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base Construction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34초

교통 이력 자료를 위한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Very Large Database Construction for Historical Traffic Data)

  • 송수경;정수정;이민수;남궁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0-292
    • /
    • 2007
  • 현재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FTMS)과 우회도로 교통정보시스템(ARTIS)은 차량 검지 장치와 CCTV 를 통해 실시간 교통 자료를 수집하고, 도로전광표지(VMS),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매일 도로에서 수집되는 엄청난 양의 교통 자료를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어, 교통 자료를 가공하고 처리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시스템으로부터 대용량의 교통 자료를 가져와 하나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얻은 교통 이력 자료를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한다.

Axial load prediction in double-skinned profiled steel composite walls using machine learning

  • G., Muthumari G;P. Vincent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3권6호
    • /
    • pp.739-754
    • /
    • 2024
  • This study presents an innovative AI-driven approach to assess the ultimate axial load in Double-Skinned Profiled Steel sheet Composite Walls (DPSCWs). Utilizing a dataset of 80 entries, seven input parameters were employed, and various AI techniques, including Linear Regression, Polynomial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Decision Tree Regression, Decision Tree with AdaBoost Regression, Random Forest Regression, Gradient Boost Regression Tree, Elastic Net Regression, Ridge Regression, and LASSO Regression, were evaluated. Decision Tree Regression and Random Forest Regression emerged as the most accurate models. The top three performing models were integrated into a hybrid approach, excelling in accurately estimating DPSCWs' ultimate axial load. This adaptable hybrid model outperforms traditional methods, reducing errors in complex scenarios. The validat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showcases less than 1% error, enhancing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highlights robust predic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eel sheet thickness. The study contributes insights for predicting DPSCW strength in civil engineering, suggesting optimization and database expansion. The research advances precise load capacity estimation, empowering engineers to enhance construction safety and explore furthe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structural engineering.

한국 전통음식 통합검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Traditional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 신승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5-552
    • /
    • 2008
  • This study is attempt to develop for Korean traditional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with food database. We are collected all kind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referred to document and classified according to food types and cooking methods. Also we are classified 6 type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s follows: traditional common, royal, local, festival, rites, and Buddhist temple foods, And we integrate all of that databases for using a specialist or not. We researched for Korean traditional food by cooking type and planed organization for the standardized code and construction for databas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t was combined all of them, constructed for Korean traditional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classified with 10 provinces local foods, 18 festival foods by seasonal divisions reflecting traditional Korean holidays; and 9 classes rites foods. Korean traditional food using a traditional Korean food classific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a total of 7,289 kinds foods according to food types. those were 2,585 kinds traditional common foods, 142 kinds of royal foods, 2,137 kinds of local foods, 515 kinds of festival foods, 403 kinds of rites foods, and 1,507 kinds of Buddhist temple foods.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included 980 kinds of main dishes, 4,456 kinds of side dishes, 873 kinds of tteok lyou, 515 kinds of hangwa lyou and 465 kinds of emchong lyou.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e preserving and develop their excellence and to further studies.

MCML 기반 모션캡처 데이터 저장 및 퍼지 기반 모션 검색 기법 (Storing and Retrieving Motion Capture Data based on Motion Capture Markup Language and Fuzzy Search)

  • 이성주;정현숙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70-275
    • /
    • 2007
  • 모션 캡처 기술은 현실감 있는 캐릭터 동작을 얻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모션 캡처 데이터의 상이한 포맷들로 인하여 효율적인 모션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이한 형식의 모션 캡처 데이터를 통합하고 효과적으로 저장 및 검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상이한 모션 캡처 데이터 포맷들을 통합하기 위한 XML 기반의 표준 포맷을 MCML(Motion Capture Markup Language)로 정의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포맷의 모션 캡처 데이터 파일을 하나의 단일화된 MCML 파일로 변환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또는 XML 데이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동일 데이터의 중복 저장 및 공유 문제를 해결한다. 모션캡처 데이터의 검색은 퍼지 문자열 검색(Fuzzy string searching) 기법에 의한 유사어 검색으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MCML 문서들을 찾거나 특정 위치의 시작 프레임에서 일련의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모션클립(motion clips)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선행 탑재장에서의 공간일정계획에 관안 연구 (A Study on Spatial Scheduling in the P.E. Stage)

  • 구충곤;윤덕영;배태규;조민철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61-66
    • /
    • 2004
  • In this paper an effort is made to develop an innovative spatial arrangement concept pertaining to ship building industry. The spatial scheduling is the problem that concentrates on effective planning of available space and arrangements of blocks and in a priority manner. In order to create an effective spatial scheduling. a database providing the priority has to be available to make the erection sequence. Such a system works hand in hand with erection sequence generator program The erection sequence program works on the convention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uses a typical parent-children idea for the calculation of the ENT(possible earliest network start time) and LNT(possible latest network start time). This program works in a cyclic manner taking turns by calculating the ENT in upward trace and LNT on the return trace thereby generating the entire erection sequence diagram for the requisite problem The generated database serves as an input data for spatial scheduling problem. When the system works i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ntire system based on heuristic concepts as mentioned. There system uses the spatial aspects such as the available area of the P. E area and plan area of the corresponding blocks and its priority of erection from the erection sequence generator program develops the spatial scheduling arrangement. In this paper using all these concepts an innovative spatial schedule development system developed.

  • PDF

잣나무(Pinus koraiensis)의 cDNA library 제작 및 EST 분석 (Construction of a full-length cDNA library from Pinus koraiensis and analysis of EST dataset)

  • 김준기;임수빈;최선희;이종석;노승문;임용표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1-16
    • /
    • 2011
  • In this study, we report the generation and analysis of a total of 1,21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Pinus koraiensis. A cDNA library was generated from the young leaf tissue and a total of 1,211 cDNA were partially sequenced. EST and unigene sequence quality were determined by computational filtering, manual review, and BLAST analyses. In all, 857 ESTs were acquired after the removal of the vector sequence and filtering over a minimum length 50 nucleotides. A total of 411 unigene, consisting of 89 contigs and 322 singletons, was identified after assembling. Also, we identified 77 new microsatellite-containing sequences from the unigenes and classified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ir repeat unit. According to homology search with BLASTX against the NCBI database, 63.1% of ESTs were homologous with known function and 22.2% of ESTs were matched with putative or unknown function. The remaining 14.6% of ESTs showed no significant similarity to any protein sequences found in the public database. Gene ontology (GO) classification showed that the most abundant GO terms were transport, nucleotide binding, plastid, in terms biological process, molecular function and cellular component, respectively. The sequence data will be used to characterize potential roles of new genes in Pinus and provided for the useful tools as a genetic resource.

CANDU형 원전 2차 배관의 침부식 감육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ing of Metal Loss by Flow-Accelerated Corrosion in the Secondary Piping of CANDU Nuclear Plants)

  • 심상훈;송정수;윤기봉;황경모;진태은;이성호
    • 에너지공학
    • /
    • 제11권1호
    • /
    • pp.18-25
    • /
    • 2002
  • 침부식 (FAC, Flow-Accelerated Corrosion)에 의한 감육 문제는 원자력 발전소 배관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FAC는 배관 내부 유체의 pH, 용존산소 농도, 유체 온도, 유속 및 습증기 분율 등과 배관의 형상 및 재료 등의 특정 조건에서만 발생하므로, FAC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정 CANDU원전의 2차계통 배관을 대상으로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FAC감육율의 예측 및 배관 잔여수명의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FAC 발생기구 및 FAC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습분분리기와 플래시탱크 사이 배관 라인의 해석 예로부터 FAC 문제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은 국내 다른 원자력발전소의 배관 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Inundating Disaster Assessment in Coastal Areas Using Urban Flood Model)

  • 유환희;김원석;김성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9-309
    • /
    • 2006
  •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대규모의 자연재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도시지역의 인구 과밀화와 시설물의 대형화로 피해규모도 대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미 태풍 시 침수피해가 크게 발생하였던 마산시 월영동지역에 대해 도시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빈도강우와 해수위별 침수예상지를 추정하고 이것을 GIS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침수예상피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IS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홍수추정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침수위치와 침수심을 예측함으로서 빈도강우와 해수위 상승에 따른 침수예상지역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 건물용도별로 침수위험도를 예측하거나 침수에 따른 대피계획수립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향 후 웹이나 무선통신기술 등과 연계된 재난관리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이뤄질 경우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단백질 경로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tein Pathway Analysis System)

  • 이재권;강태호;이영훈;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1-40
    • /
    • 2005
  • 포스트 게놈 시대에는 단백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및 단백질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전체 생물 체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존에 생물학자들이 실험을 통해서 증명한 사실들을 논문이나 기타 매체를 통해서 공개를 하고 있다. 하지만 공개된 정보의 양이 방대하므로 생물학자들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행히도 인터넷의 발달로 하루에도 수 없이 쏟아져 나오는 연구 성과들에 쉽게 접근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매체로부터 생물학적 의미를 가지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일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상에 공개된 다량의 논문 및 기타 정보 매체로부터 단백질 정보를 추출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백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단백질 네트워크를 통해서 생물학적 의미를 가지는 여러가지 경로 분석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생활천문자료의 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Services of Living Astronomical Data)

  • 성현일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2호
    • /
    • pp.103-120
    • /
    • 2011
  • 천체의 운동을 관측한 다양한 천문학 자료들이 오랫동안 우리의 실생활에 활용되어져 왔다. 이 생활천문자료에는 일출몰시각 자료와 음양력변환 자료, 일식과 월식 등을 포함하는 천문현상 자료, 그리고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 자료가 있으며, 계절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했던 고대의 농경사회에서는 농업을 위한 기본자료로 사용되었고 천문현상과 정권유지를 유기적으로 연결한 고대집권세력에 의해서 정치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도 이들 생활천문자료들은 건축물의 일조량 관련 문제와 일출몰 시각과 관련된 법적분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활천문자료는 순수과학의 결과물이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좋은 사례이다. 그러나 이 자료들은 역서를 통해 배포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주로 민원신청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기 때문에 이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들을 보다 쉽게 이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MySQL 기반의 웹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