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apoda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4초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 유생의 염분, 수온 및 먹이조건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Salinity, Temperature and Diet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Metapenaeopsis dalei (Rathbun) (Decapoda: Penaeidae))

  • 최정화;홍성윤;이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8-383
    • /
    • 2001
  • 실험에 사용한 성숙한 난소를 가진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는 1999년 8월 11일 충남 외연도 근해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산란한 유생을 4개의 염분구간과 3개의 수온구간 및 5개의 다른 먹이 조건에서 사육하여 이들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염분조건에서는 채집지의 염분과 유사한 30과 35에서 생존율이 높았고, 수온 조건에서는 산란 수온$24^{\circ}C$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먹이 조건 실험에서는 식물성먹이에서 생존율과 성장이 동물성을 투여한 실험구보다 높았다.

  • PDF

Larval Development of the Grooved Tanner Crab, Chionoecetes tanneri Rathbun, 1893 (Decapoda: Brachyura: Majidae) Described from the Laboratoryreared Specimens

  • Hong, Sung-Yun;Park, Won-Gyu;Perry, R. Ian;Boutillier, James 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59-69
    • /
    • 2009
  • This paper documents the defin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rval stages of Chionoecetes tanneri Rathbun, 1893, the grooved Tanner crab, from specimens reared in the laboratory. Chionoecetes tanneri larval stages include two zoeae and one megalopa. The first zoea is characterized by: six setae on the posterior margin of the carapace; postero-lateral spines on abdominal somites 3 and 4, extending beyond the posterior margin of adjacent somites and bearing 9-10 spinnules; 12 plumose setae and one stout distal plumose seta present on the margin of the scaphognathite of the maxilla; and one fused lateral spine and one articulated dorso-medial spine on each fork of the telson. The second zoea is characterized by: 9 setae on the postero-lateral margin of the carapace; a serrated mandible molar; a mandibular palp bud; 25-26 plumose setae on the margin of the scaphognathite of the maxilla; pereiopods with well-developed gills and buds; and four pairs of stout setae on the posterior margin of the telson. For the megalopal stag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include: a rostral spine equal in length to the supraorbital spine; six setae on the exopod of the uropod; and a single spine on the ischium of the second pereiopod. This study allows C. tanneri larva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arvae of known sympatric congeners. This information provides a basic taxonomic tool for researchers in fisheries management and zooplankton ecology who are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rophic interactions, metapopulation dynamics and ecosystem impacts in the evolving marine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North Pacific, and those related to Chionoecetes species in particular.

쏙의 생물학 - 최근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에 이상 증식한 쏙의 제거 대책을 중심으로 - (Biology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de Haan, 1841),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est Management for Shrimp Control in Manila Clam B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 홍재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23-349
    • /
    • 2013
  •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Upogebiidae: Decapoda: Crustacea) is a common species on muddy and sandy mu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y reside in Y-shaped burrows that can extend up to more than 2 meters below the sediment surface. They feed on suspended detritus carried into their burrow by the beating of their pleopods and captured by their hairy first two pairs of thoracic legs. Mud shrimp burrows provide a habitat for a variety of small organisms such as crabs, shrimps, polychaetes, and mollusks. Ovigerous females are observed from December to May. Females deposit eggs only once per breeding season. They start hatching in March and the pelagic larvae of first zoea appear in March and April, followed by benthic settlement in May. Growth over the first year is rapid, and females deposit their first eggs in the third breeding season, 31 months after their settlement. Adult shrimps live for 4~5 years. Depth of the burrow increases with body length. The deep burrows provide refuge from predators and physical stress, allowing the shrimps to survive for a long time. The mud shrimps supply oxygen-rich water to their deep burrows, and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metabolism of the tidal flat benthic community. However, recently this type of mud shrimp has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Korean clam industry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extensive burrowing shrimp populations suddenly invaded the tidal flats from 2010 where the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are raised. As a consequence, clam production has decreased by about 10% over the past three years in some Korean clam bed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iology of this mud shrimp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control the burrowing of these shrimps.

옴부채게(갑각강, 십각목, 부채게과)의 조에아 유생기 및 한국 부채게과 종의 조에아 유생 검색표 (Zoeal Stages of Actaea semblatae (Cruistacea, Decapoda, Xanthidae), with a Key to the Known Xanthid Zoeas of Korea)

  • Ko, Hyun-Sook;Yang, Hoi-Jeong;Ban, Kye-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02
  • 옴부채게를 제 1 조에아 유생에서 제 1 어린 게시기까지, 실험실내 $25^{\circ}C$에서 발생시키고 제 1기와 2기 조에아 유생에 대해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옴부채게의 제 1조에아 유생은 갑각, 제 1촉각 제 1악지의 저절, 제 1복부절에 강모들이 존재함으로 Terada (1987)의 연구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옴부채게의 조에아 유생은 제 1촉각 외지가 한 개의 강모이거나 혹은 흔적적인 상태에서 한 개의 강모를 가지고 있어 다른 부채게과 조에아 유생들과 분명하게 식별되었다. 그리고 한국근해의 부채게과 종에 대한 조에아 유생검색표가 제공되었다.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ack Mackerel , Trachurus japonicus ,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차병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320-327
    • /
    • 1998
  •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체장 4~15cm)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전갱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s), 공쟁이류(Mysidacea)등의 갑각류였다. 특히 요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 외에 십각류(Decapoda), 난바다공쟁이류(eEuphausiacea), 모악류(Chaetognatha), 갯지렁이류(Polycheata), 어란 및 자어 등이 위내용물 중 소량 발견되었다. 요각류 중에서는 Paracalanus parvus, Acartia clausi 그리고 Calanus sinicus 가 많이 섭이되었는데, 특히 C. sinicus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전갱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작은 전갱이들은 그들의 먹이를 요각류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위내용물 중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대신 비교적 큰 먹이생물인 단각류 및 곤쟁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경남 거제 연안에 출현하는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of Gymnogobius heptacanth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Korea)

  • 김현지;정재묵;예상진;백근욱;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46
    • /
    • 2016
  • 2011년 6월에서 8월까지 거제 연안에서 RN80으로 채집된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 229개체의 소환관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였다. 살망둑 치어의 체장은 14~29 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요각류 (Copepoda)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요각류 다음으로는 만각류 (Cirripedia)의 Cypris 유생이 우점하였으며, 그 외 지각류 (Cladocera), 십각류 (Deca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살망둑 치어의 섭식전략과 섭식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해적방법을 이용한 결과,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 (Calanoida)이 출현빈도와 특정먹이 생물우점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살망둑 치어는 긴노요각목을 가장 우점적으로 섭식하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살망둑 치어는 모든 체장군에서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이 가장 우점하였다.

밀새우 (Exopalaemon carinicauda)의 생식소와 교접기의 발달 (Development of Gonad and External Genitalia in Exopalaemon carinicauda (Decapoda: Palaemonidne))

  • 김재원;김정년;최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55-461
    • /
    • 2004
  • The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of gonad in ridgetail prawn (Expalaemon carinicauda) were exami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genitalia. The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in Hampyung Bay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The ovaries lie on the dorsal side of the female prawns thorax. The ovary cavity is located below the heart and above the hepatopancreas. The anterior part of the ovary is round and fused, and the posterior part has a pair of tubular structures. Testes are bilaterally symmetrical; the anterior part shows fused feature, and the posterior part consists of a pair of tubules. Based on histological examination, ripe eggs and spermatozoa were observed when mature females and males reach a length of about 14.9 and 11.5 mm CL, respectively. The immature female are almost same shape and structure with matured one in the endopod of first pleopod and appendix interna of the second pleopod, except the number of setae, and appear to be structurally complete after females reach a length of about 14.9 mm CL. The appendix masculina reaching beyond the distal end of the appendix interna of the second pleopod after males reach a length of more than 5.5 mm CL and a fully developed appendix masculina and appendix interna of the second pleopod appear up to a length of 11.5 mm CL.

반 폐쇄된 무안만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Korea)

  • 문성용;서민호;신용식;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1-18
    • /
    • 2012
  • We investigated seasonal changes in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November 2006 and February, May, and August 2007 at 12 station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Korea. Forty taxa were sampled, with an average abundance ranging from 1,459 to 20,078 indiv. $m^{-3}$; the highest abundance was detected in August 2007,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07. Acartia omorii, A. hudsonica, A. ohtsukai, Bestiolina coreana, Calanopia sp., Paracalanus parvus s. l., Cirripedia larvae, Decapoda larvae, and Gastropoda larvae were the most abundant taxa detected.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mesozooplankton was high around the inner regions in August 2007 but it was relatively low in November 2006.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among the season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ominant taxa, station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howed that most species of copepod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 and COD concentrat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bserved in this study might be affected partly by the seasonal changes in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status of the sluice gates (i.e., open or closed) and the in situ production of resting eggs by major copepods.

흰베도라치, Enedrias fangi 치자어기의 식성 (Food of the Larval Gunnel, Enedrias fangi)

  • 김종만;김동엽;유재명;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84-490
    • /
    • 1985
  •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기만에서 채집한 횐베도라치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흰베도라치 소화관내용물과 환경생물을 비교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은 체장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환경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의 Paracalanus parvus, Corycaeus affinis, Calans sinicus를 주로 섭이하며 미색류, 어란, 십각류 유생도 체장에 따라 다소높은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2. 흰베도라치 치자어의 먹이에 대한 선택성은 대체로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즉 체장이 커질수록 요각류를 선호하며, 체장 45.0mm부터는 미색류를 많이 섭이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체장 45.0mm부터 십각류유생이 대한 선택성은 감소되어 소극적 섭이를 하였고, 전 체장군에서 모악류의 섭이량은 별로 많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크기에 대한 선택성은 뚜렷하지 않으며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먹이생물의 크기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흰베도라치의 성장함에 따른 먹이생물의 중요도는 전 체장군에서 요각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장에 따라 어란도 다소 높았다. 체장 45.0mm부터는 십각류유생에 대한 선택성은 감소하였으나 먹이생물로서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의 종별 중요도에서는 체장 36.0mm 이하에서 P. parvus, C. affinis가 높았고, 체장 $45.0{\sim}46.0mm$에서는 C. sinicus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무늬발개 Hemigrapsus sanguineus(게 아목, 바위게 과)의 유생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Hemigrapsus sanguineus(Decapoda, Brachyura, Grapsidae) Reared in Laboratory)

  • 황상구;이주;김창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69-86
    • /
    • 1993
  • 무늬발개의 유생을 수온 $25^{\circ}C$, 염분농도 33.3$\textperthousand$의 해수에서 사육하고, 전체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기술 및 도시하였다. 본 종은 5 zoea와 1 megalopa 유생기를 가지며, 부화시부터 megalopa와 제1기 crab까지는 각각 18일과 31일이 걸렸다. 무늬발개 제 1 zoea 유생은 갑측극이 있고, 미절과 제2촉각의 형태가 각각 B형이며, 제1소악과 제2소악의 내지가 각각 1+5, 2+2의 강모를 가지는 점은 이미 보고된 풀게속의 다른 유생들의 특징과 일치하고 있다. 풀게속의 유생 상호간의 구별될 수 있는 형태적인 특징들, 특히 측엽을 가지는 복부마디의수, 구기 부속지들의 강모식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