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ilitarized Zone(DMZ)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3초

비무장지대 평화생명벨트 인접해안에서의 레저관광활동 가이드라인을 위한 자외선 반사량 원격측정 (Remote Measurement of Ultraviolet Reflections for the Guidelines for Leisure Tourism Activities on the Adjacent Coast of the Demilitarized Zone Peace Life Belt)

  • 어재선;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9-506
    • /
    • 2022
  • 2021년 동해북부선 착공으로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DMZ)의 평화적 활용의 기대치가 높아지고있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를 안보생태관광으로 활용한 인근 해변에서의 레저관광 활동에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지표면 자외선(Ultravilolet:UV) 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외선 노출 위험가이드라인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탐사를 이용한 비무장지대 인접 해안에서의 자외선 반사량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제시된 결과가 인근지역 레저관광 활동에서의 자외선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MZ의 축소된 공간 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 정규석;신현탁;김상준;안종빈;윤정원;권영한;허태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5-363
    • /
    • 2015
  • 정전협정으로 설치된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일대는 정치적 군사적 위상과 더불어 역사적 생태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오늘날 국 내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DMZ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나, 정작 연구의 대상이 되는 DMZ 공간의 실제 범위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쪽의 고성군 명호리에 이르는 DMZ의 정확한 범위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를 진행한 결과 DMZ의 면적은 약 $570km^2$로 기존에 알려진 $992km^2$에서 현재 4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55마일로 대변되는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길이의 경우 현 상황에서의 정확한 실측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경기도 농촌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recipitation in the Rural Area of Kyunggi Province near Demilitarized Zone)

  • 박국태;김창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7-164
    • /
    • 1998
  • preliminary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forty seven precipitations from March 1994 to May 1995 In Yeoncheon-gun, which Is adjacent to the southern boundary of demilitarized zone (DMZ) in the northernmost tip of Kyunggi Province has been Performed. The metal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nd ion chromatography, respectively. pH/lon meter and direct nesslerization method were used for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H^+$ ion and $NH_46+$ ions, respectively Based on the data, the quantitative orders of the cation and anion average concentrations were $Ca^{2+}>NH_4^+>Na^+>K^+>Mg^{2+}>H^+ and SO_4^{2+}>Cl^-> NO_3^-$, respectively..The ratio of average total anion concentration to average total cation concentration was 0.97. The average pH value of the precipitations was 5.60. These result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on concentrations, and monthly variations of pH value and precipitation amount are used for chemical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ollutant sources In Yeoncheon-gun of Kyunggi province near DMZ.

  • PDF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The Survey of Disappeared Villa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 김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6-105
    • /
    • 2009
  • 이 연구는 근대적인 토목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현재의 DMZ 내에 존재하던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G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DMZ 지역에서는 총 427개의 마을이 조사되었다.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강원도가 183개(43%), 경기도가 244개(57%)로 경기도 지역은 DMZ 면적에 비하여 마을의 수가 많았다. 마을의 평균 가옥 수는 11동으로 그 규모는 매우 작았다. 마을의 형태에 의한 분류에서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간지역에서 산촌의 형태가 나타났다. 그리고 집촌의 형태를 보이는 그 외 지역에서는 교통로와 하천을 따라 열촌의 형태가 나타났고, 평지에서는 괴촌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는 DMZ 내에서 절대적인 보전이 필요한 구역과 교통로 등으로 개발해야 하는 구역의 선정 등 향 후 DMZ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전과 개발의 상충된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DMZ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emical Constituents of Silene seulensis Nakai from Demilitarized Zone(DMZ)

  • Jung, Yeon Woo;Seo, Chan Gon;Lee, Ji Eun;Hong, Seong Su;Kwon, Jin Gwan;Shin, Hyun Tak;Jung, Su Young;Choi, Jeong Jun;Choi, Chun Whan;Kim, Jin K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2
    • /
    • 2018
  • Silene seulensis Nakai was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in Korea, we collected plant from demilitarized zone (DMZ). S. seulensis was extracted with 30, 50, and 70% ethanol and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n-hexane, EtOAc, dichloromethane and BuOH. These extracts (30, 50 and 70% ethanol) were evaluated the cytotoxicity on B16F10 and Hacat cell lines. The LC-MS/MS data of each fractions (n-hexane, EtOAc, dichloromethane, and BuOH) were compared with MS library, combined with ultraviolet/visual (UV/Vis) and MS data for faster determine structure by database search results. Thi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compounds (1-4) from S. seulensis. These compounds was isolated first time from S. seulensis. Their chemical structures are elucidated by combinations of NMR and mass spectrometry techniques.

  • PDF

비무장지대(DMZ) 자연유산 남북 공동협력의 의의와 과제 (South and North Korean Collaboration for Natural Heritage Conservation across Demilitarized Zone : Its Significance and Challenges)

  • 제종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42-257
    • /
    • 2019
  •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 MDL)을 경계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을 비무장지대로 설정하기로 협정으로 정했지만 지난 65년 동안 무장이 가득한 지대로 유지되어왔다. 남쪽의 경우 민간인 통제선(Civilian Control Zone : CCZ) 이북 지역과 그 배후의 접경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오랫동안 제한되어 오히려 비무장지대보다 자연이 상대적으로 더 잘 보전되어왔다.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은 자연생태계의 보호할 가치가 있는 생물과 그 서식지, 그리고 무생물 자원으로 정의된다. 비무장지대에서는 다양한 생물들과 습지를 비롯한 서식지와 지형들이 있음이 여러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완벽하고 보전이 잘 되어 있는 서식 공간은 아니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그만한 다양성과 규모를 가진 공간이 없고, 향후 관리 방향에 따라 복원이 가능한 최적의 장소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비무장지대와 잘 보호된 일부 민통선 이북 지역을 포함한 그 일원의 서식지 유형(habitat type)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어 관리한다면 한반도에서 멸종 위기에 있는 종들이나 멸종한 종들을 서식하게 하는 최적 장소가 될 것이다. 이때 한강 하구와 동해의 석호(lagoon) 등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조사와 보호 노력을 남북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특히 비무장지대 내부를 남북 과학자와 국제 전문가를 포함하여 국제 과학조사를 추진하고 장기 계획을 세워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DMZ와 그 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Geomorphological Landscapes Research and Utilization of DMZ and Borderland)

  • 김창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7-327
    • /
    • 2009
  • 본 연구는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비무장지대와 그 인접 지역의 지형분야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된 총 356개의 지형 중 가장 많이 관찰된 지형은 하안단구였으며, 전체 지형 중 1 등급은 57개(16.01%)로 나타났다. 본 지형 조사는 북방한계선까지 접근하여 비무장지대 및 그 인접 지역의 지형을 파악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비무장지대 및 그 인접지역의 지형경관은 비무장지대라는 세계에서 유일한 공간적 특성과 함께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지오파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 PDF

Winter foraging of endangered Red-crowned and White-naped crones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 Lee, Sang-Don;Jablonski, P.;Higuchi, H.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176-177
    • /
    • 2007
  • We determined how presence of heterospecific individuals in the vicinity of a focal individual affects the behavior of two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of cranes on their wintering grounds at Cheolwon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is larger than the White-naped crane, Grus vipio, and it dominates the White-naped crane in aggressive interactions. We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increases foraging activity in the presence of the subordinate species presumably because of scrounging of the food from the subordinate. Because interspecific interactions may affect avian endangerments this behavioral finding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naging winter refuges for the two engendered crane species.

  • PDF

입지 환경 인자를 이용한 DMZ 남측 철책선 주변 훼손지 유형화 (Classification of the Damaged Areas in the DMZ (Demilitarized zone) by Location Environments)

  • 박기쁨;김상준;이아영;김동학;유승봉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84
    • /
    • 2021
  • Restoration of DMZ has come up with the discussion on the peaceful use of the DMZ and the conservation plan of the army.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soil characteristics of 108 sites to figure out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iron fence of DMZ where vegetation has been removed repeatedly. Based on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climate variables, hierarchy clustering was performed to categorize sites. As a result, we categorized 108 sites into 4 types: middle elevation region, lowland, East coast lowland, other areas. Group of 'other area' is only high in nutrient and clay proportion. Others are in igneous rock and metamorphic rocks with a high proportion of sand and lower nutrients than the optimum range of growth in Korean forest soil. The middle elevation region has a high altitude, low temperature. The east coast lowland has a high temperature in January and low precipitation. The lowland has a low altitude and high temperature. This category provid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round the DMZ fence and can be used to select plants for restoration. The restoration project around the DMZ iron fence should satisfy the security of military plans, which means that functional restoration is prior to ecological restoration such as vegetation management under a power line. Additionally, improvement of soil quality and surface stability through restoration projects is required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ecosystem in DM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