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overeignt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or Smart Agriculture Technologie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R&D Project Data

  • Lee, Sujin;Park, Jun-Hwan;Kim, EunSun;Jang, Wooseo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spc호
    • /
    • pp.112-122
    • /
    • 2022
  • Food security and its sovereignty have become among the most important key issues due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Regarding these issues, many countries now give attention to smart agriculture, which would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a data-based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attempted to promote smart agriculture by 1) implementing the agri-foo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olicy, and 2) increasing the R&D budget by more than double in recent years. However, its endeavors only centered on large-scale farms which a number of domestic farmers rarely utilized in their farming. To promote smart agriculture more effectively, we diagnosed the government R&D trends of smart agriculture based on NTIS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data. We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for each R&D period by analyzing three pieces of information: the regional information, research actor, and topic.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uld suggest systematic R&D directions and implications.

분산 ID 보관 및 연계 서비스 모델 제안 (Proposal for a Custody and Federated Service Model for the Decentralized Identity)

  • 여기호;박근덕;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513-525
    • /
    • 2020
  • 오늘날까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들은 많은 기업이나 기관에 중앙 집중화되어 있는 구조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점차적으로 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통제하고 소유권을 찾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해외는 일찍부터 EU의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이나 미국의 소비자 프라이버시 권리장전(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등으로 개인의 데이터 소유권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도 여러 기업들이 모인 연합체들에 의해 분산 ID 서비스 모델에 대한 기술 연구와 서비스 적용 사례들을 만들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연구되고 있는 분산 ID 서비스 모델과 그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고 해결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분산 ID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모델은 분산 ID를 제3의 기관인 보관자에게 안전하게 수탁하는 기능과 서로 다른 분산 ID 서비스가 생기더라도 상호 연동될 수 있는 연계 기능을 가진다. 아울러, 제안 모델의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모델을 제시한다. 분산 ID 기술은 사람에 대한 증명뿐아니라 향후 사물인터넷의 디바이스 ID 인증 관리에도 확장되어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till Aquamarine: China Factor and the 2020 Election Revisited

  • Kai-Ping Hua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77-106
    • /
    • 2023
  • The DPP's victory over the KMT in Taiwan's 2020 elections has been interpreted as a triumph for anti-China sentiment. However, the rise of political outsiders and their influence on voting behavior in this election were overlooked and underestimated. In this article, we examined different sources of data and found that supporters of these political outsiders mentioned sovereignty and cross-Strait issues less than the incumbent Tsai Ing-wen. However, when faced with the choice between Tsai and challenger Han Kuo-yu, voters who were concerned about governance chose Tsai, contributing to her winning a record number of vot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economic and governance issues had a considerable role in the election's result and will probably be the main focus of the 2024 presidential election. With the potential for a conflict in the Taiwan Strait increasing, anti-China sentiment is unlikely to be the deciding factor this time around.

데이터 민주주의(data democracy)에 대한 규범적 접근 (A Normative Approach to Data Democracy)

  • 박희진;김지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7-158
    • /
    • 2023
  •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현대 데이터 사회에서 데이터 활용에 있어 데이터의 개방성과 더불어 신뢰성 및 공정성 확보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서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을 정의하고 규범적 가치의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민주주의 체계와 현황을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과 선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데이터 민주주의의 논의를 위한 토대로써 Kneuer(2016)의 개념을 토대로 자유롭고 공평한 접근, e-참여, e-정부를 e-민주주의의 주요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e-민주주의의 규범적 원리를 토대로 데이터 거버넌스의 질 향상을 위해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의 이해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로 포용성과 형평성, 참여, 민주적 주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민주주의 실천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문헌정보학에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에 근거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제시하였다.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조직내 RDM 구축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DM in an Organization Using Big Data and Block Chain)

  • 이경희;최영진;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7-139
    • /
    • 2019
  • 연구 데이터 관리(Research Data Management: RDM)는 연구데이터를 생산, 수집, 이용, 보전하는데 있어 방향을 제시하고 지원하는 인력, 정책, 자원 및 기술을 포괄하는 시스템이다. RDM은 연구비 신청시 작성하는 DMP(Data Management Plan)의 작성지원, 데이터 컬렉션과 리파지토리 구축, 연구 데이터의 디지털 보전과 유통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들로 구성된다. 선진국의 경우 각 기관들이 RDM을 위한 시스템과 관련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구 데이터에 관한 인식수준이 낮아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조직의 현실에 적합한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최근들어 각 분야마다, 조직마다 빅데이터의 생성과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급증하고 있어 이를 조직내 RDM 구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데이터 주권 확보를 지원하고, 데이터 프로비넌스 보장과 P2P 방식의 분산 RDM 구축 방안도 제안한다.

  • PDF

국제데이터유통(TDF)에서의 정보서비스 이해 (A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in the Perspective of Transborder Data Flow)

  • 유사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29
    • /
    • 1994
  • 본 연구는 근래에 국내 정보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 해외정보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기존에 국제 데이터 유통에 대해 연구 되어진 여러 논쟁점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각종 해외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가간의 정보교량 역할을 하고 있는 국내외 조직들과 최근들어 급증하는 영리, 비영리 방식의 국내 INTERNET에 의한 해외정보유통 등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핵심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미 국제데이터유통과 그에 따른 문제들에 대해 선진국들이 주지하면서 그에 대처해 오고 있는 방식을 국내 입장에서 반드시 인식해야 할 것이며, 둘째 국제정보 사회에서의 정보 주권에 대한 이해가 특히 증가하고 있는 해외정보 서비스 관련 조직체들과 서비스 실무자들에 의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PDF

미·중 초국경 데이터 규제와 사이버안보 담론 비교: 아세안 개발원조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US-China Discourse on Cross-border Data Regulation and Cybersecurity: Focusing on ASEAN Development Assistance Cases)

  • 이가연
    • 정보화정책
    • /
    • 제30권1호
    • /
    • pp.89-108
    • /
    • 2023
  • 과학기술혁신은 행위자들의 활동을 전통적인 물리적 영토에서 사이버 영역으로 확장했다.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와 시장은 사이버 공간의 주권에 대한 담론뿐 아니라 초국경 협력과 사이버 안보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진전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천연가스나 심해자원과 같은 주요 자원 수송로에 위치한 개도국에 대한 원조 경쟁이 치열하다. 아세안은 미·중의 강대국이 충돌하는 지정학적인 군사·안보의 요지일 뿐만 아니라 6억 명에 이르는 인구는 데이터 자원으로 인해 디지털 경제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이 논문은 국제개발협력에서 자유주의와 권위주의 담론을 데이터 규제 및 사이버안보와 연계하고, 이를 통해 아세안 통합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빅데이터와 관련한 국제정치적 사안들을 연계하는 융합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기상요소와 MODIS NDVI를 이용한 한국형 논벼 생산량 예측모형 (KRPM)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Paddy Rice Yield Prediction Model (KRPM) using Meteorological Element and MODIS NDVI)

  • 나상일;박종화;박진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141-148
    • /
    • 2012
  • Food policy is considered as the most basic and central issue for all countries, while making efforts to keep each country's food sovereignty and enhance food self-sufficiency. In the case of Korea where the staple food is rice, the rice yield prediction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task to cope with unstable food supply at a national level. In this study, Korean paddy Rice yield Prediction Model (KRPM) developed to predict the paddy rice yield using meteorological element and MODIS NDVI.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NDVI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Six meteorological elements include average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rainfall; accumulated rainfall and duration of sunshine. Concerning the evaluation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KRPM, the accuracy assessment was carried ou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edicted and provided data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paddy rice yield in 2011. The 2011 predicted yield of paddy rice by KRPM was 505 kg/10a at whole country level and 487 kg/10a by agroclimatic zones using stepwise regression while the predicted value by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as 532 kg/10a.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paddy rice yield according to NDVI and other meteorological elements were well reflected by the KRPM.

Seed and seed coat morphology in monotypic and endemic genera of Korean angiosperms

  • Se-Moon AHN;Hye-Rin KIM;Kweon HE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2-109
    • /
    • 2023
  • The basic information of ovule and seed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for five monotypic and endemic genera in the Korean peninsula as categorized by the Flora of Korea category. The carpels and seeds were sectioned with a rotary microtome. Mature seeds were coated with platinum using an ion sputter and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Abeliophyllum was found to be anatropous and a unitegmic ovule, with a slightly colliculate seed surface and exotestal seed coat type. The ovule of Coreanomecon was anatropous and bitegmic, having a distinct echinate seed surface, and exo-endotestal seed coat type with a prismatic crystal in the mesotesta. The ovule of Hanabusaya was anatropous and a unitegmic, with a long reticulate seed surface sculpture, and distinct exotestal seed coat type. In addition, a wing develop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raphe bundle. Megaleranthis was an anatropous and bitegmic ovule, having a small pentagonal disk shape, a concave seed surface and exotestal seed coat type. Finally, Pentactina was also anatropous and a unitegmic ovule, reticulate seed sculpture, and endotestal seed coat type. These data will be proving to be a source of good information for securing bio-sovereignty in the near future.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모델 연구 (The MyData Business Ecosystem Model)

  • 양경란;박수경;이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67-180
    • /
    • 2021
  •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개념 태동에 따라, 기존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의 프레임워크와 해당 생태계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의 주권을 행사하는 것이기에, 개인이 비즈니스의 핵심 행위자로 참여한다는 특성이 존재한다. 마이데이터 소유자인 개인, 마이데이터 생성자 및 활용 서비스 제공자와 더불어 개인의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는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가 비즈니스 생태계에 참여한다. 이에, 마이데이터 산업 생태계는 기존의 디지털 비즈니스 생태계와 상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마이데이터 생태계를 세밀히 분석한 연구들은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 마이데이터 비즈니스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45개의 해외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 사례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여 4개 그룹 7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마이데이터 산업 생태계에서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발전적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