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polymerization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8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Xylanase from Paenibacillus sp. NF1 and its Application in Xylooligosaccharides Production

  • Zheng, Hong-Chen;Sun, Ming-Zhe;Meng, Ling-Cai;Pei, Hai-Sheng;Zhang, Xiu-Qing;Yan, Zheng;Zeng, Wen-Hui;Zhang, Jing-Sheng;Hu, Jin-Rong;Lu, Fu-Ping;Sun, Jun-Sh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489-496
    • /
    • 2014
  • High levels of extracellular xylanase activity (211.79 IU/mg) produced by Paenibacillus sp. NF1 were detected when it was submerged-cultured. After three consecutive purification steps using Octyl-Sepharose, Sephadex G75, and Q-Sepharose columns, a thermostable xylanase (XynNF) was purified to homogeneity and showed a molecular mass of 37 kDa according to SDS-PAGE.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XynNF was up to 3,081.05 IU/mg with a 14.55-fold purification. The activity of XynNF was stimulated by $Ca^{2+}$, $Ba^{2+}$, DTT, and ${\beta}$-mercaptoethanol, but was inhibited by $Fe^{2+}$, $Zn^{2+}$, $Fe^{2+}$, $Cu^{2+}$, SDS, and EDTA. The purified XynNF displayed a greater affinity for oat spelt xylan with the maximal enzymatic activity at $60^{\circ}C$ and pH 6.0. XynNF, which was shown to be cellulose-free, with high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70^{\circ}C-80^{\circ}C$) and low pH range (pH 4.0-7.0), is potentially valuable for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The enzyme hydrolyzed oat spelt xylan to yield mainly xylooligosaccharides (95.8%) of 2-4 degree of polymerization (DP2-4). Moreover, the majority of the xylooligosacharides (DP2-4) products was xylobiose (61.5%). The thermostable xylanase (XynNF) thus seems potentially usefull in the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PVA-전구체법을 적용한 $Li_xNi_{1-y}Co_yO_2$ 다결정성 분말의 합성 : 합성조건에 따른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고찰 (Synthesis of polycrystalline powder of $Li_xNi_{1-y}Co_yO_2$ via the PVA-precursor method : the effect of synthetic vari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y of the lithium ion battery)

  • 김수주;송미영;권혜영;박선희;박동곤;권호진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2
    • /
    • 1999
  • PVA-전구체법을 사용하여, 리튬전지의 양극물질인 $Li_xNi_{1-y}Co_yO_2$의 다결정성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을 양극물질로 사용하여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여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PVA와 금속이온간의 상대적 양, PVA의 농도 및 중합도, 열처리조건, 금속의 조성비 등 여러 다른 합성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그러한 합성상의 조건 변화가 리튬이온전지의 전지특성과 어떠한 상호관계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전지의 초기성능에 관한 한, PVA-전구체법으로 합성한 $Li_xNi_{1-y}Co_yO_2$의 경우, 최적의 조성은 x=1.0, y=0.26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PVA-전구체법으로 합성할 경우, 전구체에 남는 잔여탄소로 인해 형성되는 $Li_2CO_3$가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 공기의 흐름 속에서 열처리를 하거나, 합성 후 2차 열처리 과정에서 $500^{\circ}C$의 온도에서 건조공기의 흐름을 유지하며 annealing 처리를 하는 것이 전지의 특성을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당질미(Sugary Rice)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gary Rice)

  • 김세리;송유천;신말식;이석영;조준현;이지윤;하운구;김영두;구연충;김호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쌀의 다양한 용도개발을 위하여 당질미 계통들의 작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질미 계통들의 간장은 평균 90 cm로 남평벼에 비하여 6 cm정도 컸으며 현미 천립중은 $10.2{\sim}22.2g$으로 남평벼보다 가벼웠다. 또한 현미 평균 수량은 $159{\sim}473kg/10a$로서 큰 변이를 보였다. 2. 당질미들의 아밀로스를 제외한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의 함량은 대부분의 경우 남평벼보다 많았으며 당함량은 남평벼에 비하여 최저 2.4에서 최고 6.1배 가량의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특히 다른 당에 비하여 sucrose 함량이 높았다. 3. 아밀로펙틴사슬분포에서 당질미 계통들은 $DP{\leq}12$의 비율이 높고 $12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ytoglycogen 합성이 많아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호화특성은 대부분의 당질미 계통들은 매우 낮은 점도 특성을 보였다.

숙성기간에 따른 머루와인의 품질적 특성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 강병태;윤옥현;이재우;김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8-553
    • /
    • 2009
  • 오크통에서 숙성기간이 다른 머루와인의 페놀 화합물 함량과 색, 항산화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긴 머루와인일수록 감소하였는데, 그 경향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총 페놀, 안토시아닌, 탄닌은 숙성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는 숙성 2년 와인에서 크게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특히, 총 페놀과 안토시아닌은 유의성 있는 함량 차이를 보였다. 탄닌의 중합도와 축합된 탄닌의 함량도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와인의 명도(L*)는 숙성기간이 길수록 높아져 점차 밝은 색으로 변화하였으나 색의 강도(CI)는 감소하였는데, 대조군인 포도와인의 강도보다는 높았다. 머루와인의 적색소(a)는 감소하였고, 노란색소(b)와 색상(hab)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기간이 1년인 머루와인의 자유라디칼 포획효과가 87% 내외로 항산화제 BHA(90%)와 Quercetin(92%)만큼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활성은 장기 숙성와인에서도 80% 내외를 유지하였다. 페놀 화합물의 종류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를 회기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의 상관계수($r^2$)가 각각 0.7625, 0.7005, 0.1136, 0.9189로 나타났다.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Chindo Black Rice Starch)

  • 박종훈;오금순;강길진;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41-246
    • /
    • 2000
  • 진도산 검정쌀 전분의 분자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고 신선찰벼와 비교 검토하였다.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의 전분-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은 각각 523 nm, 521 nm였고, 고유점도는 각각 183 ml/g, 178 ml/g였으며, ${\beta}-amylolysis$ limit(%)는 각각 62.8%, 60.3%였다. 진도산 검정쌀은 요오드 반응과 Sepharose CL-2B의 용출패턴 결과로 찹쌀임을 알 수 있었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40{\sim}50$(획분 II), 중합도 $15{\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획분 II에 대한 획분 III의 비율(A/B 사슬비)는 진도산 검정쌀이 3.02, 신선찰벼가 2.82로 나타났다. 또한, 초장쇄 부분이 획분 I은 진도산 검정쌀이 신선찰벼의 아밀로펙틴 보다 많았다. 진도산 검정쌀의 아밀로펙틴 베타-한계 덱스트린 분자량 분포는 신선찰벼와 비슷하였다.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 분포는 중합도 55이상(획분 I), 중합도 $30{\sim}45$(획분 II), 중합도 $10{\sim}20$(획분 III)으로 분포하였으며, 진도산 검정쌀과 신선찰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도산 검정쌀 전분은 polymodal 구조를 갖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선찰벼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였다.

  • PDF

당뇨 유발 생쥐에서 Fructan이 혈당과 이당류분해효소 활성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ans on Blood Glucose, Activities of Disaccharidases and Immune 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정현진;성혜영;최영선;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88-1194
    • /
    • 2005
  •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생쥐에서 fructan(치커리이뉼린과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이 혈당, 인슐린과 소장 및 신장의 이당류분해효소 활성 및 면역능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혈당은 당뇨군들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커리이뉼린군의 혈당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Fructan은 혈장 인슐린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장점막의 maltase와 sucrase활성은 당뇨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당뇨군 중에서 치커리이뉼린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신장 maltase 활성은 정상군과 당뇨군이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신장 sucrase와 lactase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치커리이뉼린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LPS에 의한 비장세포증식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군이 유의 적으로 증가하여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ConA에의한 비장세포증식은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PS에 의한 증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비장세포로부터의 IL-2의 분비는 당뇨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당뇨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당뇨 생쥐에서 프럭토올리고당,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치커리이뉼린을 비교한 결과, 혈당 강하에 미치는 효과가 치커리이뉼린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비장세포 증식능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커리이뉼린올리고당 섭취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 증식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면역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적변삼 외피에서 지질, 페놀성물질 및 철 성분의 축적에 관한 연구 (Accumulation of Crude Lipids, Phenolic Compounds and Iron in Rusty Ginseng Root Epidermis)

  • 이태수;목성균;천성기;윤종혁;백남인;최정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57-164
    • /
    • 2004
  • 인삼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적변삼 외피세포 조직의 특성과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변외피는 현미경 관찰결과 적색이 아닌 황색으로 보였으며, 적변외피의 세 포층수는 10∼13층으로 건전외피의 5∼6층에 비해 2배 정도 많았고, 외피층의 두께에 있어서는 적변외피가 179 $\mu\textrm{m}$로서 건전외피의 55$\mu\textrm{m}$에 비해 3.2배 정도 더 두꺼웠다. 2. 착색도는 적변외피가 건전외피에 비해 5.5배 정도 짙게 나타났으며, 적변물질의 각 추출분획별 용해도는 비극성 보다는 극성용매에서 높았고, 또한 UV-spectrum은 275∼280nm에서 흡광 최대를 나타냈다. 3. 적변외피는 지질성 물질은 물론 산불용성 에스테르화 페놀물질, 산불용성 결합 페놀물질, 산불용 축합성 페놀물질, 불용성 결합 페놀물질 및 유리 페놀 물질 함량이 건전외피에 비해 많았으며 철의 함량에 있어서도 적변외피가 2,220 ppm으로 건전외피의 820 ppm 보다 2.7배 정도 많았다. 4. 적변삼은 인삼뿌리가 분포된 근권환경의 어떤 외적환경에 의해 뿌리가 stress를 받을 때 자체방어 물질인 phenol 물질이 외피로 배출되면서 외피의 지질성 물질과 polymerization되고 이때 철(Fe)이 체놀성 물질과 강하게 chelating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키토올리고당과 수용성 키토산의 열처리가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와 항 로타바이러스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Chitooligosaccharide and Water-Soluble Chitosan on the Changes in Oligosaccharide Content and Anti-Rotaviral Activity)

  • 박범석;김종헌;유대환;유제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809-816
    • /
    • 2002
  • 키틴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화합물인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므로 생물의학적인 응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키토올리고당과 수용성 키토산의 열처리 후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와 어린이 바이러스성 설사를 유발하는 HRV(human rotavirus)의 MA-104 세포감염에 억제작용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 후 비색법으로 측정한 올리고당의 함량은 수용성키토산의 경우 62.67 %에서 60.45%로 약 2%정도, 키토올리고당은 59.48%에서 54.31%로 약 5%정도 감소하였다. 키토산 유래물질의 항로타바이러스성 탐색은 AEC staining으로 측정하였으며, 수용성키토산은 농도 0.125% 이상에서 HRV S2의 세포감염에 있어 90% 이상의 감염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HRV Wa의 경우 89%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키토올리고당은 HRV의 세포감염에 억제효과가 없었다.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수용성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모두 열처리가 HRV의 감염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합도가 높은 수용성키토산은 열처리를 거치는 식품에 첨가하여도 그 기능이 크게 감소하지 않으므로 향후 식품첨가물로서 이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중간수분식품 모델계에서의 마이야르 반응에 관한연구 (Maillard Reaction in an Intermediate Moisture Model Food System)

  • 김윤지;최형택;유주현;오두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118
    • /
    • 1987
  • 중간수분식품 모델계를 사용하여 마이야르반응에 대한 Aw, 저장은도, pH, PEG첨가의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모델계의 초기 glucose와 Iysine의 mol비를 0.5에서 4까지 변화시켜 저장한 결과 mol비가 증가함에 따라 갈색화가 촉진되어 mol비 3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Aw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중간수분식품의 Aw범위인 $0.67{\sim}0.84$의 Aw에서 갈색화가 촉친되었다. 저장온도의 영향은 온도가 높을 수록 갈색화가 촉진되었고 저장온도에 따라 최대 갈색화가 일어나는 Aw가 변화하여 60, $40^{\circ}C$의 경우 Aw0.84, $30^{\circ}C$에서는 Aw 0.74, $20^{\circ}C$에서는 0.67에서 최대 갈색화 현상을 보여 주었다. Aw 0.84. 0.74, 0.67에서의 각각의 활성화 에너지는 18.03, 15.18. 9.90Kcal/mole 이었다. 완충액을 사용하여 또델계의 pH를 조절하여 저장한 결과 알칼리쪽에서 갈색화가 촉진되었으며, PEG첨가에 따른 영향은 종합도가 높을 수록 갈색화저해효과가 컸다.

  • PDF

발아 거대배아미의 당화력 및 전분입자의 이화학적 특성 (Amylolytic activity and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the Giant Embryonic Rices)

  • 강미영;이연리;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89-194
    • /
    • 2003
  • 메품종의 거대배아미인 화청거대배아미, 남풍거대배아미, 그리고 찰품종인 화청찰거대배아미, 신선찰거대배아미 등 4품종의 거대배아미 품종의 볍씨를 각각 $27^{\circ}C$에서 3일간 발아시켜, 발아에 따른 전분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 및 전분입자의 이화학적 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3일간 발아시킨 벼의 ${\alpha}-amylase$의 활성은 맥아에 비해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화청거대배아미 및 신선찰거대배아미는 맥아보다 약 2배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beta}-amylase$의 경우는 일반품종보다는 거대배아미품종의 활성이 높기는 하지만 비교군인 맥아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전분분자 중 아밀로오스 분자 유래의 긴 포도당 사슬의 양은 발아와 더불어 메품종 거대배아미에서는 줄어들고 있었으며, 찰품종에서는 증가하고 있었다. 아밀로펙틴 분자 유래의 포도당 사슬길이 분포는 찰벼와 메벼 품종에 관계없이 발아와 더불어 중합도가 14부터 60가지 비율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중합도 130이상 또는 13이하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었다.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거대배아미메품종의 경우에는 발아와 더불어 현저히 낮아지고 있었고, 찰품종의 경우에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호화개시온도, 호화종료 및 호화엔탈피는 감소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