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ucus carota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8초

당근의 모상근 배양에서 Fungal Elicitor에 의한 Anthocyanin 생산의 향상 (Improved Anthocyanin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 of Daucus carota by Fungal Elicitor)

  • 김창헌;이승우;황백;정인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400
    • /
    • 1994
  • In order to improve anthocyanin production, effects of fungal elicitation in hairy root culture were investigated. fungal elicitor prepared from Fusarium moniliforme was the best in enhancement of anthocyanin production among the eight fungal elicitors tested. The optimum treat-ment time and concentration of treated elicitor for anthocyanin production were 12 hours and 3.28 mg carbohydrates per liter medium. Also, fungal elicitor was treated to hairy root culture in flat-bottomed fluidized-bed bioreactor. The anthocyanin production of elicited culture was enhanced 227% than non-treated.

  • PDF

생체 생장에 관한 세포 생물학적 연구 - 당근 세포의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활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 (Cell Biological Studies on Growth and Dovelopment - Effect of polyamines on D-glucose-6-phoshate cyclohydrolase antivity in carrot cells-)

  • 조영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63-284
    • /
    • 1986
  • Effects of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on the activity of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in the Daucus carota L. protoplast cultured for 4 days and effects of polyamines on the incorporation of D-[u-14C]-glucose treated to protoplasts in culture-medium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was increased by polyamines and among them spermine was the most effective. Polyamiens increased protein synthesis and this due to the increasing effect of the polyamines on the synthesis of glycoprotein which is one of cell wall components. The synthesis of cell polysaccharides, such sa pectic substances, hemicelluloses and cellulose was increased by polyamines, which stimulated synthesis of pectin substances, and hemicellulose more greatly than that of cellulose, and spermidine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light of the above results it seems that the polyamines increase cell wall regeneration by the stimulation of enzyme activities which synthesize cell wall components.

  • PDF

당근(Daucus carota L.)배양세포의 DNase활성에 미치는 Polyamines의 영향 (The Effect of Polyamines on the DNase Activity in Cultured Carrot Cells)

  • 윤미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85-294
    • /
    • 1986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yamines such as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on protein content and DNase activity in vivo and in vitro in carrot embryos.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polyamines could replace role of cations required for DNase activity in vitro.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increased protein content, although response to spermine reached plateau at the concentration of 0.1 mM. DN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polyamines, the inhibition being concentration-dependent and the highest att he concentration of 10 mM. The inhibition of DNase activity was the most prominent with spermine. Similar inhibitory effect to polyamines which was concentration-dependent was found in DNase activity but no change was shown on time-course in vitro. Putrescine and spermidine enhanced the DNase activity at low Mg2+ and Mn2+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 role of Mg2+ and Mn2+ for DNase activity could be, in part, replaced by these polyamines.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plyamines can modulate DNase activity through binding to DNA rather than direct effect on DNase activity.

  • PDF

감마선 조사된 녹즙의 In vitro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In vitro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resh Vegetable-Extract Juice by Gamma Irradiation)

  • 이현자;강근옥;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7-1236
    • /
    • 2001
  • 녹즙의 위생화와 저장.유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10kGy 감마선 조사된 녹즙(돌미나리, 당근, 케일 및 신선초)의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검증의 일환으로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실험과 Escherichia coli PQ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다. 10 kGy로 감마선 조사된 녹즙은 위 세가지 in vitro 유전독성시험을 한 결과, 음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10 kGy로 조사된 녹즙은 어떠한 돌연변이도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된 녹즙이 in vitro에서 유전독성학적으로 안전하였다.

  • PDF

생체생장에 관한 세포생물학적 연구 당근 뿌리의 원형질체에서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활성도에 미치는 polyamine과 $Ca^{2+}$의 영향 (Cell Biological Studies on Growth and Development Effect of polyamine and $Ca^{2+}$ on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activity in carrot root protoplast)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4호
    • /
    • pp.249-255
    • /
    • 1987
  • The effect of polyamine and Ca2+ on D-glucose-6-phosphate cyclohydrolase activity was studied in Daucus carota root. The enzyme activity was reduced in response to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Ca2+, not the Ca2+-calmodulin complex. The inhibition effect due to Ca2+ was reversed by polyamine, especially remarkable at low concentration of Ca2+. The effect of the Ca2+ on the enzyme seemed to compete with polyamine according to the Lineweaver-Burk plot. The enzyme activity from carrot root protoplast cultured in the prescence of verapami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uch cumulativ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by the Ca2+ and enhancement or reversal by polyamine could regulate the biosynthesis of pectin and hemicellulose to some extent.

  • PDF

당근 종모 형질 관련 EST profiling과 이를 이용한 EST-SSR 및 SNP 마커 개발 (EST Profiling for Seed-hair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of EST-SSR and SNP Markers in Carrot)

  • 오규동;황은미;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25-1038
    • /
    • 2010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작물 중 하나이다. 또한 Vitamin A의 전구체인 ${\beta}$-carotene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도 주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종자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종자모는 종자발아시 흡수를 저해하며 발아를 억제하여 기계적인 제모작업을 거쳐 상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모종자 당근 품종의 육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모종자 표현형 CT-ATR615 OP 666-13 개체와 control 유모종자 표현형 CR-ATR615 OP-CK1-9개체의 종자 cDNA library를 작성하여 EST sequence비교를 통해 표현형의 차이에 따라 종자모 형성에 관련하여 발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BlastX 결과를 바탕으로 개체간 동일한 결과를 제외한 EST sequence를 각각 FunCat 기능별 category로 분류하였다. Metabolism category에서 단모종자 표현형 개체가 오히려 유모종자 표현형 개체보다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단모 및 장모종자 개체간의 protein folding and stabilization, subcellular localization category에서 나타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종자모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분석된 EST sequece를 바탕으로 개체별로 각각 50개 및 59개의 SSR site를 확인하였으며, 각각 2개씩의 SNP site를 확인하였다. 이들 SSR 및 SNP site의 primer 작성하여 마커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종자모 형성에 관련된 분자마커 개발에 이용하는 것은 물론 당근의 계통 분류 및 여러가지 형질 관련 분자 마커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근 종모 형질 관련 cDNA Library 작성 및 EST 분석 (Construction of cDNA Library and EST Analysis Related to Seed-hair Characteristics in Carrot)

  • 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82-789
    • /
    • 2013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작물 중 이며,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종자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종자모는 발아를 억제하고 흡수를 저해하여 육묘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당근 종자는 기계적인 제모작업을 거쳐 상품화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상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모종자 당근 품종의 육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개체 및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개체 등 두 조합의 종자 cDNA library를 작성 후 EST 염기서열의 비교분석을 통해 당근 종자모 형질관련 연구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EST 염기서열의 BlastX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EST를 FunCat 기능별 category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Metabolism category와 protein folding 및 stabilization, protein binding, C-compound binding category에서 2조합 모두 동일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EST 염기서열의 GO data를 바탕으로 seed trichome differentiation 및 cellulose biosynthetic process에 관련된 EST를 선발하였다. 이러한 FunCat category에서의 차이점과 GO data 분석을 통해 확인된 후보 EST 들이 당근 종자모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개체 별 EST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33개의 SNP site, 741개의 SSR site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SNP 및 SSR site는 당근 종자모 형성에 관련된 분자마커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당근의 여러 형질에 대한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근 EST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자모 형질 관련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Seed-hair Characteristic Based on EST Sequences in Carrot)

  • 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0-88
    • /
    • 2013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채소 작물 중 하나로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의 전구체로 잘 알려진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당근 종자는 종피의 epidermal 세포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종자모의 캐로톨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종자의 수분흡수와 발아가 억제된다. 따라서 당근 종자를 상품화하기 이전에 기계적인 종자모 제거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과정 때문에 생산자는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물론 시간과 노동력, 그리고 자본금과 같은 추가적인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리고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종자발아율을 불균일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무모종자 당근품종 개발을 위한 육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육종과정을 위해 종자모 형질관련 분자표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 개체, 그리고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 개체의 cDNA library를 각각 작성하였다. 또한 각각의 개체별로 1,248개의 EST, 합계 4,992개의 EST를 sequencing하였다. 단모종자와 유모종자 개체의 EST sequence들을 2개의 조합에서 각각 비교 분석하여 19개의 SNP site, 14개의 SNP site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NP site에 대한 High Resolution Melting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HRM 프라이머들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40 개체군과 무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24, 1025, 1026 개체군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중 한세트의 HRM 프라이머에서 유모 및 단모종자 표현형 개체군들의 melting curve간 특이적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모종자 당근 및 단모종자 당근간의 보다 간편한 선발을 위해 allele-specific PCR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HRM 및 AS-PCR 결과는 무모종자 당근육종에 있어 유용한 분자표지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EST profiling을 통한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의 종모 형성에 관련된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Seed Hair Formation Related Genes by EST Profiling in Carrot (Daucus carota var. sativa))

  • 황은미;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39-1050
    • /
    • 2010
  • 당근은 서양뿐만 아니라 중국 및 한국과 같은 아시아 전역에서 요리로 많이 이용되는 유용한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당근 종자 표면에는 모(毛)가 존재하고 이 종모는 발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거해야 한다. 더욱이 종모 처리는 시간과 인력 및 자본의 소비와 같은 추가적인 손실을 동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단모종자를 이용하여 모형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연구가 필요하다. 당근 종모의 발달은 2차 세포벽의 합성단계 동안 cellulose의 합성 과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바탕으로, EST profiling을 통해 종모와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당근 종모 형성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성숙 초기 단계의 단모종자 659-1개체와 유모종자 677-14개체를 이용하여 cDNA library를 구축하였다. 단모종자 659-1개체와 유모종자 677-14개체에서 확보된 EST 염기서열의 NCBI database BLASTX 분석을 통한 EST profiling 결과, 172개와 224개의 unigene은 이미 알려진 단백질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233개와 192개의 unigene은 확인되지 않는 유전자들이었다. EST는 추정되는 기능에 따라 16개의 category로 그룹화되었다. 전체 EST 중 29개의 unigene이 2차 세포벽 합성 단계 동안 cellulose의 합성 pathway상의 종모 형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추정되며, 실제로 종모 발달과 관련된 14개의 unigene이 유모종자 계통에서만 발견되었다.

제지(製紙) 스럿지 퇴비(堆肥)의 농업적(農業的) 이용연구 - II. 당근에 대(對)한 시용효과 (Agricultural Utilization of Paper Mill Sludge Manure Compost - II. Effects on the Growth of Carrot(Daucus carota L.))

  • 장기운;김상덕;최우영;이규승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59
    • /
    • 1992
  • 제지(製紙)스럿지 숙성퇴비(熟成堆)의 비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중량(生重量) 기준으로 18%의 돈분(豚糞)과 8% 정도의 톱밥을 포함한 숙성퇴비 1(SMC-1)과 톱밥을 넣지 않고 돈분을 총량의 3분의 1 포함한 숙성퇴비 2(SMC-2)를 준비하여, 화학비료만을 시용한 대조구(對照區)(S-0), 화학비료에 숙성퇴비 1을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1구) 및 숙성퇴비 2를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2구)의 3가지 처리를 하여, 당근을 공시작물로 하여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근의 생육(生育)에 대한 제지스럿지 숙성퇴비의 시용(施用)은 무시용구(無施用區)와 비교해서 당근 1개당 생근중량(生根重量), 단위면적당 수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질소, 인, 칼륨 및 칼슘 함량은 시용구에서 높았다. 제지스럿지 숙성퇴비 사이의 차이는 생엽중(生葉重), 근경(根徑), 생근중량(生根重量) 및 단위면적당 수확량에 있어 S-2구가 S-1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근중의 함량은 칼륨>칼슘, 질소, 인>마그네슘의 순이었고, 알루미늄, 아연 구리 및 크롬 함량은 식물체 생육에 독성(毒性)을 나타내는 수준보다 낮았으며, 납과 카드늄 함량은 미량(微量)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부터 당근에는 무시용구(無施用區)보다는 제지(製紙)스럿지 시용(施用)이 생육에 효과가 있었으며 SMC-2 시용이 SMC-1 시용보다 유리(有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