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erv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3초

흰쥐 태반에서의 $Mel_{la}$ 유전자 발현과 멜라토닌이 PLP-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Local Expression of $Mel_{la}$ and Effect of Melatonin on Expression of PLP-A Gene in the Rat Placenta)

  • Shin, Chang-Sook;Lee, Chae-Kwan;Kang, Han-Seung;Kim, Haekwon;Yoon, Yong-Dal;Moon, Deog-Hwan;Kang, Sung-G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81-187
    • /
    • 2001
  • 포유동물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는 일주기와 연주기의 변화를 나타내며 송과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이 조절인자로 관여한다. 인위적인 송과체의 기능 억제는 혈중 프로락틴 농도를 증가시킨다. 임신 후반기에 태반에서는 수종의 프로락틴군 호르몬들이 분비되어 태반기능 및 배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들 호르몬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기작과 조절 인자들에 관한 연구 결과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RT-PCR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흰쥐의 태반에서 Me $l_{la}$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발현되는 주요 세포는 junctional zone과 labyrinth zone의 spongiotrophoblast 세포와 trophoblast giant세포였다. 특이한 것은junctional zone의 Me $l_{la}$ 유전자의 발현이 밤시간(22:00)에 비하여 낮시간(16:00)에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멜라토닌 수용체 agonist인 chloromelatonin은 PLP-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흰쥐의 태반에서 Me $l_{la}$ 유전자가 발현되며, 멜라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Me $l_{la}$ 의 활성화는 PLP-A유전자의 발현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할 것이다.

  • PDF

하치조 신경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Osteoclast in Periodontal Ligament Space by Denerveation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 Young and Adult Rats)

  • 박경덕;성재현;배용철;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6-513
    • /
    • 2004
  • 본 연구는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의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동물을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으로 구분하여 좌측 하악골에는 하치조신경절단을 시행하여 실험측으로, 우측하악골은 가수술측으로 사용하였다. Bundle 골 표면에 위치한 파골세포의 수 그리고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를 조직 형태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의 분포 변화를 치주인대와 치 수조직에서 평가하였다.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는 양군 실험측에서 고갈됨으로서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측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과 p<0.05). 그러나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는 양군 모두에서 실험측과 가수술측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성 쥐 군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0.01),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하여 감각신경인 하치조신경의 절단과 연령증가는 치주인대 공간에서 Bundle골 표면의 파골세포의 수를 감소시켰으며 골 흡수 활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ype A Botulinum Toxin이 장딴지근 퇴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A on Calf Reduction)

  • 박정민;하재성;이근철;김석권;이기남;이명종;이건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85-92
    • /
    • 2005
  • Botulinum toxin type A is widely used for anti-wrinkling therapy, and correction of the square face. The toxin ultimately prevent the release of membrane-bound acetylcholine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of striated muscles and thus produce chemical denervation and paralysis of the muscles. Our purpose of study is to know if applica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on calf reduction is effective, how much dosage is effective, and what are the possible complications. We reviewed data of 30 consecutive patients subjected to calf reduction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3 to April 2003. We injected normal saline 2cc on both calves region in 15 control group patients, and the other patients was divided 3 group. Group 1, Group 2, Group 3 was injected 50U, 100U, 150U botulinum toxin A on each calf region and followed up for 6 month. Maximal circumference of calf was not changed in the control group but an average of 0.7 cm reduction was noted in group 1, average 1.34 cm(right calf) and 1.26cm(left calf) in group 2, average 1.44cm(right calf) and 1.58cm(left calf) in group 3. Maximal area of calf was not changed in the control group but average reduction of 12.5%(right calf) and 12.7%(left calf) was obtained in group 1, average 19.4% (right calf) and 19.9%(left calf) in group 2, average 24.8%(right calf) and 21.07%(left calf) in group 3, as measured on CAT scan. Total fat amount and fat amount in the lower extremity was no change in all the groups, but lean body mass was decreased average 1.27%(right calf) and 1.15%(left calf) in group 1, average 3.47%(right calf) and 2.98%(left calf) in group 2, average 3.58%(right calf) and 3.95%(left calf) in group 3. Photography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month state revealed higher satisfaction in Group 2, 3 compared to Group 1. Use of botulinum toxin type A in calf reduction is a very simple, safe, non-invasive method and effective in terms of calf contouring rather than reduction of calf circumference.

내시경 갑상샘 절제술 후 발생한 경부 근긴장이상증의 보툴리늄 A 독소를 이용한 치료: 증례보고 (Botulinum Toxin A Treatment for Cervical Dystonia Resulting in Endoscopic Thyroidectomy: A Case Report)

  • 오화영;최환준;남두현;김준혁;이영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207-211
    • /
    • 2011
  • Purpose: Surgery for thyroid gland requires skin incisions that can result in postsurgical neck scar. To overcome this, many surgeons performed a endoscopic thyroidectomy. But, this approach had a some problems. One of postoperative problems, iatrogenic cervical dystonia (CD) may occur. At common, CD is defined a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prolonged muscle contraction causing twisting, repetitive movements or abnormal posture. Botulinum toxin A (BTA, Botox$^{(R)}$, Allergan, Irvine, CA, USA) is well known treatment agent in the treatment of CD. So, the authors applied BTA injection in rare case with iatrogenic CD resulting in endoscopic thyroidectomy. Methods: A 43-year-old female had endoscopic subtotal thyroidectomy operation 3 years ago. She had symptoms such as progressive cervical pain, abnormal neck posture, depression, and sleep difficulty. About 1 year later, the patient who had previous myomectomy of the clavicular head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however, symptoms were not improved. And then the patient received BTA therapy in our department. The 2 units per 0.1 mL solution was administered in a 1 mL tuberculin syringe. Results: The dose of BTA used in the patient was 36 units for vertical platysmal bands, superficially, and 10 units for ipsilateral sternocleidomastoid muscle, intramuscularly. After 2 weeks, additional the dose of BTA used in the patient was 5 points for remained scar bands, superficially. Complications related to injection such as significant swallowing difficulties, neck muscle weakness, or sensory change were not observed. In 9 months follow-up, the patient maintained a good result from the method of BTA injection alone. Conclusion: The basic concept is selective denervation for the hyperactive individual muscles and scar bands. We conclude that BTA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CD despite the iatrogenic and complex presentation of this complication.

Functional Connections of the Vestibulo-spino-adrenal Axis in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Via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in Conscious Rats

  • Lu, Huan-Jun;Li, Mei-Han;Li, Mei-Zhi;Park, Sang Eon;Kim, Min Sun;Jin, Yuan-Zhe;Park, Byung Rim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5호
    • /
    • pp.427-434
    • /
    • 2015
  • Significant evidence supports the role of the vestibular system in the regulation of blood pressure during postural move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role of the vestibulo-spino-adrenal (VSA) axis in the modulation of blood pressure via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was clarified by immunohistochemical and enzyme immunoassay methods in conscious rats with sinoaortic denervation.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the intermediolateral cell column of the middle thoracic spinal regions and blood epinephrine levels were investigated, following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gonists or antagonists into the medial vestibular nucleus (MVN) and/or sodium nitroprusside (SNP)-induced hypotension. Both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gonists (NMDA and AMPA) into the MVN or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ry nucleus (RVLM) and SNP-induced hypotension led to increased number of c-Fos positive neurons in the intermediolateral cell column of the middle thoracic spinal regions and increased blood epinephrine levels. Pretreatment with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s (MK-801 and CNQX) into the MVN or RVLM prevented the increased number of c-Fos positive neurons resulting from SNP-induced hypotension, and reversed the increased blood epinephrine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SA axis may be a key component of the pathway used by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to maintain blood pressure during postural movements.

본태성다한증에서 흉부교감신경의 차단 범위와 부위에 따른 임상결과와 체열변화 사이의 관계 (Relation between Changes of DITI and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and Extent of Sympathicotomy in Essential Hyperhidrosis)

  • 최순호;임영혁;이삼윤;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64-71
    • /
    • 2004
  • 배경: 비디오흉강경에 의한 교감신경차단술은 본태성 다한증환자에서 수술 즉시 증세의 호전을 보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이것은 곤혹스러운 보상성발한과 같은 높은 빈도의 부작용 발생으로 상쇄된다. 그래서 본태성다한증에서 교감신경차단술의 차단범위와 부위에 따른 임상결과와 컴퓨터 적외선 체열 영상에 의해 측정한 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컴퓨터 적외선 체열 영상에 의해서 보상성발한의 정도와 분포를 더 객관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예기할 수 있는가, 또한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원광대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다한증을 갖고 있는 28명의 환자에서 흉강경에 의한 흉부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각각 7명 인 4군으로 분리하였는데 I군은 제2번 T2 교감신경차단술, II군은 T3 교감신경차단술, III군은 T3,4 교감신경차단술 그리고 IV군은 T2,3,4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다. 변수는 치료의 만족도, 보상성발한의 빈도, 족부 발한의 정도 그리고 DITI에 의해 측정한 전신의 체열 변화로 구성하였다. 결과: 나이와 추적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모든 치료한 환자에서 수술 즉시는 만족할 만한 완화를 얻었다. 하지만 만기 시의 만족도는 I, II, III, IV군에서 각각 85.8%, 85.8%, 42.9%, 그리고 28.6%를 보였다. 곤혹스러울 정도 이상의 보상성발한은 I, II, III, IV군에서 각각 14.2%, 14.2%, 57.2%, 그리고 71.4%를 보였다. 족부 발한에서는 다소 호전을 보였으나 각 군 사이에 의미는 없었다. DITI에 의해 측정한 체열의 명백한 상승은 충분한 탈 신경을 암시하고 본태성다한증의 지속적인 완화를 예기할 수 있으며 체간부와 하지의 체열하강은 수술후의 만족도와 보상성발한과 일치하였다. 결론: 보상성발한의 정도와 빈도는 흉부 교감신경차단술의 범위와 부위에 밀접하게 연관된다. 제3번째 늑골상단에서 제2번 교감신경절의 하신경절 간 신경섬유의 차단이 다른 수술방법보다 실질적이고 최소 침습적 치료이다. 또한 DITI에 의해서도 보상성발한의 분포와 정도를 확실하게 그리고 객관적으로 예기할 수 있으며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출(摘出) 기니아-픽 정관(精管)에 있어서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의 作用(작용)에 대(對)한 Prostaglindin $E_1$의 강화작용(强化作用) (Potentiating Effect of Prostagliandin $E_1$ on the Action of Sympathomimetics in the Isolated Vas Deferens of Guinea-Pig)

  • 홍기환;강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40
    • /
    • 1974
  • 기니아-픽 및 백서정관(白鼠精管)에 대(對)한 $PGE_1$의 작용(作用)과 이들 조직(組織)에 있어서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의 작용(作用)에 미치는 $PGE_1$의 효과(效果)를 보고 나아가서 계양막(鷄羊膜)에 대(對)한 $PGE_1$의 작용(作用)을 관찰(觀察)하였다. 1. 기니아-픽 적출정관표본(摘出精管標本)에서 $PGE_1$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phenylephrine이나 norepinephrine의 작용(作用)이 증강(增强)되었으며, 하복신경(下腹神經)-근표본(筋標本)에서 신경자극(神經刺戟)이나 trans-mural stimulation에 의(依)한 수축(收縮)에 미치는 phenylephrine, norepinephrine 및 tyratnine의 작용(作用)이 $PEG_1$ 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증강(增强)되었다. 특히 긴장상승(緊張上昇)이 현저(顯著)하였다. 2. 백서정관(白鼠精管)의 하복신경(下腹神經)-근표본(筋標本)에서는 기너아-픽 정관(精管)에서와는 달리 $PGE_1$을 처리(處理)함으로써 신경자극(神經刺戟) 및 transmural stimulation에 의(依)한 수축고(收縮高)가 서서(徐徐)히 감소(減少)되고, $PGE_1$을 전처치(前處置)한 후(後)에도 $10^{-6}g/ml$ phenylephrine 또는 norepinephrine에 의(依)한 긴장상승(緊張上昇)이나 수축고(收縮高)의 증가(增加)는 나타나지 아니 하였다. 3. 신경섬유(神經纖維)가 제거(除去)된 기니아-픽정관(精管)에 있어서는 $PGE_1$ 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phenylephrine 또는 norepinep. hrine의 작용(作用)이 증가(增加)되나 denervation 된 백서(白鼠)의 정관(精管)에 있어서는 $PGE_1$ 처리(處理)로서는 norepinephrine의 작용(作用)에 하등(何等)의 영향(影響)을 주지 아니 하였다. 4. 계양막평활근(鷄羊膜平滑筋)의 자발운동(自發運動)은 저농도(低濃度) $PGE_(10^{-8}g/ml)$에 의(依)하여 거의 변화(變化)를 받지 아니 하나, 농도(濃度)가 增加(增加)함으로서 자발운동(自發運動)은 불규칙(不規則)하나 대체(大體)로 억제적(抑制的)으로 나타났었고, $PGE_1$ 전처치후(前處置後) 고농도(高濃度) phenylephrine을 작용(作用)시켰으나 구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 하였고 physostigmine의 작용(作用)은 길항(拮抗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PGE_1$은 동물(動物)의 정관(精管)에 대(對)한 작용(作用)에는 종(種)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PGE_1$은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에 의(依)한 기니아-픽 정관수축작용(精管收縮作用)에 대(對)하여 supersensitivity를 야기(惹起)시켰으며, 이는 정관평활근(精管平滑筋)에 대(對)한 직접작용(直接作用)이 아닌 다른 작용기전(作用機轉)에 기인(基因)할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