서 현탁반응보다 낮아짐을 보였고, 반면 세포가 회수되지 않은 기질공급속도 5.2 mL/hr에서는 22시간 동안 유지되었고 2.6 mL/hr에서는 42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글루타치온의 생산성은 기질공급속도가 10.4 mL/hr에서 25.7 mg/g wet $cell{\cdot}hr$이었으나, 2.6 mL/hr에서는 1.65 mg/g wet $cell{\cdot}hr$이었고 5.2mL/hr에서는 5.28 mg/g wet $cell{\cdot}hr$이었다. 계면활성제(Tween 80)을 사용한 경우, 글루타치온 생산시간을 25시간에서 45시간으로 연장되었다. 글루타치온 생산있어 산소가 세포계의 효소에 산소에 의해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기를 질소로 교체하여 글루타치온 생산시간을 40시간으로 연장시켰다.

  • PDF

폴리피롤로 개질된 SPE 전극촉매의 제조 및 PEMFC로의 응용 (Preparations of SPE Electrocatalysts Modified with Polypyrrole and Its Application for PEMFC)

  • 김정훈;오승덕;김한성;박종호;한정우;이강택;조영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18-12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피롤로 개질된 Nafion 막에 직접적으로 백금촉매를 담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PEMFC로의 응용을 검토하였다. 개시제로 $FeCl_3$$Na_2S_2O_8$을 사용하여 피롤을 Nafion 막에 중합하였다. 제저된 PPy/Nafion 복합체 막의 양이온 전도도와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Na_2S_2O_8$을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체 막은 피롤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양이온 전도도와 함수율은 감소하였고, $FeCl_3$의 경우 함수율은 감소하지만 양이온 전도도는 유지되었다. 폴리피롤로 개질된 Nafion 막에 백금 촉매를 화학적 환원법에 의해 함침한 결과, 폴리피롤의 전자 전도성 특성에 의해 백금 담지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t/PPy/Nafion 전극촉매와 확산 전극으로 구성된 MEA를 단위 연료전지 성능평가를 행한 결과, 0.3 V의 전위에서 $569mA/cm^2$의 전류밀도 값을 갖는 연료전지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직접전단실험 시 구속조건에 따른 모래의 전단거동 평가 (Evaluation of Shear Behavior on Sands According to Confinement Condition in Direct Shear Test)

  • 변용훈;김영호;송명준;이종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13
    • /
    • 2013
  • 사질토 지반에 근입된 말뚝의 주변부에서는 말뚝의 수직하중에 의한 전단변형 시, 반경방향으로의 변위가 구속된다. 이러한 연직변위 구속상태에서의 전단강도는 기존의 직접전단실험으로는 모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접전단동안 연직변위를 허용하는 연직변위 허용조건(Free Normal Displacement: FND)의 직접전단실험과 연직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연직변위 구속조건(Constrained Normal Displacement: CND)의 직접전단실험을 통하여 연직변위 구속여부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는 것이다. 직접전단실험은 균등한 입도분포를 갖는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연직변위의 구속여부에 따라 다양한 상대밀도와 초기응력조건 상태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CND 직접전단실험에서 얻은 전단강도는 FND 직접전단실험에서 얻은 전단강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밀도가 클수록 연직변위의 구속효과로 인한 전단강도의 증분이 더욱 늘어남을 보여주었다. 반면, 초기 연직응력의 증가는 구속효과로 인한 전단강도 증분의 감소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부가 구속된 사질토지반의 안정성 평가 시, 전단강도에 대한 연직변위의 구속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배수겸용 쏘일네일링의 지하수위 변화에 관한 축소모형사면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f Down-Scaled Model Slope on the Variation of the Ground Water Level of Drainable Soil Nailing)

  • 김영남;채영수;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9-50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하향식 쏘일네일과 수평배수공의 별도 설치에 대한 일반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보강과 동시에 수평배수를 겸할 수 있는 상향식 쏘일네일을 설치할 경우 지하수위의 거동에 대한 특성을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에서 모형토조 내에 풍화토 지반의 모형사면을 만들고 그 위에 인공강우를 뿌리는 실험을 통해 상대밀도가 60%, 75%, 90%인 각 지반조건별로 50mm/hr, 75mm/hr, 100mm/hr 및 125mm/hr인 4가지 경우의 강우강도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이로 부터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사면의 유출비 및 사면의 파괴형태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배수기능을 겸한 상향식 쏘일네일로 보강한 지반의 경우 무 보강지반에 비해 지하수위 상승이 매우 완만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 한 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지반의 파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대밀도가 75%인 경우 보강후는 보강 전에 비해 약 8~15%정도 유출비가 증가하였다.

경험식을 통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수평지반반력계수와 수평거동 영향범위의 평가 (Evaluation of Lateral Subgrade Reaction Coefficient Considering Empirical Equation and Horizontal Behavior Range of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 양우열;황태현;김범주;박성백;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0
  •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 특성은 말뚝의 강성, 인접지반의 수평지반반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특히 말뚝설계 시 많이 활용되는 경험적인 수평지반반력계수는 그 결과의 값에 따라서 지지력의 차이가 크므로 수평지지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지반반력계수의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말뚝의 취약부인 수평하중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고,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의 보강영역을 판단하는데 주요 고려사항임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이 관계에 대해 평가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반반력계수를 평가하고, 말뚝의 영향범위(1/β)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zm)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현장시험과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력은 경험식을 통한 산정결과에 따라 최대 190%정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말뚝의 수평거동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의 관계는 지반조건에 따라 선형적 관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하류의 기반암 차이에 따른 하천의 형태와 암석의 저항력 분석 (Analysis on Channel Morphology and Rock Resistance by Difference of Bedrock Types between Upper and Lower Reach)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40
    • /
    • 2007
  • 하천은 암석의 저항력, 구조 운동, 퇴적물, 유량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 중에서도, 암석의 침식 저항력에 초점을 두었다. 상 하류간 기반암의 차이가 뚜렷한 어룡천, 흥정천, 두학천, 대화천, 남천천, 구룡천의 6개 하천을 대상으로, GIS를 이용하여, 유역분지 상 하류의 평면 및 종단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강암 유역은 완만한 경사, 낮은 요형도, 넓은 하곡 면적을 이루며, 편마암 유역은 급한 경사, 높은 요형도, 좁은 하곡 면적을 나타내며, 퇴적암 유역은 본류 경사도와 기복량은 크지만, 나머지는 하천별로 차이가 있다. 여러 가지 형태적 특성 중 상 하류 암석간의 차이가 분명한 본류의 경사, 본류의 요형도, 하계밀도, 하곡의 면적비, 유역의 평균 경사, 유역의 평균 기복을 대상으로, 그 값을 지수화하여, 상 하류 암석의 침식 저항력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하천의 상류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높으며, 퇴적암은 상 하류에 관계없이 중간 정도의 저항력을 나타내고, 화강암은 퇴적암과 접한 상류의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침식 저항력이 낮다.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 노백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4-354
    • /
    • 2007
  •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전신질환과 구취의 휘발성 황화합물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Volatile Sulfur Compound)

  • 옥수민;태일호;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1-21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가스분석검사기의 일종인 Oral $Chroma^{(R)}$(CHM-1, Osaka, Japen)를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질환 판정검사에서 이상소견을 가진 환자에서 구취를 일으키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 비교하여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1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구강검사(CPI index, 탐침 시 출혈 유무, 설태의 유무) 결과 및 각 검사별 전신질환의 유무에 따른 황화수소, 메틸 머캅탄, 황화 디메틸의 농도를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휘발성 황화합물과 관계있는 질환은 간질환과 담낭질환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 골밀도와 혈압, 지질검사 등에서의 관련성도 관찰되어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ost appropriate antimitotic treatment of Ara-C in Schwann cell-enriched culture from dorsal root ganglia of new born rat

  • Kim, Soung-Min;Jahng, Jeong-Won;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1호
    • /
    • pp.42-51
    • /
    • 2006
  • Schwann cell, one of important components of peripheral nervous system, interact with neurons to mutually support the growth and replication of embryonal nerves and to maintain the different functions of adult nerves. The Ara-C, known as an antimitotic agent, have been used to have high effectiveness in eliminating fibroblasts during Schwann cell culture period. This enrichment effect is also known to be cummulative with each successive pulse of Ara-C applied and is due to a progressive loss of fibroblasts. But the cytotoxicity by Ara-C is also cummulative and noticeable over the perio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pplication time and interval of Ara-C in the Schwann cell culture, we observed the Schwann cell purity and density with the Ara-C treatment in plain and three-dimensional culture from dorsal root ganglion of new born rat. By culturing dispersed dorsal root ganglia, we can repeatedly generate homogenous Schwann cells, and cellular morphology and cell count with mean percentages were evaluated in the plain culture dishes and in the immunostainings of S-100 and GFAP in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The Ara-C treated cultures showed a higher Schwann cell percentage (31.0%${\pm}$8.09% in P4 group to 65.5%${\pm}$24.08% in P2 group), compared with that obtained in the abscence of Ara-C (17.6%${\pm}$6.03%) in the plain culture after 2 weeks. And in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S-100 positive cells increased to 56.22%${\pm}$0.67% and GFAP positive cells to 66.46%${\pm}$1.83% in G2 group (p<0.05), higher yield than other groups with Ara-C applic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Ara-C treatment is effective for the proliferation of Schwann cells contrast to the fibroblasts in vitro culture, and the first application after 24 hours from cell harvesting and subsequent 2 pulse treatment (P2 group in plain culture and G2 group in three-dimensional culture)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application protocols.

방사선 조사 백서 경골에 티타늄 임플랜트 매식후 골 치유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PLACED IN IRRADIATED RAT'S TIBIAE)

  • 곽병학;김종렬;박봉수;신상훈;성일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6호
    • /
    • pp.379-39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bone regenerative capacity around titanium screw implants placed in irradiated rat's tibiae. At one week after single 15-Gy dose irradiation, miniaturized titanium screw implants were inserted into anterior aspect of the upper tibia of rats weighing 200-250g. Seventy rats were involved: 35 rats were control and 35 rats radiation group. The rats were killed at different intervals as 1, 2, 3, 4, 6, 8, 12 weeks after implantation for histologic observati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fibronectin and CD34 antibody. 1. Histologically, various stages of bone maturation and ossification can be seen at 4 weeks and regenerated bone close to edges demonstrates more advanced calcification, and network of new bone are well formed at 12 weeks in non-irradiated group. In contrast, active bone formation with increased contact of newly formed bone to implant surface was noted at 4 weeks and a significant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and bone-implant contact is oberved at 12 weeks in irradiated group. 2. Histomorphometrical analysis confirmed these histologic finding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ant-bone contact and bone density was measured between the control and radiation group. Mean MBD was 62.2% in control group and 27.5% in radiation group, mean MBIC was 86.6% in control group and 47.7% in radiation group, and mean TBIC was 87.3% in control group and 45.6% in radiation group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3.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fibronectin and CD34, radiation reduced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severely and disturbe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in bone marrow.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bone healing capacity around implant after radiation therapy was severely impaired and irradiation reduces the capacity for osseo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s. Many factors including radiation dose, period between radiation and implantation, bone quality, time elapse between first and second surgery, type of prosthetics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in postradiation impla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