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rk oil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9초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 분리 (Separatipon of Oryzanol from the Refining By-Product of Rice Bran Oil)

  • 김인환;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6-80
    • /
    • 1991
  •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을 분리하기위해, dark oil과 dark oil의 증류잔류물인 pitch로부터 용매분리법 이용하여 오리자놀을 분리하였다. 분리과정 중 방해물질인 왁스분은 dark oil과 acetone을 1 : 1(w/v)로 혼합하여, $0^{\circ}C$에서 침전시켜 제거하였고, 여기에서 얻어진 dewaxed dark oil에 8 part의 hexane을 섞어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함량이 51.3%인 농축물을 얻었다. 이 농축물에 methanol 20 part를 가하고 재결성하여 98.3%의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다. Dark oil로부터 pitch를 제조하는 적정조건은$180^{\circ}C$$0.2{\sim}0.4torr$의 진공상태에서 2%(w/w)의 steam을 가하는 증류조건이 오리자놀의 파괴를 최소화 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pitch의 오리자놀순도와 회수율은 27.3%와 82.3%였다. Pitch에 hexane을 가하고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순도가 75.4%인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으며 이 농축물에 methanol을 가한 후 재결정하여 순도가 99%인 결정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저온윤리법을 이용하였을 때 오리자놀의 회수율은 dark oil 9.5%, pitch 28.5%로 나타났다.

  • PDF

Dark oil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특성 (Esterifica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dark oil)

  • 박지연;김덕근;나종분;우상선;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5.1-105.1
    • /
    • 2010
  • 바이오디젤 보급 활성화에 따른 식물성 원료유의 가격 상승 및 수급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폐유지를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유지의 사용은 폐자원 활용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양한 폐유지가 산업체로부터 배출되며 이 중에서 dark oil은 식용유 공장에서 식물성 원료유의 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바이오디젤로 전환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ark oil은 54.9%의 유리지방산과 28.0%의 triglyceride, 4.4%의 diglyceride, 그리고 1% 이하의 monoglyceride를 함유하고 있다. Dark oil의 초기 산가는 109.8 mg KOH/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dark oil의 유지 부분(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을 유리지방산으로 전환시켜 HAAO(high acid acid oil)을 생산한 후, 고체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지 부분의 유리지방산 전환 반응을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BS(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가 사용되었다.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2:10이고 SDBS가 오일 대비 3%인 조건에서 dark oil의 산가는 190.8 mg KOH/g까지 증가하였고,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4:10이고 SDBS가 2%인 조건에서는 산가가 194.2 mg KOH/g까지 증가하였다. 생산된 HAAO을 이용하여 오일 대비 30%의 Amberlyst-15 촉매 하에서 HAAO:메탄올 몰비 1:9인 조건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을 경우 FAME(fatty acid methyl ester) 함량은 81.3%까지 증가하였다. 고체 산 촉매로써 Amberlyst-15와 가격 면에서 저렴한 PC101을 비교하였을 경우 FAME 함량은 각각 80.7%, 77.9%로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을 높이기 위해 증류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 PDF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광산화 과정 중 천연산화방지성분의 변화 (Changes in Natural Antioxidants in Oils Extracted from the Bran and Germ of Keumkang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uring Photo-oxidation)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20
    • /
    • 2010
  •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제분 중 발생하는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기름(WBG oil)을 $5^{\circ}C$, 1700 Lux로 12일 동안 광산화시킬때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이들과 WBG oil의 광산화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은 WBG oil의 광산화 중 분해되었으며 DNS밀 WBG oil이 금강밀 WBG oil에서보다 토코페롤의 분해가 빨랐으나,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 분해 속도는 느렸다. WBG oil의 광산화 정도와 산화방지성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며 인지질이 WBG oil의 광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금강밀 WBG oil에 비해 리놀레산 함량이 낮고 올레산 함량이 높았던 DNS밀 WBG oil은 지방산 조성은 물론 인지질의 높은 함량과 낮은 분해 속도에 기인하여 높은 광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빛의 존재하에서 DNS밀 WBG oil보다는 금강밀 WBG oil이 토코페롤 source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빛이 홍화씨기름 산화 및 토코페롤 분해의 온도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on Temperature Dependence of Safflower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Degradation)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7-292
    • /
    • 2012
  • 홍화씨기름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은 빛의 존재와 상관없이 산화시간과 산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나, 동일한 온도에서는 빛의 존재 하에서 높은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을 보여 빛은 홍화씨기름의 산화를 촉진시켰다. 빛은 홍화씨기름 산화 및 토코페롤 분해 속도의 온도의존성을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산화온도는 광산화에서보다는 자동산화에서 더욱 중요한 인자로 작용했다.

Physiological Responses of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o Anesthetization with Clove Oil

  • 박진욱;;길현우;김동수;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7
    • /
    • 2009
  • In order to establish optimum anesthesia concentration, we tested the efficacy of clove oil at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in large sized (mean SL $17.1{\pm}2.21\;cm$) and small sized (mean SL $0.6{\pm}0.06\;cm$)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Optimal anesthesia concentration for dark-banded rockfish was $150\;mgL^{-1}$ in both large and small sized fish. In general, fish exposed to higher anesthetic doses were rapidly induced but took longer to recover (P<0.05). Recovery time of small sized fish was longer than large sized fish in lower concentrations, while recovery time of large sized fish was longer than small sized fish in higher concentration (P<0.05). Using the established optimum aesthetic concentration, we evaluated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dark-banded rockfish to clove oil by measuring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150\;mgL^{-1}$ clove oil at $20^{\circ}C$ (optimum breeding temperature), plasma cortisol level was highest ($42.2{\pm}11.318{\mu}g/dL$) after 0 hour, while plasma glucose level was highest ($52.5{\pm}10.61\;mg/dL$) after 1 hour. Plasma cortisol and glucose concentrations required 6 and 2 hours, respectively, to return to pre-exposure levels.

Sophorolipid Production by Candida bombicola ATCC 22214 from a Corn-Oil Processing Byproduct

  • KIM , HYUN-SOO;KIM, YOUNG-BUM;LEE, BAEK-SEOK;KIM, EUN-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55-58
    • /
    • 2005
  • Sophorolipid was produced by Candida bombicola ATCC 22214 from soybean dark oil, a byproduct of soybean oil processing. With a fed-batch culture of C. bombicola for 7 days, 90 g/l of sophorolipid was obtained. The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minimum surface tension of the sophorolipid in aqueous solution were found to be 150 mg/l and 48 mN/m, respectively. The dispersion capability of sophorolipi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mical surfactants such as SDS and Brij30. The molar solubility ratio (MSR) of 4-methylnaphthalene was 0.2. Linoleic and oleic acids were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ophorolipid. The sophorolipid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 and Bacillus subtilis.

고추씨 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치자, 고량을 이용한 유용성 천연 검정색소의 제조 (Stud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asoning Oil as Red Pepper Seed Oil Substituted: Manufacturing of oil soluble natural black pigment from Gardenia and Kaoliang)

  • 구본순;김덕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6
    • /
    • 2004
  • 치자로부터 청색 및 황색색소, 고량으로부터 암갈색 색소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ㆍ농축하여 60$^{\circ}$Brix 농도의 추출물을 회수하였는데, 각각의 수율은 0.68, 1.97, 0.63% (w/w)였다. 이들을 대두유: 물: 유화제: 치자청: 치자황: 고량색소=8: 22: 42: 10: 15: 13 (w/w)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질화하여 유용성 천연 검정색소를 얻었다. 이 색소를 대두유에 용해시킨 결과 대두유의 품온이 30∼4$0^{\circ}C$ 범위에서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대두유에 한 번 용해된 색소물질은 혼합 대두유의 품온을 2$0^{\circ}C$ 이하로 유지하여도 재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들기름 에멀젼의 산화안정성 및 산화방지제에 대한 클로로필 첨가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ddition and Light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of Perilla Oil Emulsion)

  • 최지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13
  •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changes in perilla oil emulsion added with chlorophyll were studi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or under 1,700 lux light at $25^{\circ}C$ for 48 h. The emulsion was consisted of perilla oil (33.12 g), 5% acetic acid (66.23 g), egg yolk powder (0.5 g), and xanthan gum (0.15 g), and Chlorophyll b was added to the emulsion at 0, 2.5 and 4 mg/kg. The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by headspace oxygen consumption and hydroperoxide forma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ere monitored by HPLC and spectrophotometry at 725 nm, respectively.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in the dark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addition of chlorophyll. Light increased and accelerated the lipid oxidation of the emulsion, and increased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under light increased it furth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any case.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regardless of chlorophyll addition, indicating their little degradation.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significantly degraded during storage of the emulsion under ligh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polyphenols was increased with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was inversely related with the residual amou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ith more dependent on the retention of polyphenols than that of tocopherols.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자동산화 안정성 및 미량성분 비교 (Comparison of Autoxidative Stability and Minor Compounds in Oils Extracted from Bran and Germ of Keumkang Wheat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28-635
    • /
    • 2009
  • 금강밀 또는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유지(WBG유)를 빛을 차단하고 $50^{\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값, 지방산조성 변화로 자동산화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도 함께 측정하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초기 과산화물값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에 비해 높은 유리지방산값을 보였다. 또한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보다 리놀레산이, DNS밀 WBG유는 금강밀 WBG유보다 올레산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지질 함량은 DNS밀 WBG유에서 많았으며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산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산화속도는 두 기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강밀과 DNS밀 WBG유의 자동산화 중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분해되었고, 인지질함량이 WBG유의 자동산화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김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4
    • /
    • 1989
  • In the present study,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EPO)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i.e., dark, cool, fluorescent light and daylight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gamma-linolenic acid (GLA) of EPO and that of alpha-linolenic acid of soybean oil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More rapid autoxidative reations of EPO than that of SOY in vairous conditions increased in order of daylight, fluorescent light, cool and dark. Espectially, autoxidative rates of EPO increased rapidly on exposure to daylight and fluorescent light. This probably was due to chlorophyll functioned as a photosensitizer resulting in rapid oxidation of the EPO during irrdadiation of ligh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al content of GLA in EPO and alpha-linolenic acid in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Therefore, theripid oxidative rate of EPO could be due to the catalytic effect of the chlorophyll on the photoxidation and the free radical reaction of PUF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