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validation

검색결과 3,223건 처리시간 0.039초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Cyber Education of Giftedness)

  • 이재호;홍창의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9-140
    • /
    • 2009
  • 영재교육진흥법에 의거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라는 취지에서 사이버영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사이버영재교육에 대한 운영 및 교육방법 등과 같은 이슈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영재교육기관과 관련 교육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사이버영재교육원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사이버영재교육용 교수-학습 모형과 투입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이버영재교육 교수-학습 모형과 투입전략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2008년 경기도 사이버영재교육지원 센터 초등정보반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모형과 전략별로 만족도와 참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수정된 물관리보정인자를 적용한 경기도 논에서의 메탄 배출량 산정과 지도화 (Estimation and Mapping of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ies in Gyunggi-do Using the Modified Water Management Scaling Factor)

  • 최성원;김학영;김연욱;강민석;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0-326
    • /
    • 2016
  • 기후-스마트 농업의 관점에서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그 양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농업 부문 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 2010년 농림어업총조사의 전수자료와 수정된 물관리보정인자 산정법 및 그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이해하기 쉽도록 Arc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도화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 값을 현장의 실측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큰차이가 없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를 더욱 확대할 필요성이 충분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행정구역별 메탄 배출량 지도를 통해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주요 조절 인자에 대한 분석은 실질적인 메탄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상동맥우회술 수술환자의 수술 후 사망률 예측모형의 개발 (Severity-Adjusted Mortality Rates : The Case of CABG Surgery)

  • 박형근;권영대;신유철;이진석;김해준;손문준;안형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1호
    • /
    • pp.21-27
    • /
    • 2001
  • Objectives : To develop a model that will predict the mortality of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and evaluate the perfermance of hospitals. Methods : Data from 564 CABGs peformed in six general hospitals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record abstraction by registered nurses. Variables studied involved risk factors determined by severity measures. Risk modeling was performed through logistic repression and validated with cross-validation. The statistical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odel was evaluated using c-statistic, $R^2$, and Hosmer-Lemeshow statistic. Hospital performance was assessed by severity-adjusted mortalities. Results : The developed model included age, sex, BUN, EKG rhythm, Congestive Heart Failure at admission. acute mental change within 24 hours, and previous angina pectoris history. The c-statistic and $R^2$ were 0.791 and 0.001, respectively. Hosmer-Lemeshow statistic was 10.3(p value=0.2415). One hospital had a significantly higher mortality rate than the average mortality rate, while others were ne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Comparing the quality of service by severity adjusted mortality rat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spital performance. The severity adjusted mortality rate of CABG surgery may He an indicator for evaluating hospital performance in Korea.

  • PDF

흉부 방사선영상의 좌, 우 반전 발생 여부 컨벌루션 신경망 기반 정확도 평가 (An Accuracy Evaluation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ssessment of Orientation Reversal of Chest X-ray Image)

  • 이현우;오주영;이주영;이태수;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2호
    • /
    • pp.65-70
    • /
    • 2020
  • PA(postero-anterior) and AP(antero-posterior) chest projections are the most sought-after types of all kinds of projections. But if a radiological technologist puts wro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in the computer, the orientation of left and right side of an image would be rever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tilized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hich has recently utilized a lot for studies of medical imaging technology and rule-based system. 70% of 111,622 chest images were used for training, 20% of them were used for testing and 10% of them were used for validation set in the CNN experiment. The same amount of images which were used for testing in the CNN experiment were used in rule-based system. Python 3.7 version and Tensorflow r1.14 were utilized for data environment. As a result, rule-based system had 66% accuracy on evaluating whether the orientation reversal on chest x-ray image. But the CNN had 97.9% accuracy on that. Being overcome limitations by CNN which had been shown on rule-based system and shown the high accuracy can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result. If some problems which can occur for tasks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can be separated by utilizing CNN, It can contribute a lot to optimize workflow.

웹3D 물리 단위 스키마 정의와 구현 (Schema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for Web3D Physical Units)

  • 김이현;박창섭;이명원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1-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가상환경에서 실세계 물체들의 사실적 시뮬레이션과 표현에 필요한 물체의 물리적 속성 정의를 위해서 물리 단위를 도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표준화된 물리 단위 규격의 정의를 위하여 물리 단위는 SI 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of Units)를 기본으로 하고 가상세계 데이터의 표준화된 규격을 위하여 웹3D 표준인 X3D(Extensible 3D)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 단위 명세를 정의한다. 물리 단위를 X3D 규격 안에서 정의하는 과정에서 물리 단위의 적용을 받은 물체가 X3D 장면 안에서 사실적인 변화로 표현되기 위해서는 X3D 전체 스키마에 합당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실세계 물리 단위를 X3D 스키마에 확장하여 정의하고, 확장된 X3D 규격으로 구현된 브라우저에서 물리 단위를 포함하는 물체가 물리 단위 개념이 없었던 기존 X3D 물체가 어떻게 다른가를 물리 단위 예제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외재적 변수를 이용한 딥러닝 예측 기반의 도시가스 인수량 예측 (Deep Learning Forecast model for City-Gas Acceptance Using Extranoues variable)

  • 김지현;김지은;박상준;박운학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5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가스 인수량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국내의 도시가스 회사는 KOGAS에 차년도 수요를 예측하여 보고해야 하므로 도시가스 인수량 예측은 도시가스 회사에 중요한 사안이다. 도시가스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도구분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인수량 데이터는 용도별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 용도에 관계없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외기온도를 고려하여 모델개발을 실시하였다.실험 및 검증은 JB주식회사의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총 11년 치 도시가스 인수량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통적인 시계열 분석 중 하나인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와 딥러닝 기법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각각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두 방법의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앙상블(Ensemble)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일별 예측의 오차율 절댓값 평균은 Ensemble LSTM 기준 0.48%, 월별 예측의 오차율 절댓값 평균은 2.46%, 1년 예측의 오차율 절댓값 평균은 5.24%임을 확인하였다.

XCAP 서버 기능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CAP Server)

  • 현욱;박선옥;이일진;강신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71-574
    • /
    • 2005
  •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은 IETF의 SIMPLE WG에서 현재 표준화 과정 진행중에 있다. 네트워크에 위치한 많은 통신 어플리케이션들은 Request를 처리하는 시점에서 사용자 별 정보를 접근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사용자별 정보는 네트워크 내에서 유지되며 end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고 있다. XCAP은 이러한 정보들을 관리하고 조직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프로토콜로써 HTTP 기반에서 동작한다. 각 정보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각자에게 필요한 형태의 XML 데이터로 규격화 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마다 unique한 ID인 AUID(Application Unique ID)를 할당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Application Usage들은 사용하고자 하는 XML의 스키마와 default namespace, MIME Type, Validation Constraints, Data Semantics, Naming Conventions, Resource Interdependency, Authorization Policy등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XCAP 서버는 단말들로부터 이러한 configuration 정보들을 전달받아 조직화하여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에서는 XCAP 서버의 기능을 구현받기 위하여 기능의 정의 및 블록별 기능 분리를 통한 설계 방법 및 구현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Fast Ambiguity Resolution using Galileo Multiple Frequency Carrier Phase Measurement

  • Ji, Shengyue;Chen, Wu;Zhao, Chunmei;Ding, Xiaoli;Chen, Yongq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179-184
    • /
    • 2006
  • Rapid and high-precision positioning with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is feasible only when very precise carrier-phase observations can be used. There are two kinds of mathematical models for ambiguity resolution. The first one is based on both pseudorange and carrier phase measurements, and the observation equations are of full rank. The second one is only based on carrier phase measurement, which is a rank-defect model. Though the former is more commonly used, the latter has its own advantage, that is, ambiguity resolution will be freed from the effects of pseudorange multipath. Galileo will be operational. One of th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Galileo and current GPS is that Galileo will provide signals in four frequency bands. With more carrier-phase data available, frequency combinations with long equivalent wavelength can be formed, so Galileo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fast and reliable ambiguity resolution than current GP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phase only fast ambiguity resolution performance with four Galileo frequencies for short baseline. Cascading Ambiguity Resolution (CAR) method with selected optimal frequency combinations and LAMBDA method are used and compared. To validate the resolution, two tests are used and compared. The first one is a ratio test. The second one is lower bound success-rate test. The simulation test results show that, with LAMBDA method, whether with ratio test or lower bound success rate validation criteria, ambiguity can be fixed in several seconds, 8 seconds at most even when 1 sigma of carrier phase noise is 12 mm. While with CAR method, at least about half minute is required even when 1 sigma of carrier phase noise is 3 mm. It shows that LAMBDA method performs obviously better than CAR method.

  • PDF

비정상상태 하천흐름에서 오염물질 혼합 수치모형의 신뢰성 평가 (Validation of an Unsteady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Transport Model with Experiments)

  • 문형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168-1179
    • /
    • 2006
  • 비정상상태인 하천의 흐름에 대한 물질 분산의 수치모형(2DNHPDM)을 실제의 강우유출시, 전남 순천 이사천에서 관측된 자료를 적용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검토했다. 2005년 5월 7일 10시간 지속된 강우사상에 대하여 관측은 35시간 이루어졌다. 하천 내의 일곱 지점을 선정하여, 수위, 유속, 유량, COD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제작된 모형을 자연 하천에 적용하여 비정상상태의 흐름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하천 흐름의 종횡방향 혼합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과정이 모의되었다. 지천에서의 유입부하 및 비점오염원의 유입부하에 대한 하천의 오염물질 혼합에 대해서도 모형을 적용한 결과, 양호한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임계 및 초임계 탄화수소 연료 액적의 기화 특성 연구 (Vaporization of Hydrocarbon Fuel Droplet in Supercritical Environments)

  • 이경재;이봉수;김종현;구자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85-93
    • /
    • 2003
  • 주위 압력변화에 따른 공기중에 놓인 탄화수소 연료 액적의 기화에 관한 수치적 연구를 일차원 기화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위 압력은 대기압에서 임계압력이상까지 변화시켰다. 높은 압력에서 실기체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수정 Soave-Redich-Kwong상태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임계온도 근방과 초임계상태에서는 비이상기체 열역학 및 전달 물성치를 고려하였다. 계산의 타당성을 위해 계산 결과와 사토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고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아임계 온도에서는 압력증가에 따라 액적수명은 증가하였으며 초임계온도에서는 압력증가에 따라 액적수명은 감소하였다. 고압에서는 액상에 용해되는 질소의 용해도는 무시할 수 없고 온도와 압력이 높을수록 용해도는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