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ic cla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낙동강 삼각주 점토에 대한 과압밀비의 평가 (Determination of OCR on the Deltaic Clay of the Nakdong River)

  • 정성교;김규종;이대명;조기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85-97
    • /
    • 1999
  •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점토에 대하여 현장계측, 실내 및 현장토질시험결과를 이용한 산정법들에 의하여 OCR이 분석되었다. 그 결과, 표준압밀시험결과에 의한 OCR이 0.4~0.7인데 반하여, 현장계측값의 분석으로 얻어진 OCR은 0.95~l.20으로 얻어졌다. 소산시험에 의하여 과잉간극수압의 존재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미압밀점토의 존재는 찾기 어려웠다. 그리고 피에조콘시험을 이용한 Mayne(1991) 및 Cao 등(1996)의 산정법과 콘관입시험을 이용한 Mayne & Kemper(1988)의 산정법에 의한 결과가 현장계측값의 분석법에 의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부산점토의 특성: 가덕도 지역 조간대 퇴적물의 대자율 (The Properties of Pusan Clay : Magnetic Susceptibility of Deltaic sediments in Gadeok-do Area)

  • 김성욱;김인수;이선갑;김무겸;정성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7-75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clayey soils that distributed in the Gadeok-do area, Kimhae plain (Nakdong estuary). For the study, SPT core sampling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Soils in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five sedimentary facies ascending order; sand/gravel. clay, sand/gravel, clay, interbedded sand and silty clay. Analysis of magnetic susceptibility for Gadeok-do clayey soil reveals that depositional process and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ayer,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a level change since late Quaternary.

  • PDF

낙동강 삼각주에서 선행하중에 따른 침하예측 및 현장계측 (Prediction and Field Measurement of Settlement due to Preloading at the Delta of Nakdong River)

  • 정성교;백승훈;김규종;이대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99-110
    • /
    • 1999
  • 선행하중공법이 실시되는 낙동강 삼각주에서 체계적인 지반조사를 통하여 침하량과 압밀소요 시간이 예측되었으며, 엄선된 각종 계측기를 이용하여 현장계측이 수행되었다. 비교결과, 약20m 두께의 모래층에 대하여 예측침하량은 실측치의 20%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과소평가의 원인은 PBD타입시의 진동, 시간의존적 침하 및 탄성계수의 과대평가 등에서 비롯되었다. 모래층 아래에 위치한 약 20m 두께의 점성토층이 미압밀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던 이유 때문에 예측침하량은 실측치에 비하여 약240%까지 과대평가되었다. 그러나 압축곡선을 재구성하고 정규압밀점토를 위한 압밀침하공식을 적용하였을 때 재계산된 침하량은 실측값에 비교적 비슷하였다. 그리고 압밀소요시간은 각종 영향인자로 인하여 실제값에 비하여 약45% 과소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