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oncentr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시스템사고를 통한 참여정부의 지방분산정책에 대한 평가 (Policy Evaluation with System Thinking on Deconcentration Policy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8권2호
    • /
    • pp.275-294
    • /
    • 2007
  • The Roh administration,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pursued deconcentration policies for promoting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ince 2002. The main policy instrument of the deconcentration policy is that the transferring of public institutions from capital region to local areas.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se policies have resulted in another problems of policy side-effects, for instance, decreas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side-effects of deconcentration policie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basis, this paper analysed the policy side-effects placed the focus on intended feedback loops and unintended feedback loops of the deconcentration policies.

  • PDF

베트남 물류기업의 경쟁 및 탈 집중화: 베트남 포워더를 중심으로 (Competition and deconcentration of logistics companies in Vietnam focusing on domestic freight forwarders)

  • 당티짱;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3-44
    • /
    • 2020
  • 본 연구는 베트남 포워딩 시스템 발전 과정에서 집중화 및 탈 집중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허핀달-허쉬만 분석(집중도 분석), 전이할당 분석, 로렌츠 곡선 및 지니계수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중도 분석결과 2009년 0.117에서 2019년 0.083의 결과를 보이며 탈 집중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전이할당 분석 결과 Transimex가 백만 VND 1,906,515의 전이효과를 나타냈으며, 분석기간 평균 백만 VND 2,158,232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니계수 분석 결과 2008-2018 기간 동안 0.468에서 0.393으로 떨어지며 베트남 포워딩 시장의 탈 집중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현상은 로렌츠 곡선에서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분석기간인 2008-2018 사이에 전반적인 탈 집중화 현상이 관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해관계자에게 접근이 쉽지 않았던 베트남 포워더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한다.

엔트로피지수에 의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측정 (A Measurement of Degree of Cargo Concentration in Korean Ports Using the Entropy Index)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gree of cargo concentration at Korean ports using Theil's Entropy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Gini coefficient, Hoyle(1983), and Hirshmann-Herfindahl models. The entropy indices were compared with other models after measuring the cargo concentration for the period of 1981-2000 among the 18 Korean ports. The cor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results of entropy indices show the following trends: all the ports(concentration except 1996's slight deconcentration), ports in Western area(deconcentration in 1990s and slight concentration in 2000), ports in Southern area(deconcentration in 1980s and 1990s except concentration in 2000), and ports in Eastern area(continuous trends of concentration). However, competition power will be decreased if concentration is increased, because of the character of entropy index. The empirical results of 4 indices except Hoyle model show the comparatively same directions in terms of trends. This study found out the similar results among the following models: All the ports(entropy index & Gini coefficient & H-H model), ports in Western area(Entropy index &Hoyle model), ports in Southern area(Entropy index & Gini coefficient), and ports in Eastern area(Entropy index & H-H index).The policy planner of Korean ports should find out the determination factors of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of each ports and decide the investment priority, size and scope for balanc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orts.

  • PDF

한국항만도시의 입지, 인구성장과 화물집중도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In the location theory, Sommer (1976) and McGee (1967) models are newly introduced, as are the Rimmer (1967), Bird (1965), Hoyle (1981) models. which were already introduced in previous studies from Korea. Analysi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Korean port-cities is conducted using data from 1966 to 1998. Rimmer and Hoyle's concentration models are used to measure cargo concentration from 1966 to 2000.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Korean ports are concentrated on the East Sea, the Southern Sea, and the West Sea. Their location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hinterland. the inland city, and growth of port-cities. In considering the foreign countrys' cases, Korean port-cities are similar to the models of Bird and Hoyle. Second, the populations of Ulsan and Pohang grew at the fastest rate in 1966-1998, while the port cities in the Honam and Jeiu region grew at much lower ratios. Most port cities are located near large industrial complexes. Third the growth rates of Gwangyang, Daesan, Pohang, Pyungtaeg, and Samchunpo increased, while those of Busan. Mukho, Masan, Mogpo, Yeosu, and Sokcho declined. Of particular note, the growth rate of Busan remained negative after the late 1980s. Fourth. empirical results using the Rimmer (1967) model indicate that Gwangyang, Daesan, Pyungtag, and Pohang have shown the concentration. But the de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Busan, Mukho, Janghang, Gunsan, Mogpo, Yeosu, Masan, Sokcho. and Jeju. Fifth,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We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mixed results between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except the concentration of early 1970s and 1990s.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Ea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centration before the middle of 1980s. And deconcentration after the middle of 1980s have appeared. The Southern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tinuous deconcentration except the partial concentration of early 1986. and 1991. Planners of Korean ports should find out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of each ports and should determine factors such as investment priority level. size and scope in order to ensur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al ports and port-cities.

  • PDF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탈 집중화 및 전이할당 현상 분석: 베트남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concentration Tendencies and Shifting -Share Situations of ICDs: Focused on the Southern Vietnam)

  • 판민티엔;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43-156
    • /
    • 2020
  • 남부 베트남 지역에는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경쟁에 따라 탈 집중화 경향 및 전이할당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남부 베트남 지역을 대상으로 한 내륙컨테이너 기지 관련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서 2017년 까지 남부 베트남 지역에 위치한 내륙컨테이너 기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컨테이너 물동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집중 및 탈 집중현상을 분석하며, 연구의 방법은 CR분석, 허핀달-허쉬먼(집중도) 분석, 지니계수 및 로렌츠 곡선 분석 및 전이할당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에서 2017년 까지 남부 베트남 지역에 위치한 내륙컨테이너 기지는 뚜렷한 탈 집중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 과정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학문적·산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베트남 컨테이너 항만과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경쟁력 강화는 더 많은 해운회사의 기항을 촉진함으로서 경쟁관계에 있는 동남아 주변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항만분산화 현상에 관한 연구: 베트남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Deconcentration pattern of port system: Case in Southern Vietnam)

  • ;;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57-167
    • /
    • 2018
  • 최근 대규모 투자에 의한 항만의 질적 및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항만의 진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2007-2016 기간 동안 베트남 남부지역 항만의 집중화 및 분산화를 지니지수, 로렌츠커브 및 전이할당분석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분산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특히 기존 항만에서 새로 신설된 신항만으로 전이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베트남 남부지역 항만의 진화현상을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서 항만관리자, 운영자 및 선사, 화주, 물류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지중해 크루즈 항만의 집중화 및 분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Development for Cruise Ports in Mediterranean Sea)

  • ;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7-46
    • /
    • 2020
  • 본 연구는 지중해 크루즈 항만의 집중화 및 분산화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집중도 분석, 허핀달-허쉬만 분석, 지니계수 분석, 전이할당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지중해 지역 크루즈 항만의 경우, 관광객을 많이 유치하면서 집중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동지중해 지역 및 아드리아해의 베니스, 피레우스, 나폴리, 리보르노 지역의 경우 크루즈 승객을 타 항만에 잃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크루즈의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는 항만간 승객의 전이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크루즈 항만의 이해관계자인 지역관광청, 선사대리점, 항만 대리점 등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국 상위 20위 항공사의 탈 집중화 현상에 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Analysis of Deconcentration Process for the Top 20 Airlines in China)

  • ;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65-79
    • /
    • 2020
  • 중국 경제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운송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공산업은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항공산업에서 상위 항공사만을 대상으로 발전과정을 연구한 논문은 제한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서 2018년 기간 동안 중국 상위 20위 항공사의 종단적 발전상황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집중도 분석, 허핀달-허쉬만 분석, 지니계수 분석, 전이할당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물동량 및 여객수를 활용하였다. 집중도 분석, 허핀달-허쉬만 분석 및 지니계수 분석결과, 중국항공사는 탈 집중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성장치 분석결과 중국 항공산업은 여객측면에서는 상위 4개의 항공사가 선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연구에서는 여객 및 화물운송의 틈새시장을 찾는 성장전략 모색이 필요하다.

중국 보하이만 컨테이너 항만의 진화에 관한 연구 (The evolution of container port group in Bohai Rim of China)

  • 유사위;완준협;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107-114
    • /
    • 2018
  • 1978년 중국의 경제개혁 이후, 국제무역은 빠른 속도로 증가되었고, 항만산업은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하이만의 최대 항만인 청도, 대련, 천진항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다. CR 분석, 허핀달-허쉬만 분석, 지니계수, 로렌츠 커브 및 전이분석을 이용하여, 2004-2016년도 항만의 집중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CR 지수는 작은 변동을 보이면서 감소하며, 허핀달-허쉬만 지수는 분산화 경향을 나타냈다. 2004-2016 기간 동안 전이분석 결과, 청도항은 -1.371인 반면, 천진과 대련항은 각각 0.118, 1.252을 나타냈다. 또한 천진항 및 대련항의 성장이 보하이만 분산화 경향을 주도하였다. 연구결과는 해당지역의 항만개발에 관여하는 의사결정자 및 학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연구에서는 중국 동북지역 관문에 위치한 최대항만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고려하여 근처 중소형 항만과의 협력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후기산업사회의 고용전환과 도시구조 (Occupational Transformation and Change of Metropolitan Residential Struct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 이기석
    • 지역연구
    • /
    • 제6권2호
    • /
    • pp.107-121
    • /
    • 1990
  • The structural change of occupational composition with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is most evidently observed in the developed country. Specially representative of social changes is the emergence of new occupational sectors, such as the so-called quaternary and quinary sectors, which are based o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rial skills. The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how and in what this chage of occupational components in a mtro area affects the existing residential structure over the period. In order to extend the discussion of the question, the related hypothetical statements on urban spatial impact due to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have xtnsively considered and identified a possible multicenter structure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of new jobs and population over the metro area. For further examination, the renowned high tech city of Minneaplis -St. Paul has been selected and the occupational labour forces data for 1960 and 1980 analyzed. As a whole, this area has experienced a dispersal and re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new patterns which have resulted from 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 residential area of white-coller workers(the quaternary / quinary or information workers) has expanded into the city from a suburban core area. In this process, a large proportion of the manual-worker's residential areas in the central city either disappeared or diminished. Consequently, other isolated centers created by the manualworker residents are emerging in both the central city and suburbs. Thus, the development of mulitple centers or core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ed as a typical ongoing pattern of metro areas in the Unite Sta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