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omposition of Portfolio Ris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Risk Characteristic on Fat-tails of Return Distribution: An Evidence of the Korean Stock Market

  • Eom, Cheolju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37-48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risk property included in fat-tails of return distributions is systematic or unsystematic based on the devised statistical method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devised empirical designs based on two traditional method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the testing method of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The fatness of the tails in return distributions is quantitatively measured by statistical probability. Findings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isk property in the fat-tails of return distributions has the economic meanings of eigenvalues having a value greater than 1 through PCA, and also systematic risk that cannot be removed through portfolio diversification. In other words, the fat-tails of return distributions have the properties of the common factors, which may explain the changes of stock returns. Meanwhile, the fatness of the tails in the portfolio return distributions shows the asymmetric relationship of common factors on the tails of return distributions. The negative tail in the portfolio return distribution has a much closer relation with the property of common factors, compared to the positive tail.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empirical evidence may complement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ail risk which is utilized in pricing models as a common factor.

포트폴리오위험의 추정과 분할방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and Decomposition of Portfolio Value-at-Risk)

  • 김상환
    • 재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139-169
    • /
    • 2009
  • 본 연구는 새로운 VaR 추정모형으로 수정 VaR(modified VaR)을 소개하고, 수정 VaR의 예측성과를 역사적 시뮬레이션 모형이나 Riskmetrics 등 전통적인 모형들과 비교하였다. 수정 VaR은 분산뿐만 아니라 왜도, 첨도를 VaR 계산에 고려함으로써 금융자산분포의 비대칭성과 꼬리가 굵은 성질이 위험측정치에 반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정 VaR은 6개국의 주가지수 수익률을 이용한 표본외 예측성과검증에서 다른 모형들에 비해 가장 우수한 예측성과를 보였다. VaR 예측의 독립성검증에서는 Riskmetrics와 GARCH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정 VaR에 대해 서도 독립성이 기각되지 않았다. 특정한 표본을 이용한 예측성과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data snoop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ew t 분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시뮬레이션 검증결과에서도 수정 VaR이 가장 양호한 예측성과를 보였다. 포트폴리오 VaR에 대한 표본외 예측성과에서도 수정 VaR은 단일변량모형이나 다변량 정규분포모형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다변량 수정 VaR은 포트폴리오 구성자산 간의 선형상관관계뿐 아니라 공왜도(coskewness)와 공첨도(cokurtosis)를 통한 비선형 상호의존관계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 위험에 대한 우수한 예측성과는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6개국 주가지수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VaR을 component VaR로 분할한 실증분석에서는 포트폴리오 VaR의 분할결과가 적극적인 위험관리와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위한 자산재배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주식시장 간 동적 관계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전후 비교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ock Markets of Korea, the US, China, and Japan: Focusing on the Pre- and Post-COVID-19 Periods)

  • 어영호;안세륭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3-157
    • /
    • 2024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correlation between the stock markets of Korea, the US, Chin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tock market data from January 2016 to June 2023 for the representative market indices of Korea, the US, China, and Japan. The analysis employed the VAR model,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Findings - Analyzing the relationships of these stock marke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i) The influence of the U.S. stock market was found to be absolute regardless of the COVID-19 period, and the rise in the U.S. stock market led to rises in other stock markets. (ii) The Chinese stock market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U.S., Korean, and Japanese stock markets before COVID-19, but this influence disappeared after COVID-19. This suggests that the Chinese market exhibited uniqu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global market after COVID-19. (iii) Analyzing the period excluding the first quarter of 2020, when global stock market volatility was extremely high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we found that the results were very similar to the analysis including the first quarter of 2020.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 increased uncertainty during this period distor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ock markets of these four countri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e anticipate that these findings will offer valuable insights for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aiding them in portfolio diversification and risk mitigation.

미국, 일본, 인도 증권시장 통합에 관한 연구 - 정보전달 메카니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A, Japan and India Stock Market Integration - Focused on Transmission Mechanism -)

  • 이동욱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255-276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 일본 및 인도 증권시장에서의 수익률 및 변동성 간의 동태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VAR모형에 기초를 둔 Granger 인과관계 분석 및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anger인과관계 분석 결과 미국, 일본 및 인도 증권시장 사이에는 피드백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국 증시의 일본 및 인도 증시에 대한 영향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분해 분석 결과 인도 증시는 일본 보다 미국 증시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증권시장이 해외증시로부터 받은 영향력의 크기는 일본 35%, 미국 16%, 인도 13%로 나타남에 따라 일본 증시의 해외변수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도 증시가 인도 정부의 경제개방 및 자본 자유화 등으로 국제 증권시장과 점진적으로 통합화되어가고 있는 증거를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동 실증분석 결과는 국제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관리 및 투자전략 수립, 위험관리전략 수립 등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국채선도금리(Forward rate)의 효율성(Efficienc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KTB Forward Markets)

  • 문규현;홍정효
    • 재무관리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9-212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에 대하여 국채선도금리시장(forward market)과 국채 현물시장(spot market) 중 어느 시장이 더 효율적으로 반응하는지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2년 3월부터 2005년 1월말까지 3개월, 6개월, 9개월 및 1년물 국채선도금리(forward rate)와 각 시계열들의 현물 금리의 수익률 및 변동성자료를 사용하여 그랜져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익률 및 변동성을 이용한 그랜져인과관계분석(Granger causality test)결과에 의하면 국채 선도금리시장이 국채현물시장보다 새로운 정보에 대하여 더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 반응함수(impulse response analysis)에서도 국채선도금리시장의 국채현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국채현물시장의 국채선도금리시장에 대한 영향력보다 더 강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분해분석(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에서는 전체적으로 3개월 및 6개월 등기간이 짧은 국채선도금리 수익률 및 변동성이 기간이 긴 국채선도금리보다 국채현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새로운 정보에 대하여 국채현물시장보다는 국채선도금리시장이 더 효율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으며 이는 기존 국내외 주식현물시장과 선물시장들 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더 강한다는 결과들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