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very Method

검색결과 1,924건 처리시간 0.045초

분만유형별 산모의 산전관리 실태와 분만서비스 만족도 (Mother's Prenatal Care and Delivery Services Satisfaction according to Mode of Delivery)

  • 조동숙;김윤미;허명행;오효숙;김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3-36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childbirth and antenatal care for pregnancy women and to find differences in mother's antenatal care and delivery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4 residential areas and a study sample of 184 postpartum mothers who agreed to collect data.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0 2007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recruited by th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chi-squire test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ivery place between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delivery. Only 10.7% of vaginal delivery group delivered in general hospitals, however 24.5% of the cesarean section group delivered in general hospitals. Early antenatal care also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in mode of delivery. 43.5% of vaginal delivery mothers visited hospitals for the detection of pregnancy but 28.3% of cesarean section mothers did that. Vaginal delivery mothers more satisfied with her own delivery method and suggested a vaginal delivery to oth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sarean section mother's sensitivity of early antenatal care was less than vaginal delivery mother. Satisfaction related to delivery care services were higher in the vaginal delivery group.

국내 배달음식 이용건수 분석 및 예측 (A Study on the Number of Domestic Food Delivery Services)

  • 권재영;김시내;박은지;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977-990
    • /
    • 2015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배달음식 문화가 가장 많이 발달한 나라 중에 하나로 최근에는 일인가구의 증가와 배달앱 시장의 발달과 함께 그 성장 속도 또한 눈부시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배달음식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날씨와 날짜별 변수를 고려하여 시간대별 배달음식 이용건수를 예측함으로써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예측모형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2014년도 배달음식 통화건수를 예측하는데 있다. 예측에 사용되는 회귀 모형은 선형회귀모형, 랜덤 포레스트, 그래디언트 부스팅, 서포트 벡터 기계, 신경망,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총 6가지이다. 고려되는 배달음식 업종은 총 4가지(족발/보쌈정식, 중국음식, 치킨, 피자)로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각 업종별 배달음식 이용건수를 예측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총 이용건수와 각 업종별 배달음식 이용비율을 곱하여 각 업종별 배달음식 이용건수를 예측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각 업종별 모형을 세워 각 업종별 배달음식 이용건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모형은 방법 1에서는 신경망 모형과 선형회귀모형이며, 방법 2에서는 신경망 모형이었다. 방법 2보다는 방법 1로 구한 결과가 더 예측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 주문을 통한 묶음 배달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Delivery Method of Bundles through Efficient Ordering)

  • 신민석;박성준;임영준;박민준;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101
    • /
    • 2022
  • 배달 플랫폼이 생기기 이전에는 소비자가 가게에 전화로 주문하면 가게에서 직접 고용한 라이더가 배달하거나 배달대행업체를 통해 배달했다. 하지만 외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배달 플랫폼이 성장하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이제는 배달 플랫폼 없이 주문하는 경우를 보기 힘들어졌다. 이렇게 배달 플랫폼을 이용해 주문하면 라이더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공급을 위해 배달비가 점점 인상되는 악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우리는 현재 배달 시스템의 문제점 해결과 배달비 절감을 위한 공동 배달 채팅앱을 제안한다.

공대지 무장투하정확도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for Air-to-Ground Weapon Delivery)

  • 조한상;송재일;이상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741-74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대지 무장의 무장투하정확도에 대한 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항공기의 전투효과도(Combat Effectiveness)를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인 공격능력(Lethality)은 공대지 무장투하정확도 개선능력에 좌우된다. 항공기 초기 설계단계부터 최종 검증단계 까지 무장투하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기술하였으며 각 요소들을 무장투하정확도에 반영하는 기법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무장투하정확도 분석은 Bias error를 영으로 가정하고 Random error에 의한 투하오차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빅 데이터를 이용한 음식방송의 효과 확인: 이중차이분석을 적용하여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a Food-themed TV Program on Delivery Food Order Amount Using Big Data with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 박지혜;박재홍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3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도 공개된 빅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 비교적 쉽게 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참고할 수 있는 분석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KT Data Hub에서 공개한 '배달 업종 이용 현황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식을 주제로 한 방송이 실제로 배달음식 주문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중차이(DID: Difference In Differences) 방법을 적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배달음식을 주제로 한 TV 프로그램의 5개 회 차 중 4개 회 차의 방영 후 배달음식의 주문량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식을 주제로 한 방송으로 인해, 해당 방송이 진행된 점포 뿐아니라 해당 점포와 같은 음식 업종 전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공개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에서 쉽게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참고사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공공 건설공사 발주방식에 따른 비용성과 비교연구 (Comparison of Cost Performance for Delivery Methods o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이유섭;강태경;신은영;박원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575-2582
    • /
    • 2013
  • 공공건설공사 발주제도 운영에 있어 기술경쟁을 지향하는 턴키 및 대안방식 등 설계 시공일괄방식의 경우, 시설물의 품질향상 및 건설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음에도 불구, 계약되는 공사비가 설계 시공 분리발주방식을 적용하는 공사보다 높아 예산낭비 우려가 있다는 지적과 함께 수주독점, 입찰담합, 심의비리 등의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주방식별 사업성과와 효과에 대해 정밀 비교분석한 사례가 없는 실정이며, 단순히 낙찰률 등 사업의 한정된 일반적 정보만으로 사업효과를 논의하고 판단하는 것은 자칫 오류를 범할 우려가 있다. 이에 공공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계약에서 준공에 이르기까지 실제 집행한 공사비 자료를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비용의 투입구조 및 변동추세 등 발주방식별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공공건설공사 발주제도의 올바른 이해와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Mobile Food Delivery Application Usage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 Song, Ye-Eun;Jeon, Sang-Hoon;Jeon, Min-S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7
    • /
    • 2017
  • The number of delivery app users and their social impact have increased along with the number smartphone user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delivery apps for relevant businesses and researchers by determining the influences of delivery app usage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The present study distributed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through on- and offline surveys targeting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in the Daejeon area.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delivery app usage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was 43.8%, and informativeness, payment and safety, usefulness, and convenience were found to influence the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 delivery apps. The influence of delivery app usage factors on customers' reuse intention was 37.3%, and among the four usage factors, informativeness and payment and safety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for increasing the reuse intention. As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is a mean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by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delivery apps, new menus and prices should be rapidly updated.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Distraction and Risky Driving Behaviors of Food Delivery Motorcycle Riders

  • Ching-Fu Ch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2호
    • /
    • pp.207-214
    • /
    • 2023
  • Background: Occupational safety issues related to food delivery riders emerge with evidence of an increase in associated traffic accidents and injuries 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online food delivery business. This paper focuses on food delivery riders' job stress and investigates its relationships with both antecedents and risky riding outcomes. Metho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Taiwanese food delivery motorcycle riders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job overload and time pressure positively impact riders' job stress, while self-efficacy slightly reduces job stress. Job stress positively leads to risky driving behavior and distraction. In addition, time pressure can strengthen the impact of job overload on job stress. Riders' risky riding attitude can also strengthen the impacts of job stress on risky riding behaviors and distraction. Conclusion: This paper advances the literature on online food delivery as well as the occupational safety improvement of food delivery riders.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job stress of food delivery motorcycle riders and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risky behavioral consequences.

미출산 여성과 출산 여성의 맥파 비교 - 난임 맥파 지표 연구를 위한 - (A Study on the Pulse Wave Parameter in Non Delivery and Delivery Women)

  • 서창운;김경철;김이순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200-215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ulse wave parameter between the non delivery group (single women with no childbirth experience) and the delivery group (married women who gave birth(s) in delivery). Methods : Sixty one healthy (non delivery) nulliparous women and fifty three delivery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3 dimensional pulse analyser(3D MAC, DAEYOMEDI co., Korea), which measures radial pulse waveform non-invasively by way of tonometry method at 5 different applied pressure levels. From 114 subjects enrolled, pulse wave parameters were measured on the six locations of Chon, Kwan and Cheok of each hands. Results : Delivery group's pulse showed larger values in the following pulse wave parameters (Energy, Ap, RAI, As, Aw, h1, h2, h4, h4/h1, t, t1, t2, t4, Wm, Wm/t). Non delivery group's pulse indicated larger values in the pulse wave parameters such as Energy of left Chon, difference pulse energy between left and right hand, Ad, h5, h5/h1, t5.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delivery group's pulse has bigger values in most part of pulse wave parameters, especially in Kwan and Cheok which correspond to Liver, Kidney, and Myeong-mun. We interpret these results that delivery women are more mature and stable in reproductive organs than non delivery group, as they have experienced delivery(deliveries) and child-caring through married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