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adation Patterns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2초

핵심어 인식기에서 단어의 음소레벨 로그 우도 비율의 패턴을 이용한 발화검증 방법 (Utterance Verification using Phone-Level Log-Likelihood Ratio Patterns in Word Spotting Systems)

  • 김정현;권석봉;김회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55-6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method to verify a keyword segment that results from a word spotting system. First a baseline word spotting system is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word spotting systems, we use a two-pass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 word spotting system and an utterance verification system. Using the basic likelihood ratio test (LRT) based utterance verification system to verify the keywords, there have been certain problems which lead to performance degradation. So, we propose a method which uses phone-level log-likelihood ratios (PLLR) patterns in computing confidence measures for each keyword.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weights according to the PLLR patterns and assigns different weights to each phon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nfidence measures for the keywords. This proposed method has shown to be more appropriate to word spotting systems and we can achieve improvement in final word spotting accuracy.

  • PDF

깻잎의 재배, 저장 및 세척에 따른 잔류농약 분해특성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hree Pesticides in Perilla Leaf by Cultivation, Storage and Washing)

  • 서정미;김종필;양용식;오무술;정재근;신현우;김선주;김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9-208
    • /
    • 2007
  • 들깻잎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은 농약성분 중 안전사용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indoxacarb, procymidone과 들깨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dimethomorph의 재배 및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변화, 세척방법에 따른 제거효과를 실험하였다. 들깻잎에서 dimethomorph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표준량 처리시료와 배량 처리시료가 각각 2.91일, 3.11일이었고, indoxacarb는 2.53일과 3.14일, procymidone은 2.62일과 2.92일이었다. 회귀식을 이용하여 MRL이하로 잔류량이 떨어지는 시점을 예측한 결과, 표준량 처리시료와 배량 처리시료가 dimethomorph는 각각 12.2일, 14.6일이였고, indoxacarb는 11.6일과 15.5일, procymidone은 11.7일과 13.9일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감소율이 농약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저장온도 별로는 $2.1{\sim}3.8$배의 감소율 차이를 보여 실온 대비 저온 보관에서 농약의 감소가 적었다.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의 세척률은 indoxacarb가 $74.1{\sim}9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procymidone $57.9{\sim}81.6%$, dimethomorph $51.3{\sim}73.3%$ 순으로 나타났다.

시금치의 생육, 저장기간 및 세척에 따른 잔류농약 분해특성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wo Pesticides in Spinach by Cultivation, Storage and Washing)

  • 서정미;하동룡;이향희;오무술;박종진;신현우;김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1-99
    • /
    • 2010
  • 시금치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은 농약성분 중 시금치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azoxystrobin과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cholrpyrifos에 대하여 재배 및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변화, 세척방법에 따른 제거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금치에서 azoxystrobin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파파 품종과 월동 품종이 각각 3.8일, 3.2일이였고, chlorpyrifos는 4.7과 3.8일이였다. 회귀식을 이용하여 MRL이하로 잔류량이 떨어지는 시점을 예측한 결과, 파파와 동 품종에 처리한 azoxystrobin는 각각 9.7일, 9.4일이였고, chlorpyrifos는 49.2일과 42.5일이였다. 저장기간 중 azoxystrobin의 예상 반감기는 노지 상태의 생육기간 반감기와 비교해 품종별로 약 2.8~8.9배 더 길었으며, chlorpyrifos를 처리한 파라와 월동 품종의 예상반감기도 생육기간의 반감기와 비교해 약 2.7~3.9배 더 긴 반감기를 나타내었다. 세척방법에 따른 azoxystrobin의 제거율은 데치기 방법이 단독 방법으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으나, chlorpyrifos는 1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세척에 의한 품종별 잔류농약 제거율은 azoxystrobin이 9.6~90.0%, chlorpyrifos가 17.7~85.8%였다.

계란 ovomucoid의 탄수화물 부분에 미치는 이온화방사선의 영향 (Ionizing Radiation Effect on the Carbohydrate Moiety of Chicken Ovomucoid)

  • 이영근;김진규;김재성;송희섭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1997
  • 계란 흰자내에 존재하면서 전형적인 알레르기원이며 단백질분해효소 저해물질인 ovomucoid의 탄수화물 곁사슬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효과를 관찰하였다. Trypsin 저해 활성은 방사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손실되었는데 질소환경과 비교하였을 때, 산소환경에서 방사선 조사한 경우 ovomucoid의 불활성화가 현저히 보호되었다. Protein blotting 결과 산소환경에서 방사선을 조사한 경우는 단백질이 일부 파괴되었고, 질소환경하에서는 단백질 응집 현상이 일어났다. Carbohydrate blotting 결과로 나타난 밴드의 위치 및 형태 역시 protein blotting 결과와 유사하였다 HPLC 분석 결과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올리고당 분획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소환경하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방사선에 의해서 탄수화물 곁사슬의 파괴 및 유리로 인한 전반적인 구조적 변화가 초래되어 ovomucoid의 활성도 변화를 좌우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표고 균주(菌株) JA01에서 분비되는 세포외(細胞外) 목재성분(木材成分)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하여 (Extracellular Wood-degradative Enzymes from Lentinus edodes JA01)

  • 홍순우;신광수;윤엽;이원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9-194
    • /
    • 1986
  • 한국산 표고균(菌)의 생리적 조사의 일원으로서 이 균주(菌株)가 목재에서 생장시 필요로하는 목재분해 효소들의 특징 및 생성경향을 조사하였다. 각 효소들의 유도를 위한 배지로서는 각각 단일의 특정탄소원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고 이때 추출한 조효소를 효소용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들 효소에 대한 최적온도 및 최적 pH등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균주가 목재구성성분을 분해하는 기작을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복합배지 및 통방배지 내에서의 각 효소생성 양상을 측정하였다. 이 균주가 목재성분을 분해할 때에는 cellulose와 hemicellulose의 하나인 xylan을 초기에 분해하여 이용하고, 조금지나서 pectin 질을 분해함을 알수있었다. 또한 이들기질들은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분해가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 PDF

Local tissue effects of various barrier membranes in a rat subcutaneous model

  • Naenni, Nadja;Lim, Hyun-Chang;Strauss, Franz-Josef;Jung, Ronald E.;Hammerle, Christoph H.F.;Thoma, Daniel S.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5호
    • /
    • pp.327-33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cal tissue reactions associated with 3 different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rototype membranes and to compare them to the reactions associ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resorbable membranes in rats. Methods: Seven different membranes-3 synthetic PLGA prototypes (T1, T2, and T3) and 4 commercially available membranes (a PLGA membrane, a poly[lactic acid] membrane, a native collagen membrane, and a cross-linked collagen membrane)-were randomly inserted into 6 unconnected subcutaneous pouches in the backs of 42 rat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4, 13, and 26 weeks. Descriptive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membrane degradation, visibility, tissue integration, tissue ingrowth, neovascularization, encapsulation, and inflammation.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complete integration and tissue ingrowth of PLGA prototype T1 at 26 weeks. In contrast, the T2 and T3 prototypes displayed slight to moderate integration and tissue ingrowth regardless of time point.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he 3 synthetic prototypes were similar at 4 and 13 weeks, but differed at 26 weeks. T1 showed marked degradation at 26 weeks, whereas T2 and T3 displayed moderate degradation. Inflammatory cells were present in all 3 prototype membranes at all time points, and these membranes did not meaningfully differ from commercially available membranes with regard to the extent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Conclusions: The 3 PLGA prototypes, particularly T1, induced favorable tissue integration, exhibited a similar degradation rate to native collagen membranes, and elicited a similar inflammatory response to commercially available non-cross-linked resorbable membranes. The intensity of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degradable dental membranes appears to relate to their degradation kinetics, irrespective of their material composition.

토양중 [$^{14}C$Carbofuran의 분해 및 비추출성 잔류분의 특성 (Degradation of [$^{14}C$]Carbofuran in Soil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Nonextractable Residues)

  • 박창규;이영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63-268
    • /
    • 1995
  • 침투성 살충제의 일종인 carbofuran을 대상으로 수분조건을 달리한 논과 밭상태의 토양중 분해경로상 차이점과 비추출성 잔류분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침수 및 습윤상태로 수분조건을 조절한 토양에 [$3-^{14}C$]Carbofuran을 정상적 포장살포약량인 1.0mg/kg (87.8kBq/50g 토양)수준으로 처리하고 경시적으로 특성별 방사능과 분해산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중 carbofuran의 초기분해경로는 수분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여 침수상태에서는 가수분해가 우세하였던 반면 습윤상태에서는 산화가 주된 초기분해반응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해속도에 있어서도 토양중 반감기가 각각 34일 및 50일로 수분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토양중에 처리한 carbofuran 및 분해산물중 상당량이 비추출성으로 전환, 처리 60일후 $24{\sim}39%$에 달하였으며 주로 토양유기물에 분포하였다. 비추출성 방사능의 토양유기물중 분포를 조사한 결과 처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arbofuran 및 그 분해산물들은 fulvic acid, humic acid 및 humin분획에 혼입되었으며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자량 $10^4$ 이상의 혼입고분자화합물이 존재함을 밝혔다.

  • PDF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고춧가루 중 농약의 잔류량 변화 (Change of the Concentr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Pepper Powder by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 조성애;김은희;김경식;김정헌;박석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7-132
    • /
    • 2009
  • 고춧가루를 대상으로 온도별 저장기간 동안의 농약 잔류량의 변화측정을 목적으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시다성분 방법으로 농약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고춧가루에서 cypermethrin, fenvalerate, kresoxim-methyl, chlorpyrifos, chlorfenapyr, azoxystrobin, tebuconazole등 7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MRLs(maximum residue limits)을 기준하여 분석한 결과 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은 cypermethrin krexosim-methyl 그리고 tebuconazole 이었다. 가장 많은 감소율을 보인 농약은 azoxystrobin와 fenvalerate로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각각 80%이상의 감소율을 보였고, 가장 적은 감소율을 보인 농약은 chlorpyrifos로 실온과 냉장 보관 시 약47%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냉동 보관 시에는 약 34%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60일 경과 후에 저장 온도에 따른 잔류농약 분석 결과 실온에서는 47~84%감소율을 보였고, 냉장에서는 47~85%, 냉동에서는 34~83%의 감소율을 보여, 실온과 냉장 보관 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온과 냉장 보관 시보다 냉동보관 시 낮은 농약감소율을 보였다.

ZnO 바리스터 단입계의 열화 메카니즘 (Degradation Mechanism of single grain boundary in Zno Varistor)

  • 김종호;임근영;김진사;박춘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784-789
    • /
    • 2004
  • Bulk ZnO varistor based on Matsuoka, which varied $SiO_2$ addition has fabricated by standard ceramic process. The micro-electrode, which fabricated for investigation on degradation property of the Single Grain Boundary of ZnO varistor, has sticked by lithography semiconductor process. The values of AC degradation has measured with 150% operating voltage in varistor threshold with 120 minute in 60Hz. In here we observed V-I and V-C property in every 30minute. The operating voltage of Single Grain Boundary has shown in variable patterns in the characteristic of V-I Property. By increasing the $SiO_2$ contents, operating value has also increased and dominated on degradation proper. In EPMA analysis, we know that added $SiO_2$ was nearly distributed at the Grain Boundary. $SiO_2$ has gradually distributed in Grain Boundary condition during the process of crystal growth. It contributes to degradation depression and decision of operating voltage. We also demonstrated for using practical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n distribution random loop based on V-I Properties in Single-Grain-Boundary.

  • PDF

위상배열 안테나를 활용한 다중 경로 효과에 의한 고각 정확도 열화 분석 및 열화 최소화를 위한 빔 패턴 최적화 (An Analysis on the Degradation of Elevation Angle Accuracy Due to the Multi-Path Effect Using a Phased Array Antenna and the Beam Pattern Optimization to Minimize Its Degradation)

  • 김영완;이재민;채희덕;진형석;박종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036-104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위상배열 안테나를 활용해 다중 경로 효과에 의한 공항정밀접근레이다의 고각 정확도 열화에 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항의 활주로 주변에 설치되는 정밀접근레이다는 고정 환경인 활주로면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활주로면에 의한 다중 경로 효과에 따른 정밀접근레이다 고각 정확도 열화에 관하여, 배열 안테나의 합/차 패턴 분석 및 이를 통한 모노펄스 기울기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각 정확도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노펄스용 차 패턴을 고각 정확도 개선에 적합한 형태로 최적화하였다.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배열 안테나 차 패턴을 적용한 후 지면 반사 영향성이 고려된 모노펄스 기울기를 계산하여 고각 정확도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