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 seawater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2초

배양된 쥐 해마신경세포에서 μ-아편양 수용체의 발현에 대한 해양심층수의 영향 (Effect of Deep Seawater on Expression of μ-Opioid Receptor in Cultured Rat Hippocampal Neurons)

  • 문일수;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6-182
    • /
    • 2011
  • 해양심층수는 깊이 200 m 정도 혹은 그 이상의 해수를 말한다. 해양심층수는 무기물질이 풍부하여 여러 분야 적용을 위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양양 부근에서 취수한 해양심층수에서 배양된 쥐 해마신경세포의 ${\mu}$-아편양 수용체 발현에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경도 800 및 1,000 심층수가 25% (v/v) 포함된 minimal essential media에서 해마신경세포를 배양해 대조군(증류수 첨가)과 비교하였다. 경도 800 및 1000심층수 첨가 배양액에서 배양된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에서 ${\mu}$-아편양 수용체의 면역반응 신호가 매우 증가했다. 흥미롭게도 신경세포보다 별아교세포에서 ${\mu}$-아편양 수용체의 면역반응 신호 증가가 더 뚜렷했다. 통계 분석시 경도 800 및 1000에서 배양된 별아교세포에서 ${\mu}$-아편양 수용체 군에 대한 상대적 강도가 약 4배 증가했다. 이런 증가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했다(p<0.001). 대조적으로 신경세포에선 이런 증가가 상대적으로 덜 뚜렷하였고, 경도 1000배양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 결과들은 심층수가 신경세포 및 별아교세포에서 ${\mu}$-아편양 수용체의 발현을 항진 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Eye and skin irritation tests to assess the safety of Jeju saline groundwater

  • Cho, Miju;Joo, Yong Hoon;Park, Young Sig;Chung, Nam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45-248
    • /
    • 2017
  • Saline groundwater was obtained from a 100-m deep basalt layer into which seawater had infiltrated. This groundwater is known to contain various minerals. Like deep seawater, saline groundwater is expected to have various applications due to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beneficial minerals. In Korea, saline groundwater is mainly obtained from the coastal area of Jeju. Before applying saline groundwater to various products, however, its biological safety needs to be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skin and eye irrit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safety of saline groundwater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hen compared to control, Jeju saline groundwater showed no level of eye and skin irri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Jeju saline groundwater induces no irritation, and is therefore sufficiently safe to be applied to the eye and skin of people.

Statics variation analysis due to spatially moving of a full ocean dep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 Jiang, Yanqing;Li, Ye;Su, Yumin;Cao, Jian;Li, Yueming;Wang, Youkang;Sun, Yeyi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1권1호
    • /
    • pp.448-461
    • /
    • 2019
  • Changes in gravity and buoyancy of a Full Ocean Dep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D-AUV) during its descending and ascending process must be considered very carefully compared with a Human Occupied Vehicle (HOV) or a Remotely Pperated Vehicle (ROV) whose activities rely on human decision. We firstly designed a two-step weight dropping pattern to achieve a high descending and ascending efficiency and a gravity-buoyancy balance at designed depth. The static equations showed that gravity acceleration, seawater density and displacement are three key aspects affecting the balance. Secondly, we try our best to analysis the gravity and buoyancy changing according to the previous known scientific information, such as anomaly of gravity acceleration, changing of seawater states. Finally, we drew conclusion that gravity changes little (no more than 0.1kgf, it is impossible to give a accurate value). A density-depth relationship at the Challenger Deep was acquired and the displacement changing of the FOD-AUV was calculated preciously.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냉방시스템의 경제성 비교분석 (An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 on Deep Sea Water Cooling System)

  • 박진영;김삼열;정경식;남민식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79-1284
    • /
    • 2008
  • The alternative energy has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the high oil price and environment problem. Deep sea water that is one of the natural energy sources should be getting popular continually to reduce the environment problem. In this study, cooling system of deep sea water using heat exchangers of two hotels where is located in near Hae-undae Bay has been analyzed on the quantity of electricity comparison between existing cooling system and deep seawater cooling system. As shortly,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first building approximately saves 370 millions won per year, also the second building saves 248 millions won per year. It means that the cooling system by using deep sea water has great worth to reduce the ratio of fossil fuel.

  • PDF

Bacterial Communities from the Water Column and the Surface Sediments along a Transect in the East Sea

  • Lee, Jeong-Kyu;Choi, Keun-Hyung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22
    • /
    • 2021
  • We determined the composition of water and sediment bacterial assemblages from the East Sea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Total bacterial reads were greater in surface waters (<100 m) than in deep seawaters (>500 m) and sediments. However, total OTUs, bacterial diversity, and evenness were greater in deep seawaters than in surface waters with those in the sediment comparable to the deep sea waters. Proteobacteria was the most dominant bacterial phylum comprising 67.3% of the total sequence reads followed by Bacteriodetes (15.8%). Planctomycetes, Verrucomicrobia, and Actinobacteria followed all together consisting of only 8.1% of the total sequence. Candidatus Pelagibacter ubique considered oligotrophic bacteria, and Planctomycetes copiotrophic bacteria showed an opposite distribution in the surface waters, suggesting a potentially direct competition for available resources by these bacteria with different traits.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warm surface waters were well separated from the other deep cold seawater and sediment samples. The bacteria exclusively associated with deep sea waters was Actinobacteriacea, known to be prevalent in the deep photic zone. The bacterial group Chromatiales and Lutibacter were those exclusively associated with the sediment samples. The overall bacterial community showed similarities in the horizontal rather than vertical direction in the East Sea.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한 민어 염건품 제조 및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alted and Dried Brown-Croaker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Salt)

  • 주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35-244
    • /
    • 2011
  • 해양심층수 및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하여 민어 염건품 제조 조건을 확인한 결과, 민어 어체의 전처리 조건이 염건품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장만을 제거하고 부레와 복부지방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염의 침투도 원활하지 않으며, 가공 중 지방의 산패나 미생물의 성장에 의한 품질 저하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어체 중량에 대해 20% 염 농도로 염장하는 것이 적절하였고, 특히 이 염장 농도에서 염장 시간에 따른 제품의 염도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염장시간은 상온($20\sim25^{\circ}C$)에서 12시간이 적절하였다. 한편, 건조온도는 $30^{\circ}C$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에 가장 바람직한 조건이었다. 한편, 해양심층수 소금과 시판 소금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한 민어 염장품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시판 소금의 경우 소금에서 유래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가공 중 품질의 저하는 물론이고 저장 중에도 POV나 AV의 증가, 생균수의 증가 정도가 해양심 층수 소금을 사용한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변화는 관능검사 결과, 시판 소금에 비해 해양심층수 소금이 민어 염건품 제조에 있어서 가공 공정 중이나 저장 중에도 품질을 유지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해양심층수는 염장 후 2차 수세 시에 해양심층수를 사용하고, 염장 시에는 어체 중량에 대해 20% 농도로 상온에서 12시간 정도 염장을 행한 다음 $30^{\circ}C$ 온도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는 조건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민어 염건품의 경우 냉장 유통 과정에서 2주 이상을 경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 중의 미량금속 분석을 위한 청결기술의 소개 (Introduction of Clean Techniques for Trace Metal Analysis in Seawater)

  • 김경태;김은수;나공태;문덕수;김현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7-164
    • /
    • 2009
  •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sim}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해수취수시스템에 적용된 2중구조 유공관의 형태에 따른 취수효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low Rate According to Shape of Dual Structure Perforated Pipe Applied to Seawater Intake System)

  • 김수영;이승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21-728
    • /
    • 2016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97%는 해수로 존재한다. 따라서 해양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는 최근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해수의 이용은 해수담수화,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수, 해양심층수 활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깨끗한 해수를 취수하기 위해 여과사를 이용한 해수취수시스템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취수관의 경우 각 취수구 별로 균등하게 취수될 때 취수효율뿐만 아니라 여과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취수시설에 적용된 2중관 구조의 취수효율 향상 효과를 3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상부유공의 간격변화에 따른 구간별 취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 말단부로 갈수록 상부유공의 간격이 감소되는 경우가 전체적인 취수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부유공을 통한 취수량의 구간별 표준편차가 최소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경우에 관내 흐름이 안정적이어서 취수의 효율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건 및 영향인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수행된다면 개별 환경에 적합한 최적설계안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양심층수 수질조정수의 산업소재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Mineral-controled Water from Deep Ocean Water for Industrial Utilization)

  • 김현주;문덕수;조순영;이유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3-28
    • /
    • 2004
  • Various merchandises have appeared in recent markets of mineral water, beverage, food and cosmetics etc. These are almost manufactured by adding raw seawater, desalinated water, brine or salt from Deep Ocean Water(DOW), and it intimated desalination and mineral extraction are key techniques for DOW busines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mineral-controlled water produced by the basic methods which were proposed by authors for industrial purposes. This water revealed the possibility of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moisturizing capability.

  • PDF

고농도 $CO_2$ 환경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s on Marine Lives in Seawater)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7-163
    • /
    • 2006
  • 현재 대기중 $CO_2$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CO_2$를 해양에 격리 처리하고자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안은 해양생물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따라 그 실현가능성이 결정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O_2$ 해양격리 처리와 관련하여 수행되어온 연구들을 정리하고, $CO_2$ 농도가 높아진 해양환경에서의 해양생물 특히 어류를 대상으로 수행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CO_2$ 농도의 증가는 어류에 있어 산염기조절, 호흡순환기적 조절 등과 같은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끼치고 결국 어류의 폐사를 초래할 것이다. $CO_2$가 해양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천해어종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의 연구는 천해어종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_2$가 실제로 격리 처리되는 심해에서 $CO_2$에 대한 생물들의 응답에 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