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 index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초

지상 대기질 측정 자료를 이용한 서울 지역 2차 미세먼지 생성량 및 그 일변화 추정 (Estimation of Secondary PM10 Concentrations and Their Diurnal Variations Using Air Quality Monitoring Data in Seoul)

  • 김지아;진형아;김철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3-403
    • /
    • 2008
  • In an effort to estimate secondary $PM_{10}$ concentrations and their diurnal variations at different photochemical activities, $PM_{10}$, CO, and $O_3$ concentrations obtained from the ambient air quality network located in Seoul are analyzed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05. In order to classify the photochemical activities on a daily basis, measured ${\Delta}O_{3,\;max-min}$ (maximum $O_3$-minimum $O_3$) and ${\int}(hv)dt$ which represents accumulated daily insolation, were used to classify each day into three regimes: 1) low photochemical reactivity; ${\Delta}O_{3,\;max-min}\;{\leq}\;40\;ppb$, and ${\int}(hv)dt\;{\leq}\;4000\;W/m^2$, 2) moderate photochemical reactivity; $40\;ppb\;<\;{\Delta}O_{3,\;max-min}\;{\leq}\;60\;ppb$, and $4000\;{\leq}\;{\int}(hv)de\;{\leq}\;6000\;W/m^2$, and 3) high photochemical reactivity; ${\Delta}O_{3,\;max-min}\;>\;60\;ppb$, and ${\int}(hv)dt\;{\geq}\;6000\;W/m^2$. The ratio of ($PM_{10}$/CO) obtained at low photochemical activity regime was used as an index of tracer for the estimation of secondary $PM_{10}$ at higher photochemical activity regim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secondary $PM_{10}$ concentrations for moderate and high photochemical regimes are found to be 18.8% ($10.9\;{\mu}g/m^3$), and 35.0% ($26.2\;{\mu}g/m^3$), respectively. Diurnal variation of secondary $PM_{10}$ for the moderate photochemical regime shows weak but noticeable patterns. However, the highly activated photochemical regime shows strong diurnal variations of secondary $PM_{10}$ concentrations with the maximum value of $35.1\;{\mu}g/m^3$ at 1300LST.

180℃와 200℃ 오일열처리 잣나무재의 재색변화 (The Color Change of Korean Pine Specimens Oil-Heat-Treated at 180 and 200℃)

  • 이원희;임호묵;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38-445
    • /
    • 2015
  • 유럽에서 개발된 여러 가지 열개질처리 방법 중 독일의 오일열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국산 잣나무 시편을 $180^{\circ}C$$200^{\circ}C$에서 열처리하였다. 또 같은 종류의 잣나무 시편을 $200^{\circ}C$에서 Thermowood열처리하였다. 열처리 시편의 표면을 자동대패로 대패한 후 1 mm와 4 mm 깊이의 재색을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열처리 시편 내층의 평균 백색도(L*)는 Oil-180 시편이 가장 높고, Oil-200 시편, Tmo-200 시편 순이다. 열처리에 의해 평균 적색도는 모든 시편이 증가하였으나 평균 황색도는 열처리 조건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무처리와 비교한 평균 색차값(${\Delta}E*$)은 Oil-200 시편과 Tmo-200 시편이 30.0 이상이나, Oil-180 시편은 18.4로 상대적으로 적게 변하였다. 열처리 시편 내층간의 평균 색차값 (${\Delta}E*$)은 6.0 이하로 세 열처리 조건 모두 시편 내층의 재색을 균일하게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양이 동시 인공와우 사용자의 조기 언어발달 (Early Linguistic Developments of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ees)

  • 서지영;이현진;최현승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2호
    • /
    • pp.650-657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ho have undergone simultaneous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SCI) and those who have undergone bimodal stimulation (unilateral CI+ hearing aid). Subjects and Method I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data, 15 pediatric patients who have received SCI and nine patients who have received bimodal stimulation (BM group) were enrolled. CI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at 24 months of age. Category of Auditory Performance (CAP) scores, Infant-Toddler Meaningful Auditory Integration Scale (IT-MAIS) scores, and developmental quotients (DQ) for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t 12 month of follow-up.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of children evaluated at 4 years old was also compared. Results At 12 months of follow-up,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in CAP scores (${\Delta}4.25{\pm}0.5$) were noted in the SCI group compared to the BM group (${\Delta}3.56{\pm}0.88$, p=0.041).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in IT-MAIS scores were also noted in the SCI group (${\Delta}36.17{\pm}4.09$) than in the BM group (${\Delta}30.17{\pm}2.91$, p=0.004). The DQ of receptive language was higher in the SCI group than in the BM group ($87.6{\pm}15.4%$ vs. $75.5{\pm}12.0%$, p=0.023) at 12 months of follow-up. Moreover, early SCI was associated with better receptive language skills. PCC index of children at 4 years old was higher in the SCI group than in the BM group ($88.5{\pm}13.2%$ vs. $62{\pm}15.8%$, p=0.014). Earlier SCI was associated with even greater improvements. Conclusion Bilateral SCI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anguage development when compared with bimodal stimulation. Earlier SCI was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s.

볶음공정과 산화방지제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Process and Antioxidants on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s)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9-38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볶지않은 들깨와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몇가지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다. $190^{\circ}C$에서 20분동안 볶은 들깨와 볶지 않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alpha}$-토코페롤, ${\delta}$-토코페롤을 100, 200, 300과 400 ppm, BHA, BHT와 TBHQ를 50, 100, 150과 200 ppm으로 농도별로 첨가하여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antioxidative index (항산화제를 첨가한 들기름의 유도기간/항산화제를 첨가안한 들기름의 유도기간)로 환산하여 산화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볶지 않고 착유한 들기름보다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뛰어나, 볶음공정이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약 4배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토코페롤류는 들기름의 산화를 촉진하였다. 합성산화방지제인 BHA는 산화방지 효과가 없었고, BHT는 미약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BHQ는 강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때 TBHQ를 법적 허용 기준치인 200 ppm이내에서 첨가하였을때 들기름의 저장안정성을 약 5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TBHQ가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향상에 가장 적합한 산화방지제로 판단되었다. 또한 볶음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패모, 어성초, 쇠비름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용매 분획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3-688
    • /
    • 1993
  • 예비 실험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패모, 어성초, 쇠비름 그리고 들깨박의 75%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물 순으로 용리, 분획물을 얻고 이들과 함께 tocopherol, citric acid, ascorbic acid를 팜유와 돈지에 첨가,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쇠비름 추출물이 돈지에 대한 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AI 1.41)모든 실험 식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불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synergist로서는 ascorbic acid가 우수하였고 ${\delta}-tocopherol$을 혼합시에도 효과가 상승하였다. 패모, 어성초, 쇠비름의 ethyl acetate 분획층과 ascorbic acid 200ppm씩을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tive index(AI)는 각각 1.60, 1.53 그리고 1.47이었고 쇠비름과 들깨박 ethyl acetate 분획층과 ${\delta}-tocopherol$ 200ppm씩을 돈지에 첨가했을 때 AI는 각각 3.19 및 3.63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 PDF

버스계단 내리기 시 구두 힐 높이와 착지거리에 따른 지면반력 파라미터 조사 (Investiga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hoe's heel Heights and Landing Distance during Downward Stairs on Bus)

  • 현승현;류재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6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F(ground reaction forc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hoes's heel heights and ground landing distances during downward stairs on bus. Participants selected as subject were consisted of young and healthy women(n=9, mean age: $21.30{\pm}0.48$ yrs, mean height: $164.00{\pm}3.05cm$, mean body mass: $55.04{\pm}4.41kg$, mean BMI: $20.47{\pm}1.76kg/m^2$, mean foot length: $238.00{\pm}5.37mm$). They were divided into 2-types of shoe's heel heights(0 cm/bare foot, 9 cm) and also were divides into downward stairs with 3 types of landing distance(20 cm, 35 cm, 50 cm). A one force-plate was used to collect the GRF(AMTI, USA) data from the sampling rate of 1000 Hz. The GRF parameters analyzed were consisted of the medial-lateral GRF, anterior-posterior GRF, vertical GRF, loading rate, Center of Pressure(${\Delta}COPx$, ${\Delta}COPy$, COP area)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MLSI, APSI, VSI, DPSI) during downward stairs on bus. Medial-lateral GRF and vertical GRF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hoe's heel heights and landing distance, but 9 cm shoes heel showed higher vertical GRF than that of 0 cm bare foot in landing distance of 50 cm. Also anterior-posterior GRF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hoe's heel heights, but landing distance of 20 cm showed higher than that of landing distances of 35 cm and 50 cm in anterior-posterior GRF. Loading rat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landing distance, but 9 cm shoe's heel showed higher than that of 0 cm bare foot during downward stairs. The ${\Delta}COPy$ and COP area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hoe's heel heights and landing distance, but 0 cm bare foot showed higher than that of 9 cm shoe's heel in ${\Delta}COPx$.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MLSI, APSI, VSI, DPSI)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landing distance, but 9 cm shoe's heel showed decreased value than that of 0 cm bare foot in dynamics balance. Considering the above, parameters of GRF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oe's heel heights and ground landing distances during downward stairs on bus.

열수 침지 처리가 치콘 절단면의 적변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water Dipping on Inhibiting Red Discoloration of Basal Part in Chicon)

  • 정현진;강호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53-358
    • /
    • 2014
  • 치콘의 판매 중 상품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치콘 절단면적변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열수 침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수침지처리로는 대조구($20^{\circ}C$ 1분)과 $38^{\circ}C$에서의 4분, 8분, $42^{\circ}C$에서의 2분, 4분, 그리고 $45^{\circ}C$에서의 1분, 2분을 두었다. 색차계로 측정한 ${\Delta}a^*$${\Delta}h$값은 $42^{\circ}C$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게 유지되었으며, $42^{\circ}C$의 2분과 $45^{\circ}C$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10^{\circ}C$에 저장 6일째 관능 평가한 절단면의 적변지수는 $42^{\circ}C$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circ}C$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적변의 원인 물질이 되는 총페놀함량을 저장 6일째 조사하였는데, 이 또한 절단면의 색변화가 적었던 $42^{\circ}C$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circ}C$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페놀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PAL 활성은 $42^{\circ}C$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42^{\circ}C$의 2분와 $45^{\circ}C$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가장 강한 열처리였던 $45^{\circ}C$의 2분 처리에서는 절단면의 적변이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페놀함량과 PAL 활성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공기에 노출된 절단조직에서 페놀물질을 산화시켜 적변을 일으키는 PPO의 활성은 $42^{\circ}C$$45^{\circ}C$의 모든 처리구에서 낮았는데, 특히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던 $45^{\circ}C$의 2분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각 조사항목간 상관관계에서, PPO를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간에서는 대부분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관능평가한 적변지수와 ${\Delta}h$값은 $r=0.927^{***}$를, PAL 활성과 총 페놀물질 함량과는 $r=0.942^{***}$의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쇄성(閉鎖性) 수면무호흡증(睡眠無呼吸症)에서 지속적(持續的) 상기도(上氣道) 양압술(陽壓術)이 혈력학적(血力學的) 변화(變化)에 끼치는 영향(影響) (Blood Pressure Reactivity dur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박두흠;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24-33
    • /
    • 2002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하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고혈압이 흔히 병발되나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이하 양압술)에 따른 고혈압 해소 정도는 연구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속적-비관혈적 혈압 측정법을 이용하여 기초 혈압치가 다양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양압술을 적용하면서 야간 수면중 혈압 및 심박 동수 반응에 양압술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양압술에 의한 혈역학적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으로는 수면무호흡증의 임상 증상을 지니고 있으며 기초 측정일의 야간 수면다원검사 결과 호흡장애지수가 5이상인 환자 10명(평균연령 52.2$\pm$12.4세, 남자 9명, 여자 1명)을 선택하였다. 양압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인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을 시행한 양압술 시행일 모두에서 야간 수면다원기록과 동시에 지속적-비관혈적 혈압측정기($Finapres^{(R)}$)를 사용하여 매 박동(beat-to-beat)시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그리고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매 2초마다 혈중산소포화도($SaO_2$)를 측정하였다.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 두 군간에 혈역학적 및 호흡기적 변인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기초 측정일 값에서 양압술 시행일 값을 뺀 수축기 혈압 델타값 및 이완기 혈압 델타값 각각과 기초 측정일의 측정치들(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그 각각의 혈압 변이도, 심박동수 및 심박동수 변이도,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치, 그리고 호흡장애지수), 양압술 시행일의 측정치들(양압술 처방압력 및 총 각성시간 분율), 연령, 그리고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혈중 산소포화도의 평균치와 호흡장애지수가 기초 측정일에 비해 양압술 시행일에서 각각 증가(p<.01) 및 감소(p<.01)하였으나, 혈역학적 변인을 포함한 다른 비교 변인들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기초 측정일의 혈압에서 양압술 시행일의 혈압을 뺀 델타값들을 분석한 결과 기초 측정일의 혈압치와 대상군의 연령에 따라 혈압 반응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 델타값과 기초 측정일의 수축기 혈압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1), 이완기 혈압 델타값과 기초 측정일의 이완기 혈압간에는 각성기(p<.01)를 제외한 다른 수면단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렘수면단계를 제외한 모든 수면단계에서 이완기 혈압의 델타값과 연령 사이에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지만(p<.05), 수축기 혈압의 델타값과 연령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수축기 혈압 델타값 및 이완기 혈압델타값 각각과 기초 측정일의 측정치들, 양압술 시행일의 측정치들, 그리고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완기 혈압 델타값과 양압술 시행일의 각성시간 분율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p<.01) 외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양압술 적용에 따라 수축기 혈압 델타값과 이완기 혈압 델타값이 기초 측정일의 수축기 혈압치와 대상군의 연령에 따라 각각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압술에 따른 혈압 반응은 단순 감소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변인의 조건에 따라 차별적 혈압 반응 양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인 현상이며 앞으로 좀더 세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대상임을 시사한다.

  • PDF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비탄성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The Inelastic Behavior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Tall Walls)

  • 윤현도;정학영;최창식;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9-14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f_x$)$704kg/cm^2$, 철근 항복강도 ($f_y$) $5,830kg/cm^2$인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에 있어서 휨항복 후 축응력에 따른 비탄성 이력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60층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건축물의 최저층부 3개층을 1/4크기로 축소 모델링한 3층 1스팬의 바벨형(barbell shape)독립 내력벽 실험체 3개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주요변수는 내력벽 경계부재(boundary element)에 작용된 축응력으로 본 실험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형상비 1.8인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은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의 높은 축응력하에서도 수직철근의 휨항복이 선행되면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각 실험체별로 작용된 축응력에 따라 상이한 파괴양상 및 이력특성을 나타냈다. 각 실험체는 연성비(${\delta}/{\delta}_y$)13에서 15사이에 휨압축부 경계부재 및 벽체 콘크리트의 압괴와 주근 파단 등에 의해서 최종 파괴되었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는 실험종료시까지 축력이 충분히 지지되는 휨항복형의 안정된 비탄성 이력거동을 보였다.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이내인 경우, 축응력은 내력벽의 횡하중 지지능력, 초기 할선강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휭항복 후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에 따른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성, 에너지, 일 및 강성 등의 개념을 도입한 손상지표(damage index) 로써 각 실험체의 내진성능을 평가한 결과, 경계부재에 작용된 측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이내에서 축응력이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내진성능은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질량방출의 방향지시 매개인수 비교 (Comparing Directional Parameters of Very Fast Halo CMEs)

  • 노수련;장헌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83-394
    • /
    • 2008
  • 코로나질량방출(CMEs)의 지구영향도를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속도가 빠른 CMEs의 방향지시 매개인수(parameter)를 조사하여 Dst 지수 최소값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인수 중 어떤 매개인수가 예측 효율성이 높은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SOHO/LASCO 목록에서 CMEs의 속도가 1000km/s 이상, CMEs발생 위치가 태양 중심에서 ${\pm}30^{\circ}$ 이내에 위치한 혜일로(halo) CMEs를 사용하였다. 이 CMEs가 태양에서 발생하여 지구에 도착하는 시각을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뒤 이 시각에 가장 가까운(24시간 이내) Dst 지수 최소값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였다. 전체 30개의 사건 중 22개(73%)가 지자기 폭풍을 일으켰다. 우리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예측하기 위해 기존의 방향 매개인수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이심을,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를 사용하였다. 이들 매개인수와 Dst 지수 최소값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값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해 어떤 매개인수가 CMEs의 지구 영향도 예측 효율이 높은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심율 매개인수가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방향 매개인수는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동거리와 중심각 매개인수는 이심율과 방향 매개인수보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이들 역시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leq}$-200nT)의 경우에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방향 매개인수 값이 0.6 이상이고 이심율 매개인수 값이 0.4 이하이며 이동거리, 중심각 매개인수 값이 0.2 이하인 경우에는 강한 지자기 폭풍(Dst 지수 ${\leq}$-200nT)이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MEs의 방향을 지시하는 매개인수는 CMEs의 지구 영향도를 판별하는데 유용하고 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예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