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ce Acquisition Progra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층간분리 효과를 고려한 복합재 핀의 비선형 천음속 플러터 해석 (Nonlinear Transonic Flutter Analysis of a Composite Fin Considering Delamination Effect)

  • 이광영;김기하;김동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2-9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층간분리 현상을 고려한 복합재 미사일 핀의 비선형 천음속 플러터 해석을 수행하였다. 층간분리 효과를 고려한 유한요소 진동해석 기법은 시험 결과와 비교 및 검증하였다. 비선형 천음속 플러터 해석은 자체 개발한 천음속 미소교란 방정식 기반의 시간영역 플러터 해석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복합재 날개의 층간분리 효과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활용하였다. 복합재 미사일 핀 모델에 대해 층간분리 영역에 따른 아음속, 천음속 및 초음속 플러터 해석을 수행하고 층간분리 영향에 따른 공력탄성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멀티캐리어 레이더에서 고유치 해석에 의한 재머 억제 (Jammer Suppression by Eigen Analysis in Multi-Carrier Radar)

  • 전현무;신성관;정용식;정원주;김종만;양훈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284-1291
    • /
    • 2014
  • 멀티 캐리어 레이더는 수신 신호로부터 표적의 탐지 및 파라메타 추출을 수행하게 되므로, 신호처리에 앞서 재머 신호가 영향을 주는 채널을 배제시키거나, 재머가 억압된 신호를 이용해서 신호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캐리어 레이더에서 재머 채널을 구분하고, 재머가 억제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재머 채널 구분을 위해서는 각 채널로부터 얻어진 공분산 행렬의 표적신호 및 재머 성분을 포함하는 고유벡터(eigenvector)의 각 스펙트럼(angular spectrum) 특성을 이용한다. 수학적 분석에 의해 재머 채널의 구분 기준 근거를 제시하며, 고유벡터 분석에 의해 재머가 억압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DOA(Direction Of Arrival) 추정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제시된 방법이 재머 채널 구분 및 재머가 억압된 신호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AHP 기법을 활용한 방위사업 원가산정 아웃소싱 수행간 리스크요인 식별 (Identification on Risk Factors of Outsourcing for Calculating Costs in Defense Industry Using AHP Technique)

  • 김기택;심상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57-865
    • /
    • 2016
  • 방위사업 원가산정 업무를 민간 용역기관에 아웃소싱한지 4년이 경과되었다. 객관성과 신뢰성이 다소 향상되었지만, 용역기관이 원가산정한 결과를 공무원이 다시 검토하는 등 시간과 비용만 더 든다는 부정적 시각도 일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방위사업 원가산정 아웃소싱 수행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을 식별하여 중요도 우선순위를 분석해 중요도에 따른 리스크 대응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향후 원가산정 아웃소싱간 사전 리스크 관리를 함으로써 적정 원가산정으로 원활한 군수품 조달로 군 전투력 향상, 방산업체 적정 이윤 보장 및 국방 예산절감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재밍 환경에서 잡음 부공간을 이용한 고속 모노펄스 방법 (Fast Monopulse Method Using Noise-Jamming Subspace)

  • 임종환;김재학;양훈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72-375
    • /
    • 2014
  • 재밍 환경에서의 maximum likelihood(ML) 기반의 모노펄스 기법은 공분산 행렬의 역행렬을 이용하여 재머 신호를 억제시킨다. 재머 억제를 위해서는 재머 성분에 대한 충분한 횟수의 스냅샷(snapshot)이 필요하며, 높은 PRF 환경에서는 이것이 가능하지 않아 실시간 추적에 한계가 있다. 또한, JNR(Jammer to Noise Ratio)이 낮은 경우에는 재머의 스냅샷 수가 충분하더라도 정확한 재머 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표적 방향 추정의 정확도가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재밍 환경에서 스냅샷이 적은 경우에도 ML 기반의 모노펄스 성능이 우수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공분산 행렬의 잡음 부공간을 이용하는 모노펄스 방법으로, 이의 유도 과정을 보이고,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것을 보인다.

Cell under Test 데이터만을 이용한 사전정보 기반의 클러터 억제 알고리즘 (Knowledge-Based Clutter Suppression Algorithm Using Cell under Test Data Only)

  • 전현무;양동혁;정용식;정원주;김종만;양훈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825-831
    • /
    • 2017
  • 실제 레이다가 운용되는 환경에서 발생되는 클러터는 비균질성(heterogeneous)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바이스태틱 레이다나 모노스태틱 non-sidelooking 레이다 구조인 경우는 클러터의 비정상성(nonstationary) 특성도 갖는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클러터 신호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IID(Independent Identically Distributed) secondary 데이터 개수에 제약이 따르므로 클러터 억제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스태틱 레이다 환경에서 Cell under test에 대한 사전정보만을 이용하여 클러터 신호를 추정함으로써 secondary 데이터 없이 클러터를 억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바이스태틱 클러터의 angle-Doppler 스펙트럼 상에서 구조 분석을 통해 사전정보로 부터 클러터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이고, 고유치 해석에 의해 클러터 억제 과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하는 클러터 억제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인다.

기후변화와 군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Climate Change and Military Response Strategies)

  • 박찬영;김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71-179
    • /
    • 2023
  •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로 전 지구적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해 재난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군)은 극한기상 출몰에 따른 재난을 대비 중이다. 다만, 현재 방재계획·설비가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빈도·강도법을 기준으로 시행되었는데, 잦아지는 극한기상에 따른 재난을 확률 근거 기반 대비로는 부족하다. 미군과 영국군은 가장 빨리 기후변화 및 재난양상 변화 위협 관련 연구 및 정책적 접근을 해왔고,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모두 고려하고 있다. 우리 군은 재난에 대한 인식을 '풍수해' 정도로 여기며, 기후변화 양상에 따른 극한기상과 재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미국과 영국)의 재난관리시스템 구축과정을 살펴보고 기후위기와 극한기상이 출몰하는 상황에서 각 국(군)의 대응 정책을 문헌분석 기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우리 군은 빈틈없는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둔 대응정책을 수립해야하며, 다음 세 가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기후변화로 변화될 환경에 대비한 미래 한반도 작전 환경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지속가능성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정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미래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