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industrializ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산업화가 전통주거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매개변인들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Socio-Cultural Parameters in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on the Traditional Dwelling Space)

  • 김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41-15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upon the traditional house and dwelling space and their socio-cultural parameters. By now, in architecture the industrialization has been studied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traditional hose or hosing, as though it were a thing already concluded.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traditional housing has not been surveyed sufficiently. In reality, the traditional house, however, survives in spite of industrialization, but certainly modif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on the traditional house and housing, we must deepen the concepts of both and sow how they are entangl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that they are internal to each other. The parameters does not act independently on the organization of the dwelling space, but in a system formed by them. After all, the combined action of the parameters effected by industrialization entails the de-structuration of the traditional arrangement in traditional house, and tends toward, although it does not realize completely, the re-structuration for the arrangement of intimacy embodied in modern house.

  • PDF

부산지역 전출입 기업의 재입지 특성과 산업공동화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Firm Relocation into or out of Busan Metropolitan Region and De-industrialization)

  • 권오혁;최홍봉;김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12-427
    • /
    • 2008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전출입 기업들의 이전(혹은 재입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출입 기업들의 이전거리와 이전 지역의 특성(이동방향)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이것들과 기업들의 자체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은 전출 기업 수가 전입기업 수를 지속적으로 초과하여 교외화 현상과 함께 산업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이러한 경향이 현저하였다. 그리고 원거리 이동에 있어서는 수도권과의 기업이동이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기업이전의 빈도는 거리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중력모형 등 인구이동모형과 는 일치하지 않았다. 기업 이전의 방향은 광역시 간의 수평적 이동이 적은데 대해 수도권 및 중소도시, 농촌지역으로의 수직적 이동이 현저히 많았고 이러한 현상은 거리와 관계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함의는 향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 PDF

Procesos de Configuración Regional y Localidades de Uruguay 1900-1960

  • Fernandez, Tabare;Wilkins, Andres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1권1호
    • /
    • pp.159-206
    • /
    • 2019
  • The objective of the article is to describe the social structure of Uruguay at the beginning of the sixties, presenting the social differences that configured the level of urban centers or localiti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willing is to identify what historical processes would have intervened to have institutionalized a highly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welfare in the territory. The sources of information are four: (i) the population censuses of 1908 and 1963; (ii) the agricultural censuses of 1908, 1951, 1956 and 1961; (iii) the work of historical demography; and (iv) the indices published by the General Directorate of Statistics and Censuses in 1971 and 1989. Due to the lack of a dictionary of the localities, the authors matched these sources. The regional configuration processes analyzed here are: the departmentalization of the territory; the agriculturization;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balnearización. In each case, the regional and local impact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 is analyzed. The article dedicate a wide space to describe the changes in the entity, the legal status, the territorial distribution and the wellbeing of the localities, marking especially those under 1500 inhabitants, which make up an important micro-urbanization of the country. The foundation of 70% of the localities occurred during the reformist period that locates that project as a type of "social democratic" State with its "Bismarkian" type trai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se territories is based on their precarious and very poor character, the inequality in the most elementary welfare enjoyed by the established towns and cities increases. The processes of spatialization that reconfigured the territory during this time, contributed to the urbanization and population relocation, but in a framework in the political project of the "small model country" did not plan on the territory, the state have no special attention to correct the asymmetries in local welfare distribution structures. We finished with the hypothesis that beyond the social advances of the "Battlista" period, the territorial inequality of opportunities has grown between 1908 and 1963 because the lack of a public planification.

Identification of Oligosaccharides in Human Milk Bound onto the Toxin A Carbohydrate Binding Site of Clostridium difficile

  • Nguyen, Thi Thanh Hanh;Kim, Jong Woon;Park, Jun-Seong;Hwang, Kyeong Hwan;Jang, Tae-Su;Kim, Chun-Hyung;Kim, Dom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659-665
    • /
    • 2016
  • The oligosaccharides in human milk constitute a major innate immunological mechanism by which breastfed infants gain protection against infectious diarrhea. Clostridium difficile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nosocomial diarrhea, and the C-terminus of toxin A with its carbohydrate binding site, TcdA-f2, demonstrates specific abolishment of cytotoxicity and receptor binding activity upon diethylpyrocarbonate modification of the histidine residues in TcdA. TcdA-f2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BL21 (DE3). A human milk oligosaccharide (HMO) mixture displayed binding with TcdA-f2 at 38.2 respond units (RU) at the concentration of 20 μg/ml, whereas the eight purified HMOs showed binding with the carbohydrate binding site of TcdA-f2 at 3.3 to 14 RU depending on their structures via a surface plasma resonance biosensor. Among them, Lacto-N-fucopentaose V (LNFPV) and Lacto-N-neohexaose (LNnH) demonstrated tight binding to TcdA-f2 with docking energy of −9.48 kcal/mol and −12.81 kcal/mol, respectively. It displayed numerous hydrogen bonding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with amino acid residues of TcdA-f2.

Ecological impact of fast industrialization inferred from a sediment core in Seocheon,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Choi, Rack Yeon;Kim, Heung-Tae;Yang, Ji-Woong;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12-221
    • /
    • 2020
  • Background: Rapid industrialization has caused various impacts on nature, including heavy metal pollution. However,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vary depending on the types of industrializing activ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outh Korea is a proper region because the rapid socio-economical changes have been occurred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anthropogenic impacts on an ecosystem from a sediment core of Yonghwasil-mot, an irrigation reservoir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term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nutrient influx, and pollen composition. Results: The sediment accumulation rate (SAR) determined by 210Pb geochronology showed two abrupt peaks in the 1930s and 1950s, presumably because of smelting activity and the Korean War, respectively. The following gradual increase in SAR may reflect the urbanization of recent decade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rsenic (As), copper (Cu), and lead (Pb)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were > 48%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nineteenth century, supporting the influence of smelting activity. However,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e As, Cu, and Pb concentrations decreased by 19% compared to levels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is coincident with the closure of the smelter in 1989 and government policy banning leaded gasoline since 1993. The pollen assemblage and nutrient input records exhibit changes in vegetation cover and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corresponding to anthropogenic de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as well as to land-use alteration. Conclusions: Our results show that the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twentieth century clearly affected the vegetation cover, land use, and metal pollutions.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Theoretical Approaches to Regional Transformation: Path Dependence Theory and Regional Resilience Concept)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0-83
    • /
    • 2017
  • 경제성장에는 항상 지역간 격차가 있어왔다. 1960년대 이후 발생하기 시작한 선진 공업국의 탈 공업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데에도 지역간, 도시간 상당한 격차가 있어 왔다. 이러한 격차에 대한 전통적 이론은 "자원의 불균등한 배분"으로 설명하곤 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수준의 자원을 가진 지역간에도 상당한 성장격차가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그러한 전통적 이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성장과 회복에 있어서의 격차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진화론적 경제이론에 근거한 경로이론과 회복력 개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이론의 출현 배경과 특징, 유용성 등을 비교 분석한다. 이 두 이론은 아직 객관화된 판단의 근거를 개발하지는 못했지만, 종전의 이론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설득력이 있어서, 비(非)계량적 연구방법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우리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창조도시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 영국, 프랑스, 호주, 일본, 한국을 사례로 (Processes and Outcomes of Creative City Policies: Case Studies on the UK, France, Australia, Japan and Korea)

  • 신동호;이정록;이병민;배준구;나주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3-596
    • /
    • 2016
  • 1970년대 이후 산업화시대가 퇴조함에 따라 선진공업국의 경제가 크게 변하였다. 국가경제의 중심적 역할을 하던 대규모 공업도시의 경제가 몰락하여 대량실업과 도시경관의 파괴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리차드 플로리다, 찰스 랜드리 등은 창조성에 기초한 경제구조의 전환을 주장하였고,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세계 여러 나라들은 그러한 주장을 수용하여 창조도시쟁책을 추진하였다. 필자들은 영국, 프랑스, 호주, 일본, 한국 등이 조성하고자 한 대표적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 추진과정과 체계, 성과 등을 국가별로 분석하고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각기 추진한 그러한 국가별 사례연구를 종합하여 비교 분석하고, 정리한 것이다.

한·중·일 3국간 전후방연쇄 효과의 변화와 특징 (A Study on the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y International Input-Output Analysis)

  • 김홍률;최화위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241-264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산업연관표의 전후방연쇄효과를 이용하여 지난 15년간 한 중 일 3국간 산업의존도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아시아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 중 일 3국간 산업연관모형을 만든 후 영향력 계수와 감응도 계수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동북아 지역경제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상승하고 일본의 영향력이 하락하는 가운데 한 중 간의 산업연관성이 매우 긴밀해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한 중 일 3국은 자국내 산업에 대한 영향력과 의존도는 감소하면서 상대국 산업에 대한 영향력과 의존도는 확대되는 산업공동화 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의존도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주로 석유, 기계, 수송 장비, 무역 운송, 서비스, 공공행정 등 몇몇 산업부문에서 전후방 연쇄효과가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 한 중 일 3국은 서비스산업에서 전후방연쇄효과가 증가되어 왔는데, 이는 3국 무역에서 서비스의 의존성과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지역혁신 지원기관의 역할과 성과: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로 (Roles of Regional Innovation Agencies and their Performance in Dortmund, Germany)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9-424
    • /
    • 2018
  • 독일 도르트문트시는 전통적 공업도시로 한때 유럽 최대의 공업지역인 루르의 중심도시였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탈산업화로 인해 심각한 피해가 있었다. 그 후 도르트문트는 공격적이고 지속적인 지역재생정책과 사업으로 도시의 면모를 바꾸어 나아가고 있다. 1990년대에는 루르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국제건축공모전으로, 2000년대에는 자체적인 도르트문트 프로젝트로, 그리고 2010년대에는 스마트 시티 전략으로 지역을 혁신하는 가운데 도시의 성장경로를 바꾸어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도르트문트의 이러한 지역재생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그러한 성과가 나타나게 하는 행위주체의 역할과 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제론과 경로이론에 입각하여 필자가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바우하우스 가구의 특성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Bauhaus Furniture)

  • 조숙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7-76
    • /
    • 2005
  • Bauhaus, founded in Weimar, Germany in 1919, represented Modernism which is proven in the field of art as well as architecture. Furthermore, in design field, Bauhaus is the essential historical event whose influence continues in contemporary design. Bauhaus furniture is simple and austere and has linear shapes which ar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Bauhaus developed functional furniture design such as knock-down and pre-fabricated furniture. In terms of finishes, Bauhaus furniture epitomizes the influence of De Stijl which used either achromatic colors and three primary colors or natural finishes of wood. Bauhaus contributed to furniture design field as below. 1. Success in mass-produced furniture through standardization and pre-fabrication 2. Pioneered on industrializatio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3. played essential role developing modem furniture by using not only metal but also such diverse materials as plywood, glass, and lea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