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ilitarized Zone(DMZ)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연구데이터의 고성능 네트워킹을 위한 Science DMZ 확장성 연구 (Research on Science DMZ scalability for the high performance research data networking)

  • 이찬균;장민석;노민기;석우진
    • KNOM Review
    • /
    • 제22권2호
    • /
    • pp.22-28
    • /
    • 2019
  • Science DeMilitarized Zone (DMZ)은 연구데이터의 특성에 최적화 된 대용량 연구데이터 전용 네크워크 기술이다. Science DMZ는 망을 사용하는 연구자 간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폐쇄망을 구성하여, 전송성능을 저하할 수 있는 보안장비등을 배제함으로써 단대단 성능을 보장한다. Data Transfer Node (DTN)는 연구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만을 담당하며 망의 성능과 보안을 보장하는 Science DMZ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현재의 Science DMZ 구조에서는 망사용자마다 DTN 서버를 포설하며 이는 과도한 망 관리 부담, 신규 사용자의 진입장벽, 그리고 망 전체 CAPEX 측면에서 확장성의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Science DMZ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망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중앙 집중형 공용 DTN 서버를 공유하는 구조에 대해 제시한다. 특히 상용 컴퓨팅 장비의 성능대비 장비 비용 추세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로드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 구성비용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공용 DTN 방안의 효과에 대해 예측 분석한다.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Range of DMZ)

  • 김창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54-460
    • /
    • 2007
  • 한국전쟁의 결과 한반도의 허리에 해당하는 DMZ 지역은 반세기 이상 인간의 관심에서 잊혀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최근 국 내외적으로 DMZ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오늘날 DMZ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점차 활발해 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연구의 대상인 DMZ의 공간적 범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하다. 그마저도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군사분계선과 DMZ, 한강하구 중립지역, 그리고 NLL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공간적인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서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 이르는 군사분계선의 길이는 약 238km(148마일)이고, 군사분계선을 따라 설정되어 있는 DMZ의 면적은 약 $903.8km^2$로 측정되었다. 이는 현재 '155마일 휴전선' 등과 같이 남북을 양분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용어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 PDF

DMZ 산림습지의 식생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파주 경의선 지역을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Features of the DMZ Forested Wetlands Fauna -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in Paju -)

  • 박미영;조동길;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8-38
    • /
    • 2005
  • The De-militarized Zone(DMZ) on the Korean Peninsula is ecologically conserved and naturally developed as access to the area has been controlled in the past five decades. As a result, biodiversity and wetlands are developed very well, but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surveyed due to land mines and security reasons.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area in Paju DMZ,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atus of forested wetlands in detail through an on-site survey and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forested wetlands in DMZ. The forested wetlands of Paju Kyongui Line area are inhabited by naturally grown Salix koreensis Andress. and Acer ginnale Maxim. and affected by Sacheon Basin region extensively. As the topography of this region is created of inundated area and gentle ground, it is easily affected by hydrology and irrigation and has ideal conditions as forested wetlands. In addition, forest wetlands in this area were used as agricultural land in the past but now transformed into palustrine forested wetlands after being deserted for long time. However, as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ways increasingly blocks water paths, the coverage of Robinia pseudoacacia L. and Amorpha fruticosa L. is on the rise, which indicates that forestedwetlands are gradually becoming inland over time.

비무장지대(DMZ) 인근의 훼손지 유형 분석 및 복원방향 (Analysis on the Type of Damaged Land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Restoration Direction)

  • 성현찬;김수련;강다인;서정영;이상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5-193
    • /
    • 2016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amaged lands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amage and their influences based on characteristic of the damaged lands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utilize this study as a fundamental study for establishment of ecosystem restoration system.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have been conducted to review the damage status of DMZ area. For field survey, first year and second year have been conducted, in which type of the damage has been reviewed in this study. In the result, types of damage have been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alteration of initial landform', 'loss of surface layer', 'land pollution', 'alteration of soil chemical property', 'decline of vegetation', and 'invasion of foreign species'. Restoration for each damage type is as following. First, for alteration of initial landform, the land is restored to the original landform prior to the damage and connection to surrounding ecosystem is considered. Second, for loss of surface layer, lost surface layer is restored or further loss is prevented with stabilization. Third, for land pollution, source of the pollution is eradicated or self-circulation with purification of polluted land is encouraged. Fourth, for alteration of soil chemical property, soil is restored of its original property with eradication of the pollution source and improvement of soil. Fifth, for decline of vegetation, current vegetation and anticipated alteration in future are considered and number of wild species is to be increased based 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nearby vegetation. Sixth, for invasion of foreign species, prevention of dominance by risky species and facilitation ecological stability with ecological management are to be considered. Influence according to the cause of damage has occurred in secondary(indirect) influence or simultaneous occurrence of several damage types. Considering all these aspects, when type of the damage is complex, restoration process for each of former mentioned 6 damage types with solitary influence should be considered in unison.

VPN 환경에서 Mobile IPv6 노드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AAA 기반의 인증 (Authentication using AAA for the Mobility Support of Mobile IPv6 Nodes in VPN Environments)

  • 김미영;문영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3호
    • /
    • pp.218-230
    • /
    • 2006
  • 기업의 서비스 망은 DMZ(De-Militarized Zone)를 기준으로 인터넷과 인트라넷으로 분할된다. Mobile IP 의 설계 철학은 망의 토폴로지 및 서비스 형태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이동성 제공을 위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 사양에서는 이러한 사설망으로의 원활한 로밍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로밍 시 보안 정책 수용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수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있는 기업 사용자가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를 통한 인트라넷 엑세스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인프라 기반의 인증 및 세션 키 교환에 관해 기술하고 제안된 방식에 대한 성능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다중위성운영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방안 연구 (Network Configuration Study for Multi-Satellite Operations)

  • 백현철;장인식;이상정;김병철;이재용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
    • /
    • 2019
  • 방송 통신, 지구관측, 기상관측, 해양관측, 그리고 항행 등 서로 다른 임무를 가지고 있는 위성들을 통합 운영하는 것은 보안에 취약하다. 현재 구성된 지상국 네트워크의 문제점은 시험 환경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지상국에 의해서 여려 개의 위성을 운영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또한, 국내외 지상국과의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지상국과 연동하는 네트워크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과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으로 구성하였다. 내부 네트워크는 방화벽, 가상사설망, DMZ, 1-way USB 등으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바이러스 유입 및 감염 등 유해 데이터를 차단할 수 있다.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불모지 초본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Barren Land of Southern Limit Line in DeMilitarized Zone)

  • 유승봉;김상준;김동학;신현탁;박기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53
    • /
    • 2021
  •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동-서 248km를 횡단하는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 북 각각 2km씩 무장이 금지된 지역이다. 그 중 남쪽으로 2km 떨어진 경계를 남방한계선이라고 한다.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 이후 자연천이과정을 거치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한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다. 그러나 남방한계선 철책주변과 일부 지역은 군작전수행을 위한 각종 시설이용과 제초작업으로 인한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훼손된 불모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불모지 식생구조 파악을 위해 지표종을 중심으로 식생군락을 분류한 결과 뱀딸기군락, 비비추군락, 기린초-돌나물군락, 가락지나물군락, 양지꽃군락, 꿀풀군락, 구절초-그늘사초군락, 산구절초군락, 질경이-토끼풀군락, 좀씀바귀-매듭풀군락 등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남방한계선 내 불모지는 군사적 활동으로 인한 토양침식, 지형변화, 산불 등 인위적인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교란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종을 중심으로 식생이 발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분류된 군락 내 우점종은 대부분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길 또는 길가, 나지, 훼손지, 초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비무장지대 불모지 식생은 나지에서 초본식생으로 발달하는 천이 초기의 형태를 보인다. 불모지 내 분포하는 우점종은 특별한 유지·관리 없이도 자생할 수 있으므로 향후 복원소재 개발에 활용하거나 복원 종 선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IP 영역 제한정책 설정에 따른 보안 취약점 공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Hole Attack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Limit Particular IP Area)

  • 서우석;전문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625-630
    • /
    • 2010
  • 다양한 정보보안 구축 사례를 보면, Firewall과 가상 사설 통신망[VPN(Virtual Private Network)], 침입 탐지 시스템[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기업 보안 관리[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등 단계적인 발전 절차를 갖는다. 각각의 보안 솔루션과 장비는 특성화된 보안 기술을 통해서 TCP/IP Layer별 또는 공격형태, 공격유형, 침해로 인한 보안정책의 문제점과 같은 분류를 기준으로 정보보안 을 위한 방어와 공격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은 TCP/IP Layer의 L3 계층 이상의 상위 등급 보안정책과 장비를 통한 기존 네트워크에 L2 계층 이하 등급의 장비 또는 정책을 적용 시에 발생하는 침입 가능한 대기시간[Latency Time]을 확인하고 보안장비 정책에서 특정 IP 영역에 대한 제한정책 설정과정에서 IP 선점(Preoccupation)으로 인한 발생 가능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적인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