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gerousness assess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4M 방식에 의한 화학실험실 위험성 평가 기법

  • 김종인;이동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18
    • /
    • 2008
  • This research modified the checklist used in the universities in USA, England and Korea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and conducted case studies upon each section of appointed chemical laboratories based on 4M criteria, which stands for Machine, Media, Man an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e studies is to assess how dangerous the laboratories are an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f accidentsin the laboratories as well as reducing loss of lives and proper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ound out the harmful and hazardous factors based on the 4M-type checklist and predicted the dangerousness as it multiplies possible frequency by intensity. Protective equipment, safety facilities in laboratories, emergency exit and compressed gas cylinder are found to be more dangerous, so the result shows that it is desirable to improve ventilation, safety facilities and circumstances of the laboratory through the investment.

  • PDF

Epichlorohydrin의 유해성과 작업환경 관리 (Hazards Assessment and Workplace Management of Epichlorohydrin)

  • 김현영;황양인;국원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73
    • /
    • 2012
  • Objectives: Epichlorohydrin is a material that has been predicted to have high volatility and strong toxicity and is used normally in working area. Therefore, the hazardous and dangerous level and the foreign management system about epichlorohydrin should be invested at home and abroad and through hazard assessment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and exposure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domestic working area. Methods: To assess risk and to suggest Development and Adoption to prevent health damage of workers owing to the epichlorohydrin exposure, the hazardousness and dangerousness of epichlorohydrin and its practical examples and regulation level for domestic and abroad health impairment are researched on the base of various references. Results: The epichlorohydrin caused skin and mucus membrane irritation, respiratory paralysis, kidney and live damage under the influence of acute toxicity and in animal study, it was confirmed as a doubtful carcinogenic substance to trigger reducement of sperm number and reproduction ability, abnormal spermatogenesis, mutagen, increase of forestomach epithelium and occurrence of papilloma and so on, as well as it induced stimulus asthma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for exposure workers. Conclusions: Epichlorohydrin was found to occu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rcinogenesis doubt and reproduction toxicity and was verified as a material which would be established reinforcement of management level to care health of handlers, such as denotement dangerousness of skin absorption.

One-Bank 방식의 수소충전장치에 대한 정성적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for Hydrogen Gas Filling Facilities(One-Bank))

  • 이광원;김태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5-100
    • /
    • 2012
  • This study is about the qualitative safety assessment for hydrogen gas filling facilities in Korea operating with one-bank type. The purpose of this safety assessment i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ponents for design, fabrication, assembly, operability of dispenser and systems of the safety. For the qualitative safety assessment method, the study used FMEA(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and HAZOP(hazard & operability).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through FMEA and HAZOP then by referring to P&ID and PFD of hydrogen dispenser, thereby examining the dangerousness of the equipments, defects of the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operation.

가연성 배기덕트-흄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of Combustible Exhaust Duct-fume)

  • 윤여송;이영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2-37
    • /
    • 2010
  • When back-out & firing Process applies heat, hume is piled up in exhaust duct by organic compound and it have high dangerousness. There by, the process is happening a lot of damage that is exhaust duct fire. However we do not have certain fire dangerousness estimation and digestion countermeasure. So we need preventive measure. Back-out & firing is a process which has fine structure,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iring kiln and back-out kiln which has pipe line and box type. The box oven is made of heating coil, fan motor and control panel. Back-out & firing process has air circulation institution of quick ventilation type. When we operate this process for long time, fire can break out easily. Duct is made by zinc shredder. If fire breaks out in duct inside, fire by deposit fume can be dispersed easily. Accordinglym, This project estimate danger for back-out & firing process exhaust duct through real fire test. And there is purpose of study to establish preventive measure.

지하철 승강장 급배기 조건에 따른 화재 위험성 평가 (Fire Risk Assessment for Subway Station According to Supply and Exhaust Conditions)

  • 김하영;이동호;김정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9-3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피자의 최적 배연조건 확립을 위하여 CFD모델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지하철 승강장 내에서의 화재 시 다양한 배연조건에서의 화재 위험성을 검토하였다. 결과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경우가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온도의 상승폭이 최대 $65.37%{\sim}74.97%$ 낮게 나타났다. 또한 급기나 압인배기시 승강장에 난류가 발생함에 따라 온도 및 연기층이 교란되어 하락됨에 따라 탈출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배연용량 및 승강장 공간 설정시 배연조건에 따른 화재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 도출 (Derivation of Building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for Generating 3D Safety Status Map)

  • 윤준희;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0-47
    • /
    • 2020
  • 화재예방 및 신속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술, 시스템 및 법제도가 도입되고 있지만 매년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줄지 않고 있다. 화재로 인한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 기반의 안전상태지도의 개발이 필요하며, 각 위치정보에 대한 속성정보의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전상태지도는 목적에 맞는 안전상태 평가의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지수화 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를 위치정보에 정합시켜서 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우선, 국내외 안전평가 모델의 평가항목을 조사하여 한국 3D 안전상태지도로의 적용성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화재안전 평가모델의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평가항목은 정보수집 활동에 따라 '건물의 기본정보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도출된다. 항목 도출 결과, 다섯 개 카테고리(업종위험, 건물 안정성, 소방 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화재대응상태)에 걸쳐 총 14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유해화학물질의 종합위해등급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tal Hazard Level Algorithm Development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 고재선;김광일;정상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1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질을 선점한 후 그에 따른 세 가지 기준 즉 독성, 화재폭발, 환경기준과 각각의 피해예측기법을 설정하고 이 기준들을 알고리즘을 통한 통합한 종합위해등급으로서 선정된 대상물질에 적용하였다. 특히, 환경기준은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USCG 및 MSDS의 환경기준 분류와 NFPA의 건강위해성(Nh) 중 환경관련 부분을 조합하여 환경지수 모델화를 하였다. 또한 각 기준에 따른 피해예측 기법을 선택하여 지역별 인의에 위치한 화학물질 관련업체에 사용 또는 저장 중인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적용하여 사용물질에 대한 종합위해등급 설정(단일물질에 대한 가연성, 독성, 반응성, 환경성에 대한 Hazard level 및 표시 모델화) 및 그에 따른 사고시 피해예측 강도산정 (CPQRA, IAEA, VZ eq), Risk contour를 구할 수 있었다. 이 결과 모든 화학공정 및 저장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독성 누출, 화재폭발의 잠재적 위험성산정을 통한 안전성 평가의 Tool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